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특수교육 교사양성 체제에 관한 연구 분석
이용수 165
- 영문명
- An Analysis of Studies on Special Education Teacher Training System in Korea
- 발행기관
- 한국교육방법학회
- 저자명
- 나경은(Na Kyong-Eun)
- 간행물 정보
- 『교육방법연구』제31권 제1호, 187~207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2.28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교원양성 단계에서 이루어지는 교육에 관한 연구들을 중심으로 어떠한 연구주제와 연구방법들을 가지고 수행되었는지 분석하여, 향후 특수교육 교사양성 자격제도 및 교육과정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1998년부터 2018년까지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들을 중심으로 포함준거를 통해 선정된 37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특수교육 교원양성에 관한 연구들의 동향, 연구주제, 연구방법 측면에서 분석했다. 연구결과 첫째, 연도별 추이를 살펴보면, 2000-2001, 2012, 2016년도를 제외하고는 1998년 이후 2018년까지 매년 1편에서 5편의 연구가 발표되었다. 둘째, 분석대상의 주제는 ‘장애영역에 따른 특수교육 교사양성에 관한 연구’, ‘국외 특수교육 교사양성에 관한 연구’, ‘학교급별 특수교사 양성에 관한 연구‘, ‘특수교육 교사양성 교육과정에 관한 연구’, ‘특수교육 교사의 자질과 자격’으로 유목화되었다. 셋째, 37편의 분석대상 논문 중 양적연구는 4편, 질적연구는 4편, 문헌연구는 25편, 혼합연구는 4편이었다. 이상의 결과에 대한 시사점을 기술한 후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research topics and research methods carried out in the studies on education in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 training phase, and to draw implications for the qualification system and curriculum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the future. To accomplish the purpose, the trends, research themes, and research method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 training in 37 papers selected from the inclusion criteria was to investigate focusing on the papers published in domestic journals from 1998 to 2018.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from year to year, except for 2000-2001, 2012, and 2016, 1 to 5 studies were published annually from 1998 to 2018. Second, the subjects of the analysis were research on the training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ccording to disability area , research on the training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broad , research on the training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t school level , and qualification and qualification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 Third, in terms of research method, 37 papers were analyzed into 4 quantitative studies, 4 qualitative studies, 25 literature studies, and 4 mixed studies. In addition to discussing the above results,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 의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학 교수학습센터 운영 사업의 통합적 성과평가방법에 관한 소고
- 지역아동센터 이용 청소년의 우울과 학교생활적응, 학업성취에 대한 스트레스의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 경기도 초중고 학생의 수학선행학습 실태 및 영향 분석
- 중학교 수학에서 성취목표, 자기효능감, 교실목표구조에 의한 비적응적 학습전략 사용과 성취도 설명 및 상호작용 검증
- 공감 공동체 역량 증진 프로그램 개발: 중학생을 대상으로
- 포스트휴먼 시대 학습자의 존재론적 이해와 학습이론 패러다임의 변화
- 긍정문항과 부정문항으로 이루어진 심리검사에 대한 방법효과 검증
- 자기표현 향상과 공격성 감소를 위한 유․아동용 쌀점토 미술활동 프로그램의 효과
- 특수교육 교사양성 체제에 관한 연구 분석
- 가상현실 학습환경에서 걷기 동작을 적용한 내비게이션이 가상실재감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