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변혁적 세계시민교육의 가능성 모색: B중학교 평화 활동 사례를 중심으로

이용수  761

영문명
Exploring the possibilities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s transformative education: a case study on peace activities in B middle school
발행기관
한국교육학회
저자명
권순정(Soonjung Kwon) 조윤정(Yunjeong Jo) 서화진(Hwajin Seo)
간행물 정보
『교육학연구』제58권 제1호, 245~273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3.31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세계시민교육을 실천하고 있는 학교와 교사들이 학교라는 맥락 속에서 실제로 세계시민교육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으며 이를 실천하고 있는지를 탐색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질적 연구를 통해 세계시민교육을 실천하고 있는 한 학교(B중학교)의사례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동아리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활동을 기술·분석하여 학교 교육과정과 학교문화가 크게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탐색하였다. 이에 따라, 세계시민교육의 실천 내용을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 살펴보았으며 그 내용은 1) 세계 속에서 세계시민됨을 경험하기: 평화를 찾아서, 2) 학교 교육과정과 지역사회 속에서 발견하는 세계시민성, 3) 경험과 배움의 즐거움을 통한학교 문화의 점진적인 변화 등으로 요약할 수 있다.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본 연구는 변혁적 패러다임에 기초하여 세계시민교육을 조명하였다. 이에따라, 변혁적 교육으로서 세계시민교육이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평화의 문화를 구축하겠다는 목표가 있어야 한다는 것과, 그 목표에 도달하기 위해 세계시민으로서 문제를 인식하는 것에서 멈추는것이 아닌 행동으로서 변화에 동참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하고, 무엇보다 그 중심에 학습자가스스로 참여해야 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B중학교 사례는 변혁적 교육으로서세계시민교육이 평화를 목표로 하는 활동을 통해 점진적인 변화를 이루고 경험의 장인 공동체가확장되면서 개인(학습자)이 자신의 다층적 정체성을 경험하도록 하는 것이어야 함을 보여주고 있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aims to explore how teachers perceiv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nd develop practices in school-based context. Qualitative approach was conducted in one school case(B middle school) in order to explore the practices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concrete, we explored how school curriculum and school culture changes by describing and analyzing the club activities. Therefore, we analyzed the contents of practices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by thematizing three issues: 1) experiencing being global citizen: seeking for peace, 2) finding global citizenship in school curriculum and local community, and 3) gradual change of school culture through enjoyment of learning and experiencing. Following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we analyze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based on transformative educational paradigm. In order to play its role as transformative educatio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should pursue for building peaceful culture. To attain this goal,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should be constructed not just to know the problems but to make students participate in making changes in society by solving problems. Above all,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should be learner-centered. In conclusion, the case of B middle school shows that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s transformative education should have a goal to achieve peace and to make changes gradually. The experiences of making changes to reach peace will expand the field of community and thus develop multi-layered identities of individual(learner).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방법
IV. 연구 결과
V.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권순정(Soonjung Kwon),조윤정(Yunjeong Jo),서화진(Hwajin Seo). (2020).변혁적 세계시민교육의 가능성 모색: B중학교 평화 활동 사례를 중심으로. 교육학연구, 58 (1), 245-273

MLA

권순정(Soonjung Kwon),조윤정(Yunjeong Jo),서화진(Hwajin Seo). "변혁적 세계시민교육의 가능성 모색: B중학교 평화 활동 사례를 중심으로." 교육학연구, 58.1(2020): 245-27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