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학생의 우울과 집단따돌림 피해 및 가해행동의 관계: 인터넷 중독성향과 역기능적 분노표현의 매개효과
이용수 599
- 영문명
- The Mediation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ary School students’ Depression, Victimization and Bullying
- 발행기관
- 한국교육학회
- 저자명
- 권은비(Kwon, Eun-Bi) 이동훈(Lee, Dong-Hun)
- 간행물 정보
- 『교육학연구』제58권 제1호, 91~119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3.31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우울과 집단따돌림 피해 및 가해행동의 관계에서 인터넷 중독성향과 역기능적 분노표현이 매개하는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위하여 B지역 20개 초등학교의 4, 5, 6학년 651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데이터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초등학생의 우울, 인터넷 중독성향, 역기능적 분노표현, 집단따돌림 피해 및 가해행동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인터넷 중독성향과 역기능적 분노표현이 아동의 우울과 집단따돌림 경험의 관계에서 매개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구조방정식을 사용하여 매개모형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아동의 우울은 집단따돌림 피해에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우울은 인터넷 중독성향을 매개하여 집단따돌림가해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우울은 역기능적 분노표현을 매개하여집단따돌림 피해 및 가해행동에 모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우울과 집단따돌림 피해및 가해행동의 관계에서 인터넷 중독성향과 역기능적 분노표현의 이중매개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whether internet addiction and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Victimization and Bullying in Elementary students. For this study, Data collected on 651 students in 4th, 5th and 6th grade from 20 elementary schools in B area were used in the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internet addiction,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victimization and bullying. To find out if Internet addiction and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are mediated by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s depression and victimization/bullying experience, the model was tested using a structural equ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Depression has been confirmed to have a direct effect on the Victimization. Second, depression has been shown to affect the bullying by mediating Internet addiction. Third, depression has been shown to affect both victimization/bullying by mediating the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Fourth, the dual mediating effects of Internet addiction and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were significant in relation to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victimization/bullying. Finally,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목차
I.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국내 외국인 유학생 연구 동향 분석: 시기별 연구주제 변화 탐색
- 제3국 출생 북한이탈주민 자녀의 정서행동 문제에 대한 맥락적 이해 및 개입전략
- 부모-자녀간의 부모 지원에 대한 인식차가 학업성취 및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잠재성장모형 분석
- 중학생의 그릿, 행동조절, 자기결정동기의 종단적 상호 인과관계
- 초등학생의 우울과 집단따돌림 피해 및 가해행동의 관계: 인터넷 중독성향과 역기능적 분노표현의 매개효과
- “하위호환 인생은 살기 싫어요”: 자율형 사립고등학교에서 과학영재교육원 수료생의 내러티브 정체성 탐구
- 팀 프로젝트 학습에서 대학생이 경험한 갈등 : 서울 소재 S대학 사례
-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의 발달단계적 분석
- 고교생의 진로 역량 신장을 위한 프로그램으로서 ‘경기 꿈의 대학’의 성과와 개선 방안 탐색
- 변혁적 세계시민교육의 가능성 모색: B중학교 평화 활동 사례를 중심으로
- 창의적 문제해결 방법을 활용한 사이버불링 예방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 다층자료에서 경향점수 활용 방법에 따른 처치효과 추정치 양호도 분석
- 자존감과 대학생활 스트레스의 적합성이 대학생의 시간사용에 미치는 영향: 학자금 대출 상환 경험에 따른 다항회귀 및 반응표면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