학술논문
시민연극이 지닌 사회적 역할로서 발달장애인 평생교육의 가능성
이용수 90
- 영문명
- As a social role of Applied Theater Possibility of Lifelong Education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문화교육학회
- 저자명
- 김미성 한경근
- 간행물 정보
- 『문화예술교육연구』제18권 제2호, 181~205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4.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시민연극이 지닌 사회적 역할로서 발달장애인 평생교육의 가능성을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현장에서 참여적 실행연구 방법을 사용하여 연극 활동을 하면서 경험한 실패와 새롭게 발견한 것들을 사례를 통해 살펴 보았다. 연구결과 첫째, 발달장애인은 모든 연극활동에서 주체가 되길 원했다. 기존의 사회질서에서 주로 타자화된 삶을 살던 발달장애인은 연극무대에서만큼은 자신의 시선과 생각, 삶의 경험을 적극적으로 표현하고 싶어했다. 둘째, 연극 활동은 발달장애인의 공동체성을 회복시켰다. 연극활동은 상호관계의 역동 속에서 다양한 구성원들과 상호의존관계에 있음을 경험하게 하였다. 셋째, 발달장애인은 연극 활동을 통해 자기를 성찰하였다. 타인의 시선으로부터 자기 삶의 내면과 가치 지향적것으로 옮겨진 시선은 새로운 경험을 통해 성장과 변화를 경험하게 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발달장애인 평생교육에서 연극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안 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possibility of lifelong education for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as a social role of applied theater. To this end, we looked at the failures and new discoveries experienced while doing theater activities using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methods in the field of lifelong education for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through example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anted to be the subject of all theater activities.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o lived mainly otherized lives in the existing social order wanted to actively express their eyes, thoughts, and life experiences on the theater stage. Second, theater activities restored the sence of community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ater activities experienced that they were interdependent with various members in the dynamics of mutual relations. Third,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reflected on themselves through theatrical activities. The gaze transferred from the gaze of others to the inner and value-oriented of one's life made one experience growth and change through new experienc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a plan to revitalize theater in lifelong education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as proposed.
목차
Ⅰ. 서론
Ⅱ. 성인 장애인 연극 프로그램 관련 선행연구
Ⅲ. 연구방법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등음악교사들의 다문화 음악교육의 실태 및 인식 조사
- 한 문학상담 전공생의 예술가-되기에 대한 예술기반 자문화기술지
- 시민연극이 지닌 사회적 역할로서 발달장애인 평생교육의 가능성
- 국내 문화예술교육사 연구동향
- NFT 아트의 이해 및 미술교육적 활용 탐색
- 인문적 소양 함양을 위한 하브루타 기반 음악교육 설계 방안 연구
- 진로연계학기 도입에 따른 국악 수업방안에 관한 연구
- 결혼이민자 한국 문화 교육을 위한 한국어교재 문화영역 개선 방향에 관한 고찰-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 관점 중심으로
- 박물관교육의 의미 고찰- 박물관교육의 요소․목적․방법을 중심으로 -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어판 단축형 번영(thriving)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 특수교사를 중심으로
- 다문화가정 장애 영유아 지원 교사의 어려움과 지원 요구
-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특수교육대상자 선정을 위한 의뢰 경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