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공감 공동체 역량 증진 프로그램 개발: 중학생을 대상으로
이용수 418
- 영문명
- Development of an Empathetic Competency Improvement Program: Focused on Middle School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교육방법학회
- 저자명
- 김은정(Kim Eunjung) 이상수(Lee Sangsoo) 김현지(Kim Hyunji) 한우진(Han Woojin)
- 간행물 정보
- 『교육방법연구』제31권 제1호, 97~119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2.28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의 공감 공동체 역량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공감 공동체를 구축하기 위하여 첫째,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핵심 역량을 도출하였다. 둘째,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설계원리를 도출하였다. 셋째, 핵심역량과 설계원리에 기초하여 프로그램 초안을 개발하였다. 넷째, 프로그램의 내적 타당화를 위해 전문가 검토가 실시되었고, 프로그램의 1차 수정이 이루어졌다. 넷째, 프로그램의 외적 타당화를 위해 중학교 7개 학급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의 현장 적용이 실시되었고 이로부터 도출된 교사와 학생의 피드백을 통해 2차 수정 후 프로그램이 완성되었다. 최종 완성된 프로그램은 총 5개 모듈의 13차시로 구성되어있다. 5개의 모듈은 서로 독립적으로 구성되어 있으면서도 다른 모듈과 상호 연계되는 주제이므로 다양한 현장의 요구에 맞게 따로 또 같이 활용할 수 있다. 공감역량은 우리가 사회에 살아가면서 갖추어야 할 가장 핵심적이고도 기초적인 역량으로 분류되는 만큼, 청소년기에 공동체 내에서 공감역량을 적절히 학습할 수 있다면 이들이 보다 건강하고 행복하고 성공적인 삶을 살아갈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programs to enhance the empathetic community competency of middle school students. First, the core competences for program development were derived in order to establish a empathetic community. Second, the design principles for program development were derived. Third, the draft program was developed based on core competences and design principles. Fourth, expert reviews were conducted to justify the program internally, and the first revision of the program was made. Fifth, the program was applied on-site to seven classes in middle school for external validity of the program, and the program was completed after the second revision with feedback from teachers and students. The final completed program consists of 13 chapters of 5 modules. The five modules can be used separately and together to meet the needs of various sites. Since empathetic skills are the most fundamental skills that people should have in their society, if students can properly learn them in their school communities, they can lead healthier, happier, and successful live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학 교수학습센터 운영 사업의 통합적 성과평가방법에 관한 소고
- 지역아동센터 이용 청소년의 우울과 학교생활적응, 학업성취에 대한 스트레스의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 경기도 초중고 학생의 수학선행학습 실태 및 영향 분석
- 중학교 수학에서 성취목표, 자기효능감, 교실목표구조에 의한 비적응적 학습전략 사용과 성취도 설명 및 상호작용 검증
- 공감 공동체 역량 증진 프로그램 개발: 중학생을 대상으로
- 포스트휴먼 시대 학습자의 존재론적 이해와 학습이론 패러다임의 변화
- 긍정문항과 부정문항으로 이루어진 심리검사에 대한 방법효과 검증
- 자기표현 향상과 공격성 감소를 위한 유․아동용 쌀점토 미술활동 프로그램의 효과
- 특수교육 교사양성 체제에 관한 연구 분석
- 가상현실 학습환경에서 걷기 동작을 적용한 내비게이션이 가상실재감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