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학생의 그릿, 행동조절, 자기결정동기의 종단적 상호 인과관계
이용수 901
- 영문명
- Longitudinal Reciprocal Causalities among Grit, Behavioral Regulation, and Self-Determination for Middle School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교육학회
- 저자명
- 한수연(Han, Sooyeon) 박용한(Park, Yonghan)
- 간행물 정보
- 『교육학연구』제58권 제1호, 61~90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3.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그릿의 두 하위요인인 끈기와 흥미유지, 행동조절, 자기결정동기의 변화양상과 종단적 상호 인과관계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4개 중학교 2학년 학생 436명을 대상으로 2학년 1학기 초(t1), 2학년 2학기 말(t2), 3학년 1학기 말(t3) 3차례에 걸쳐 설문을 실시하고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끈기, 흥미유지, 행동조절, 자기결정동기는 이전시점이 다음시점을 안정적으로 예측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자기결정동기에 비해 그릿의 자기회귀계수가 낮게 나타나 그릿의 변화가능성이 자기결정동기보다 역동적임을 보여주었다. 둘째, 끈기와 자기결정동기, 흥미유지와 행동조절은 종단적으로 상호인과적 관계를 갖고 있어 서로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면서 함께 성장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뿐만 아니라 1차 시점의 흥미유지가 2차 시점의 끈기를 매개로 3차 시점의 자기결정동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결과를 보여주어 흥미유지가 학업성취관련 변인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전시점의 흥미유지가 다음시점의 끈기에 정적인 영향을 끼친다는 결과는 과업에 대한 관심이 유지되어야 끈기가 강화된다는 것을 시사하였다. 본 연구는 단기종단연구를 통해 그릿의 변화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그릿의 변화를 통해 긍정적인 학업 동기가 형성될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영문 초록
The present study explored the changes in grit’s two subfactors(perseverance of effort and consistency of interest), behavioral regulation, and self-determination for middle school students, and examined their longitudinal causal relations. To do this, we administered surveys to 436 second graders in four middle schools three times over beginning of second grade(t1), end of second grade(t2), and end of third-grade first semester(t3), and conducted the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analysis.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cores at previous timepoints had stable predictions of scores at following timepoints. In particular, lower autoregressive coefficients for grit than for self-determination suggested that the changeability of grit would be more dynamic than that of self-determination. Second, the longitudinal reciprocal causal relations between perseverance of effort and self-determination and between consistency of interest and behavioral regulation confirmed that they grow together through reciprocal positive effects. This result implied that consistency of interests would have indirect effects on academic achievement-related variables by showing that consistency of interests at t1 had positive effects on self-determination at t3 through perseverance of effort at t2. In addition, the result, which showed that consistency of interest at previous timepoints had positive effects on perseverance of effort at following timepoints, implied that perseverance could be strengthened by maintaining consistent interests. This short-term longitudinal study confirmed the possibility of change in grit and suggested that positive academic motivation can be formed through the change in grit.
목차
I.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국내 외국인 유학생 연구 동향 분석: 시기별 연구주제 변화 탐색
- 제3국 출생 북한이탈주민 자녀의 정서행동 문제에 대한 맥락적 이해 및 개입전략
- 부모-자녀간의 부모 지원에 대한 인식차가 학업성취 및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잠재성장모형 분석
- 중학생의 그릿, 행동조절, 자기결정동기의 종단적 상호 인과관계
- 초등학생의 우울과 집단따돌림 피해 및 가해행동의 관계: 인터넷 중독성향과 역기능적 분노표현의 매개효과
- “하위호환 인생은 살기 싫어요”: 자율형 사립고등학교에서 과학영재교육원 수료생의 내러티브 정체성 탐구
- 팀 프로젝트 학습에서 대학생이 경험한 갈등 : 서울 소재 S대학 사례
-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의 발달단계적 분석
- 고교생의 진로 역량 신장을 위한 프로그램으로서 ‘경기 꿈의 대학’의 성과와 개선 방안 탐색
- 변혁적 세계시민교육의 가능성 모색: B중학교 평화 활동 사례를 중심으로
- 창의적 문제해결 방법을 활용한 사이버불링 예방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 다층자료에서 경향점수 활용 방법에 따른 처치효과 추정치 양호도 분석
- 자존감과 대학생활 스트레스의 적합성이 대학생의 시간사용에 미치는 영향: 학자금 대출 상환 경험에 따른 다항회귀 및 반응표면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데이터 과학 기반 한국어 쓰기 학습자의 AI 활용 태도 분석 방향 - 쓰기 과정에 따른 태도 척도 개발을 중심으로
-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 비공식 한국어 학습 - 학습자의 동기 부여 변화에 초점을 맞춘 내러티브 탐구
- 비원어민 네팔 예비 한국어 교사의 수업 개선에 대한 실행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