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유아교사의 모바일 알림장 사진기록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이용수  171

영문명
A phenomenological study of photo recording in mobile notice board application experienc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발행기관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저자명
김화영 김도연 윤지우 정윤주 김민정
간행물 정보
『한국유아교육연구』제24권 제3호, 182~220쪽, 전체 3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9.30
7,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모바일 알림장 사진기록은 학부모에게 자녀의 기관 생활을 생생하게 전달하며 폭넓게 활용되고 있으나, 사진기록을 운영하는 유아 교사의 경험이 깊이 탐색 되지 못한 채 어려움이 지속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아 교사가 경험하는 모바일 알림장 사진기록의 경험 본질을 파악하기 위해 Giorgi(2009)의 현상학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2022년 2월 3일부터 3월 8일까지 현직 유아 교사 9명을 대상으로 면접을 시행하고, 이에 대해 여러 차례 협의하며 범주화 작업을 실시한 후, 전문가 평정을 받았다. 그 결과, 143개의 진술문과 27개의 하위구성요소, 10개의 구성요소, 4개의 상위 주제가 도출되었다. 4개의 상위 주제는 ‘기관에서의 사진기록 과정’, ‘사진기록에 따르는 부수적 어려움’,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고민과 시도’, ‘사진기록에 적응하며 성장하고자 함’ 이었다. 본 연구 결과는 가깝게는 모바일 알림장 사진기록의 효용성을 살리고, 유아 교사의 어려움을 해소하는 방안을 마련하는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되며, 추후에는 유아 교사의 전문성 함양과 교육과정 운영의 내실화에 이바지할 수 있는 정책 입안의 참고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아울러 연구의 한계점과 추후연구를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e photo recording in mobile notice board application are widely used to vividly convey the children's institutional life to parents, but difficulties continue as the experie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run photo records have not been deeply explored. Therefore, a phenomenological study of Giorgi(2009)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experience of photo recording in mobile notice board application adapt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From February 3rd to March 5th, 2022,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nine early childhood teachers. Further discussions were taken several times by experts to categorize, and evaluate findings. As a result, 143 statements, 27 subcomponents, 10 components, and 4 top topics were derived. The four top topics were 'photo recording process at the institution', 'difficulties followed photo recording', 'concerns and attempts to overcome difficulties', and 'adaptation to photo recording and growth'. The results are expected to offer the data to utilize photo records in mobile notice board effectively and to supply measures to solve the difficulties, and to refer for policy proposals that can contribute to foster expertise and improve curriculum operation. In addition, the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were proposed.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화영,김도연,윤지우,정윤주,김민정. (2022).유아교사의 모바일 알림장 사진기록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유아교육연구, 24 (3), 182-220

MLA

김화영,김도연,윤지우,정윤주,김민정. "유아교사의 모바일 알림장 사진기록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유아교육연구, 24.3(2022): 182-22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