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개념도 방법을 활용한 예비유아교사의 유아 놀이에 대한 인식 탐색

이용수  53

영문명
Analysis of concept mapping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n play in young children
발행기관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저자명
김경철(Kim, Kyung chul) 이민정(Lee, Min jung) 유정인(Yu, Jeong in)
간행물 정보
『한국유아교육연구』제24권 제3호, 25~48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9.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개념도 방법을 활용하여 놀이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예비유아교사 22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초점 질문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진술하였고, 정리된 진술문을 범주화 후 중요도 평정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유아 놀이에 대한 인식으로 39개의 최종 진술문이 생성되었으며, 다차원 척도분석을 통해 「사람-사물」, 「관계적 특성-심리적 특성」의 2개 차원으로 나누었다. 또한 진술문은 군집분석을 통해 ‘희열을 느끼는 놀이’, ‘얽매이지 않는 놀이’, ‘의견을 조율하는 놀이’, ‘상호관계를 형성하는 놀이’, ‘언제 어디서나 일어나는 놀이’, ‘놀잇감을 가지고 하는 놀이’, ‘발달에 도움이 되는 놀이’등 7개의 군집으로 분류하였다. 둘째, 군집별 중요도는 ‘얽매이지 않는 놀이’에 속하는 진술문들이 높은 중요도를 나타냈으며, 진술문별 중요도에서는 <재미있는 것>, <즐거운 것> 등이 높은 중요도를 나타냈다. 본 연구결과는 유아의 놀이를 지원하기 위한 예비유아교사의 놀이지도 교육방향에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on the play in young children by using concept mapping method. For this purpose, 22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The participants stated their thoughts on the focus question, categorized and rated the importance of the prepared statements. Based on these, multidimensional scale analysis and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were perform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39 final statements were generated based on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f play in young children, and through multidimensional scale analysis, these were divided into two dimensions: ‘human-thing’ and ‘External Characteristics- Internal Characteristics’. And the statements were divided into 7 clusters by cluster analysis: ‘Joy Play’, ‘Unregulated Play’, ‘Relationship Forming Play’, ‘Opinion Co-operating Play’, ‘Anytime, Anywhere Play’, ‘Toy Play’, ‘Developmentally Helpful Play’. Secondly, as for the importance of each group, ‘Joyful Play’ showed the highest importance in general, and for the statement, ‘an interesting thing’ and ‘funny thing’ showed high import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direction of effective education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 children play promo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경철(Kim, Kyung chul),이민정(Lee, Min jung),유정인(Yu, Jeong in). (2022).개념도 방법을 활용한 예비유아교사의 유아 놀이에 대한 인식 탐색. 한국유아교육연구, 24 (3), 25-48

MLA

김경철(Kim, Kyung chul),이민정(Lee, Min jung),유정인(Yu, Jeong in). "개념도 방법을 활용한 예비유아교사의 유아 놀이에 대한 인식 탐색." 한국유아교육연구, 24.3(2022): 25-4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