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가 지각한 아버지 역할수행에 대한 중요도-실행도 분석(IPA)
이용수 96
- 영문명
-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IPA) on the fathering practices perceived by mothers with young children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 저자명
- 김미현(Kim, Mi-Hyeon) 김낙흥(Kim, Nak-Heung)
- 간행물 정보
- 『한국유아교육연구』제24권 제3호, 137~160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9.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가 지각한 아버지 역할수행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 인식의 차이를 알아보고, IPA 분석을 통해 실행도를 높이기 위한 지원 방향을 사분면의 속성에 따라 도출하여 아버지 교육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서울지역에 소재한 영유아교육기관 6곳에 다니고 있는 만 0세~만 5세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 35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가 지각한 아버지 역할수행의 중요도는 실행도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가 지각한 아버지 역할수행에 대한 중요도-실행도 분석(IPA) 결과 현상유지영역에는 자녀와의 상호작용, 자녀 양육의 역할, 자녀 부양의 역할, 자녀에 대한 사랑, 중점관심영역에는 자녀에 대한 이해, 점진개선영역에는 자녀 양육의 일관성, 남편의 역할, 자녀 교육의 역할, 초과달성영역에는 위치하는 하위요인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 가장 우선적으로 자녀에 대한 이해 요인에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the role of fathering practices by mothers with young children, and to derive supporting directions through IPA analysis. For data, a survey was conducted on 352 mothers with children aged 0 to 5 years old attend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daycare center & kindergarten) located in Seoul.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ly, it was found that the importance of fathering practices perceived by mothers with young children was higher than the that of performance. Secondly,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IPA)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interaction with children, role of child rearing, role of child support, love for child in the ‘Keep Up The Good Work’ area. In the areas of ‘Concentrate Here’, there was an understanding of child, and in the areas of ‘Low Priority’, there was consistency in raising child, role of a husband, and the role of child education. And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no sub-factors located in the area of ‘Possible Overkill’. This suggests that efforts to improve ‘understanding of child’ should be considered first in order to improve the fathering practic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아교사의 모바일 알림장 사진기록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선생님-엄마’ 삶의 감응적 글쓰기
- 유아교사의 그림을 통해 살펴본 만 5세 교육 공간에 대한 이미지 분석
- 개념도 방법을 활용한 예비유아교사의 유아 놀이에 대한 인식 탐색
- 국공립어린이집 원장의 기질 회복탄력성,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 기본운동능력 중심 신체활동이 유아의 기초체력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2019 개정 누리과정을 실천하는 유아교사의 자기이미지 탐색
-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가 지각한 아버지 역할수행에 대한 중요도-실행도 분석(IPA)
- 탈북 여성이 북한에서 경험한 영유아기 자녀양육의 실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한 시나리오 기반 건강사정 실습 교육의 효과
-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일의 의미가 조용한 사직에 미치는 영향
- 대학 합창 수업 맥락에서 SEL 평가도구의 적용 가능성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