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선생님-엄마’ 삶의 감응적 글쓰기
이용수 130
- 영문명
- Affective writing in 'teacher-mom' life: The intra-action of an early childhood teacher and her daughter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 저자명
- 박수연(Park, Su-Yeon)
- 간행물 정보
- 『한국유아교육연구』제24권 제3호, 102~136쪽, 전체 3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9.30
7,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한 영유아 교사와 딸의 내부 작용을 ‘선생님-엄마’ 삶의 감응적 글쓰기를 통해 드러냄으로써, 교사이며 엄마로서의 한 여성의 삶이 사회적 지평으로 연결되는 여정과 의미를 영유아 교사의 존재론적 관점으로 들여다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자문화기술지 질적 연구 방법을 활용한 감응적 글쓰기를 통해 연구자의 삶을 드러내었다. 연구 결과 첫째, 영유아 교사였던 나는 ‘선생님’이라는 존재에서, 낯선 신비함과 농도 짙은 숭고한 기쁨을 느끼는 ‘엄마’로 호명되는 존재로 다시 태어나는 삶을 겪었다. 둘째, ‘선생님’ VS ‘엄마’로 대결하며 내(선생님)가 나(엄마)를 평가하는 파편적인 삶 속에서 답을 내릴 수 없는 삶의 질문에 마주쳤고, 슈퍼우먼이 되려고 발버둥 치면서도 스스로 실격과 낙제점을 주는 흔들리며 휘둘리는 삶을 살았다. 셋째, 연구자인 ‘선생님-엄마’를 품어주는 딸의 삶으로 인해 서로에게 감응하며 미안한 슬픔에서 감사한 기쁨으로 회절 되어 삶에 몰입하게 되었다. 넷째, 삶의 근력이 생성한 안목으로 타인과 사회가 구성한 담론을 뛰어넘고, ‘선생님-엄마’ 고유의 방식으로 삶을 긍정하며 딸과 함께 나아가게 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일과 양육을 병행하는 사회 속 여성으로서의 영유아 교사가 겪게 되는 경험이, 좋은 엄마 되기라는 모성 담론의 지배에서 벗어나 자기 삶을 통해 힘을 기르고, 나름의 고유한 방식으로 삶의 방향을 긍정하며 나아가는 주체적인 존재로 성장하는 데 하나의 관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aim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inter-action of an early childhood teacher and her daughter through affective writing of a 'teacher-mom' life, thereby looking into the journey and meaning of a woman's life as a teacher and mom leading social horizons from the ontological perspective of an early childhood teacher. To do so, the life of the researcher was disclosed through affective writing using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of autoethnography.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ly, I, who was an early childhood teacher, went through a life of reborn as a being a 'mom' who felt unfamiliar mystery and deeply noble joy. Secondly, while competing with myself as 'a teacher' versus 'a mom', I confronted the question of life that I could not answer in a fragmented life, in which I (teacher) evaluated me (mom), and I struggled to become a superwoman. But I lived an unsteady and swayed life with disqualification and a failing grade. Thirdly, due to the life of my daughter who embraced this researcher who is a 'teacher-mom' and by emotionally responding to each other, I was diffracted from sorry-sadness to grateful-joy and immersed in the life. Fourthly, with the perspective created by the strength of life, I went beyond the discourse constructed by others and society, and I moved forward with my daughter by affirming life in the unique way of 'teacher-mom'.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experience of an early childhood teacher as a woman in the society who balances working while parenting, could provide a perspective on freeing women from the dominance of maternal discourse of becoming a good mom, affirming the direction of life in their own, and growing into independent beings in unique way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아교사의 모바일 알림장 사진기록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선생님-엄마’ 삶의 감응적 글쓰기
- 유아교사의 그림을 통해 살펴본 만 5세 교육 공간에 대한 이미지 분석
- 개념도 방법을 활용한 예비유아교사의 유아 놀이에 대한 인식 탐색
- 국공립어린이집 원장의 기질 회복탄력성,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 기본운동능력 중심 신체활동이 유아의 기초체력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2019 개정 누리과정을 실천하는 유아교사의 자기이미지 탐색
-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가 지각한 아버지 역할수행에 대한 중요도-실행도 분석(IPA)
- 탈북 여성이 북한에서 경험한 영유아기 자녀양육의 실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대학에서 교양 법학 교육의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예비유아교사의 개정 누리과정 기반 수업설계 경험과 배움 의미 탐색
- 잠재프로파일분석을 활용한 학생의 사회정서역량의유형 분류 및 영향요인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