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2019 개정 누리과정을 실천하는 유아교사의 자기이미지 탐색
이용수 116
- 영문명
- Exploring the self-imag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racticing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 저자명
- 이성희(Lee, Sung-hee) 김기정(Kim, Ki-jeong)
- 간행물 정보
- 『한국유아교육연구』제24권 제3호, 1~24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9.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2019 개정 누리과정을 실천하는 과정에서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자기이미지를 탐색해봄으로써 유아교사의 전문성 지원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9명의 유아교사를 면담하였다. 그 결과로 첫째, 유아교사들은 개정 누리과정을 받아들이고 새롭게 적응해가는 실천자의 이미지를 가지고 있었다. 유아교사들은 경력이 있는 교사임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교육과정을 이해하기 위해 스스로 해석하고 공부하며, 교육현장을 이끌어가고 있었다. 둘째, 유아교사들은 놀이를 지원하기 위해 많은 생각을 하며 다양한 역할을 배워나가는 학습자의 이미지를 가지고 있었다. 유아교사들은 개정 누리과정의 적용과 실행을 위해 놀이상황 매순간마다 판단하여 결정하고, 놀이상황에 필요한 다양한 역할을 만들어 수행하고 있었다. 셋째, 유아교사들은 교육주체들과 함께 협력하며 조율해가는 문제해결자의 이미지를 가지고 있었다. 유아교사들은 동료교사들과 놀이중심을 실천해 나가기 위해 함께 배우고 연구하고, 관리자와 학부모가 바라보는 놀이중심 교육과정의 인식의 차이를 조율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교사들이 2019 개정 누리과정 실천시 피로감에 지치지 않도록 교육과정 전문가로서 현재의 노력을 격려하고 지속해갈 수 있는 지원 방안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the direction of professional support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by exploring the self-image in the process of practicing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For this purpose, 9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interviewed. For a result, firstly, Early childhood teachers had the image of practitioners accepting ad newly adapting the revised Nuri Curriculum. Even though they were teachers with experience,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leading the educational field by interpreting and studying on their own to understand the new curriculum. Secondly, early childhood teachers had the image of learners engaging in various roles while thinking a lot to support play. In order to apply and implement the revised Nuri Curriculum, early childhood teachers judged and decided every moment, and created and performed various roles necessary for the play situation. Thirdly, early childhood teachers had the image of problem-solvers who cooperated and coordinated with educational subjects.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working with their fellow teachers to learn and study to practice play-centered education, and to reconcile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s of the play-centered curriculum perceived by administrators and paren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re is a need for a support plan that encourages and sustains current efforts for curriculum experts so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do not become fatigued when practicing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아교사의 모바일 알림장 사진기록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선생님-엄마’ 삶의 감응적 글쓰기
- 유아교사의 그림을 통해 살펴본 만 5세 교육 공간에 대한 이미지 분석
- 개념도 방법을 활용한 예비유아교사의 유아 놀이에 대한 인식 탐색
- 국공립어린이집 원장의 기질 회복탄력성,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 기본운동능력 중심 신체활동이 유아의 기초체력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2019 개정 누리과정을 실천하는 유아교사의 자기이미지 탐색
-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가 지각한 아버지 역할수행에 대한 중요도-실행도 분석(IPA)
- 탈북 여성이 북한에서 경험한 영유아기 자녀양육의 실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한 시나리오 기반 건강사정 실습 교육의 효과
-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일의 의미가 조용한 사직에 미치는 영향
- 대학 합창 수업 맥락에서 SEL 평가도구의 적용 가능성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