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경기도 초중고 학생의 수학선행학습 실태 및 영향 분석
이용수 449
- 영문명
- Analysis of the actual status and effect of mathematics prerequisite learning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Gyeonggi-do
- 발행기관
- 한국교육방법학회
- 저자명
- 장재홍(Jang Jaehong) 박인우(Park Innwoo)
- 간행물 정보
- 『교육방법연구』제31권 제1호, 45~66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2.28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경기도 초·중·고 학생의 수학선행학습 실태를 분석하고, 수학선행학습이 학업성취도, 수업태도, 교과효능감, 교과흥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수학선행학습에 대한 제언을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경기도교육연구원이 실시한 경기교육종단연구 제3차년도(2015년) 초·중·고 학생 10,760명의 데이터를 연구절차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수학선행학습이 학교급 전체에 걸쳐 매우 심화되고 있다. 둘째, 수학선행학습의 목적은 성적을 올리거나, 학교수업내용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함이다. 셋째, 수학선행학습을 하는 경기도 초·중·고 90%이상의 학생들이 사교육을 받고 있다. 넷째. 수학선행학습을 하는 학생이 하지 않는 학생보다 수업이해정도와 수업집중시간이 높았으며, 반대로 수학선행학습을 하지 않는 학생들은 수업이해정도와 수업집중시간이 떨어졌다. 다섯째. 수학선행학습을 하는 학생이 하지 않는 학생보다 학업성취도, 수업태도, 교과효능감, 교과흥미의 평균이 높게 나타났다. 결과를 바탕으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의 수학수업 다양성을 위한 수업 선택제, 학점 및 인증제 수업 도입이 필요하다. 둘째, 문제풀이식 평가제도 개선과 교수방법 변화가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ctual situation of mathematics prerequisite learning and to verify difference in effect between prerequisite learning students and non-students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in Gyeonggi-do. And to provide suggestion for prevention of mathematics prerequisite learning. For this study, the panel data of the 3rd year of Gyeonggi Education Panel Study(2015) were referred 10,760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athematics prerequisite learning was deepening throughout the whole school level. Second, the purpose of mathematics prerequisite learning was to improve grades or to better understand the content of school classes. Third, more than 90%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ho were mathematics prerequisite learning were receiving private tutoring. Fourth, mathematics prerequisite learning students had higher level of class understanding and concentration time than non-students. Fifth. mathematics prerequisite learning showed higher academic achievement, class attitude, mathematical efficacy, and mathematical interest than non-students. Based on the results, suggestions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diversify the level of mathematics teaching at school and to introduce class selection system in the mid term. Second,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problem-solving mathematics evaluation system and need to change teaching method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학 교수학습센터 운영 사업의 통합적 성과평가방법에 관한 소고
- 지역아동센터 이용 청소년의 우울과 학교생활적응, 학업성취에 대한 스트레스의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 경기도 초중고 학생의 수학선행학습 실태 및 영향 분석
- 중학교 수학에서 성취목표, 자기효능감, 교실목표구조에 의한 비적응적 학습전략 사용과 성취도 설명 및 상호작용 검증
- 공감 공동체 역량 증진 프로그램 개발: 중학생을 대상으로
- 포스트휴먼 시대 학습자의 존재론적 이해와 학습이론 패러다임의 변화
- 긍정문항과 부정문항으로 이루어진 심리검사에 대한 방법효과 검증
- 자기표현 향상과 공격성 감소를 위한 유․아동용 쌀점토 미술활동 프로그램의 효과
- 특수교육 교사양성 체제에 관한 연구 분석
- 가상현실 학습환경에서 걷기 동작을 적용한 내비게이션이 가상실재감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