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학교 수학에서 성취목표, 자기효능감, 교실목표구조에 의한 비적응적 학습전략 사용과 성취도 설명 및 상호작용 검증
이용수 430
- 영문명
- Explaining Maladaptive Strategy Use and Achievement in Middle School Mathematics by Achievement Goals, Self-Efficacy, Perceived Classroom Goal Structures, and Their Interaction
- 발행기관
- 한국교육방법학회
- 저자명
- 신다정(Dajung Diane Shin) 박진현(Jin Hyun Park) 강상진(Sang-Jin Kang) 봉미미(Mimi Bong)
- 간행물 정보
- 『교육방법연구』제31권 제1호, 67~95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2.28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수학에서 중학생의 비적응적 학습전략(부정행위, 도움요청회피)과 성취도에 대한 학생 동기 요인(성취목표, 자기효능감)과 교실환경 요인(교실목표구조)의 설명력을 파악하고, 이들 변인 간 상호작용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 지역 12개 중학교 54개 학급 소속 972명(남학생 529명, 여학생 443명)의 설문 응답을 2-수준 다층모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학생 수준 변인 중 가장 설명력이 강한 변인은 수학 자기효능감으로, 수학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수학에서의 비적응적 학습전략 사용이 줄고 성취도가 높았다. 수학 공부 중 도움이 필요해도 이를 회피하는 도움요청회피전략 사용은 수행접근목표를 추구할수록 증가하고 숙달접근목표를 추구할수록 감소하였다. 학급 수준 변인 중에서는 성적과 경쟁이 강조되는 수행목표구조 교실이 학생의 수학 부정행위와 도움요청회피를 심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1-수준 변인과 2-수준 변인 간 유의한 상호작용 효과는 학생 동기 요인의 설명력이 교실환경 요인에 따라 달라진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노력과 배움이 강조되는 숙달목표구조의 교실에서는 수행접근목표를 강하게 추구하는 학생일수록 비적응적 학습전략을 많이 사용하였으며, 수학 자기효능감이 낮은 학생일수록 수학성취도가 낮았다. 반면, 수행목표구조의 교실에서는 수학 자기효능감이 높은 학생일수록 수학 부정행위를 많이 하였고, 수행접근목표를 강하게 추구하는 학생일수록 수학성취도가 낮았다.
영문 초록
How student motivation, perceived classroom characteristics, and their interaction explained cheating, help-seeking avoidance, and achievement in middle school mathematics was examined. Responses of 972 students (529 boys, 443 girls) nested in 54 classrooms at 12 schools were analyzed using multilevel modeling. Among the individual-level variables, self-efficacy demonstrated the strongest explanatory utility. As self-efficacy increased, maladaptive strategy use decreased and achievement improved. Help-seeking avoidance increased with performance goals and decreased with mastery goals. Among the classroom-level variables, performance-oriented goal structures were associated with greater cheating and help-seeking avoidance. Cross-level interactions were also observed. In mastery-oriented classrooms, students with strong performance goals exhibited greater cheating and help-seeking avoidance, while those with weak self-efficacy did lower achievement. In performance-oriented classrooms, students with strong self-efficacy reported greater cheating, while those with strong performance goals did lower achievement.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 결과
Ⅴ. 논 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학 교수학습센터 운영 사업의 통합적 성과평가방법에 관한 소고
- 지역아동센터 이용 청소년의 우울과 학교생활적응, 학업성취에 대한 스트레스의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 경기도 초중고 학생의 수학선행학습 실태 및 영향 분석
- 중학교 수학에서 성취목표, 자기효능감, 교실목표구조에 의한 비적응적 학습전략 사용과 성취도 설명 및 상호작용 검증
- 공감 공동체 역량 증진 프로그램 개발: 중학생을 대상으로
- 포스트휴먼 시대 학습자의 존재론적 이해와 학습이론 패러다임의 변화
- 긍정문항과 부정문항으로 이루어진 심리검사에 대한 방법효과 검증
- 자기표현 향상과 공격성 감소를 위한 유․아동용 쌀점토 미술활동 프로그램의 효과
- 특수교육 교사양성 체제에 관한 연구 분석
- 가상현실 학습환경에서 걷기 동작을 적용한 내비게이션이 가상실재감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