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고교생의 진로 역량 신장을 위한 프로그램으로서 ‘경기 꿈의 대학’의 성과와 개선 방안 탐색
이용수 472
- 영문명
- Exploring Gyeonggi Dream Academy in Terms of Achievements and Improvement Strategies
- 발행기관
- 한국교육학회
- 저자명
- 박지혜(Park, Jeehae)
- 간행물 정보
- 『교육학연구』제58권 제1호, 221~244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3.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경기 꿈의 대학은 경기도 소재 고등학교 재학생이 경기도교육청과 업무 협약을 맺은 대학 또는 기관에서 특별 개설한 강좌를 희망에 의해 선택하고 수강하는 체험중심 진로 역량 신장 프로그램이다.
본 연구는 국외의 선도적 진로교육 사례 및 경기 꿈의 대학의 도입배경과 운영 현황을 살펴보고, 경기 꿈의 대학을 수강한 학생으로부터 수집된 면담자료를 활용하여 경기 꿈의 대학의 성과와 한계를확인하고 개선 방안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학생들은 경기 꿈의 대학을 통해희망 진로 분야에 관한 지식 습득과 다양한 체험의 기회를 접할 수 있어 상당히 만족하였다. 또한 자신의 진로 결정에 관해 더 큰 확신을 가질 수 있었으며, 진로개발을 위한 인적 네트워크도 형성하였다. 그러나 느슨한 이수 기준으로 인해 중도탈락자가 많으며, 수업 간 질의 차이가 크고, 방과 후 외부 수업 수강에 대한 부담감이 존재하고 있었다. 따라서 경기 꿈의 대학이 더욱 발전적으로 운영되기위해서는 이수 기준을 강화하고, 수강 정정 기회를 제공하며, 수업의 질 관리를 철저하게 해야 한다.
이와 더불어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의 진로개척은 물론 진로탐색에도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Gyeonggi Dream Academy offers a career development program centering on hands-on experience for high school students residing in Gyeonggi Province who wish to take specialized courses at colleges or institutes that have signed an MOU with Gyeonggi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This study aimed to examine some leading examples of career education programs in other countries and investigate the beginning of the Gyeonggi Dream Academy and the current status of its operation. On the basis of interview data gathered from students, the study also aimed to identify the achievements and limitations of Gyeonggi Dream Academy and explore the strategies for improvement.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tudents were greatly satisfied with Gyeonggi Dream Academy as they could acquire knowledge and hands-on-experience related to their desired career field. Through the program, they could build confidence in their career decision while forming human networks for career development. However, there were a large number of students who dropped out of the program because of its lenient criteria for completion.
There was also discrepancy in the quality of courses while the participants felt burdened about having to take extra-curricular courses after regular school. Therefore, it is imperative for Gyeonggi Dream Academy to establish firm criteria for completion to promote effective operation, provide students with the opportunity to make changes in course selection, and manage the quality of courses more meticulously. The program should also be able to provide students with assistance in exploring careers.
목차
I. 서론
Ⅱ. 국외의 선도적 진로교육 모델
Ⅲ. 경기 꿈의 대학 도입배경과 운영 현황
Ⅳ. 연구방법
Ⅴ. 연구결과
Ⅵ.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국내 외국인 유학생 연구 동향 분석: 시기별 연구주제 변화 탐색
- 제3국 출생 북한이탈주민 자녀의 정서행동 문제에 대한 맥락적 이해 및 개입전략
- 부모-자녀간의 부모 지원에 대한 인식차가 학업성취 및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잠재성장모형 분석
- 중학생의 그릿, 행동조절, 자기결정동기의 종단적 상호 인과관계
- 초등학생의 우울과 집단따돌림 피해 및 가해행동의 관계: 인터넷 중독성향과 역기능적 분노표현의 매개효과
- “하위호환 인생은 살기 싫어요”: 자율형 사립고등학교에서 과학영재교육원 수료생의 내러티브 정체성 탐구
- 팀 프로젝트 학습에서 대학생이 경험한 갈등 : 서울 소재 S대학 사례
-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의 발달단계적 분석
- 고교생의 진로 역량 신장을 위한 프로그램으로서 ‘경기 꿈의 대학’의 성과와 개선 방안 탐색
- 변혁적 세계시민교육의 가능성 모색: B중학교 평화 활동 사례를 중심으로
- 창의적 문제해결 방법을 활용한 사이버불링 예방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 다층자료에서 경향점수 활용 방법에 따른 처치효과 추정치 양호도 분석
- 자존감과 대학생활 스트레스의 적합성이 대학생의 시간사용에 미치는 영향: 학자금 대출 상환 경험에 따른 다항회귀 및 반응표면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