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기본운동능력 중심 신체활동이 유아의 기초체력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63
- 영문명
- The effects of physical activities centered in basic motor skill on young children’s basic physical strength and self-efficacy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 저자명
- 전난희(Jeon, Nan Hee) 김언경(Kim, Eonkyung)
- 간행물 정보
- 『한국유아교육연구』제24권 제3호, 73~101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9.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기본운동능력 중심의 신체활동이 유아의 기초체력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유아교육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효과적인 신체활동 운영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강원도 소재의 공립 유치원에 재원 중인 4세 유아 28명이다. 실험집단은 기본운동능력 중심 신체활동 전후에, 통제집단은 자유놀이 중심 바깥놀이 전후에 기초체력과 자기효능감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기본운동능력 중심 신체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유아들이 통제집단의 유아들에 비해 기초체력 요소인 유연성, 지구력, 평형성, 민첩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둘째, 기본운동능력 중심 신체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유아들이 통제집단의 유아들에 비해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소인 인지적 자기효능감과 신체적 자기효능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통해 기본운동능력 중심의 신체활동이 유아의 기초체력과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교육 현장에서 의미 있는 교수 방법의 하나로활용해 볼 가치가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hysical activities centered on basic motor skill on young children’s basic physical strength and self-efficacy, and to propose an effective method of operating physical activity that can be used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8 4-year-old children enrolled in a public kindergarten in Gangwon-do. The basic physical strength and self-efficacy were measured and compared before and after physical activity centered on basic motor skill for the experimental group, and before and after free play centered outside play for the control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basic motor skill-centered physical activitie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basic physical strength factors such as flexibility, endurance, balance, and agility compared to the children in the control group. Secondly, the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basic motor skill-centered physical activit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cognitive and physical self-efficacy, which are sub-factors of self-efficacy, compared to the children in the control group.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physical activity centered on basic motor skill has a positive effect on children's basic physical strength and self-efficacy, implying that it is one of the meaningful teaching methods in the educational fiel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아교사의 모바일 알림장 사진기록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선생님-엄마’ 삶의 감응적 글쓰기
- 유아교사의 그림을 통해 살펴본 만 5세 교육 공간에 대한 이미지 분석
- 개념도 방법을 활용한 예비유아교사의 유아 놀이에 대한 인식 탐색
- 국공립어린이집 원장의 기질 회복탄력성,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 기본운동능력 중심 신체활동이 유아의 기초체력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2019 개정 누리과정을 실천하는 유아교사의 자기이미지 탐색
-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가 지각한 아버지 역할수행에 대한 중요도-실행도 분석(IPA)
- 탈북 여성이 북한에서 경험한 영유아기 자녀양육의 실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대학에서 교양 법학 교육의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예비유아교사의 개정 누리과정 기반 수업설계 경험과 배움 의미 탐색
- 잠재프로파일분석을 활용한 학생의 사회정서역량의유형 분류 및 영향요인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