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지역아동센터 이용 청소년의 우울과 학교생활적응, 학업성취에 대한 스트레스의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이용수 446
- 영문명
- The effect of stress on depression, school adjust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in adolescents using community child care center: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 발행기관
- 한국교육방법학회
- 저자명
- 이선영(Sun-Young Lee) 송주연(Juyeon Song)
- 간행물 정보
- 『교육방법연구』제31권 제1호, 21~43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2.28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청소년이 경험한 중학교 1학년 시기의 스트레스와 중학교 2학년 시기의 우울과 학교생활적응, 학업성취 간 예측 관계를 관찰하고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사회적 지지자로는 청소년기 발달 과정에서 유의미한 타인으로 인식될 수 있는 부모, 또래 및 센터교사로 상정하였으며, 이들의 사회적 지지가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청소년의 정서적․사회적․인지적 발달에서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결과 도출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지역아동센터 1기 패널 중 중학교 1학년에 해당하는 4차(2014년)와 중학교 2학년에 해당하는 5차(2015년) 설문에 참여한 282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교 1학년 시기에 경험한 스트레스는 중학교 2학년의 우울감을 높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중학교 2학년 시기에 부모 및 또래의 지지를 긍정적으로 지각하면 우울의 정도는 낮아질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학교 1학년 시기에 경험한 스트레스는 중학교 2학년 시기 학교적응에 부정적인 역할을 할 가능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중학교 2학년 시기에 부모와 또래, 센터교사의 사회적 지지를 충분히 지각한 청소년의 경우에는 학교에서 적응적으로 생활할 가능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학교생활적응에 대한 중학교 1학년 시기의 스트레스와 중학교 2학년 시기의 부모지지 간 상호작용이 유의하게 나타났는데, 이는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스트레스의 부정적인 역할을 부모의 지지가 완충해주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중학교 2학년 시기에 지역아동센터 교사의 지지를 강하게 지각하는 학습자일수록 높은 학업성취 수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청소년의 정서적․사회적․인지적 발달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사회적 지지자로서 부모와 또래, 센터교사의 역할에 관해 논하였다. 무엇보다 이들 청소년의 학업성취 수준의 중요한 예측 변인으로 지역아동센터 교사의 사회적 지지의 역할의 중요성을 밝힌 것은 이전의 연구와는 분명하게 구분되는 본 연구만의 고유한 성과이다.
영문 초록
The primary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in the effect of stress on depression, school adjust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in adolescents who use a community child care center across two years. We assumed parents, peers and center teachers as meaningful others of adolescents. For this purpose, 282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e fifth (2015) questionnaire in the fourth grade (2014) and the second grade of middle school in the 1st child panel of the community child care center were used for the analysi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stress increased the degree of depression, but the degree of depression was negatively predicted by perceived social support from parents and peers. Second, stress negatively predicted school adjustment, while perceived support from parents, peers and center teachers positively predicted school adjustment. In particular,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stress and perceived support from parents, meaning that parents’ support can buffer the effect of stress on school adjustment. Third, perceived support from center teachers positively predicted academic achieve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long-term observational research is needed to observe the emotional, social and cognitive aspects of adolescents using community child care center. At the same tim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the center teacher s social support plays an important role in predicting academic achievement.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학 교수학습센터 운영 사업의 통합적 성과평가방법에 관한 소고
- 지역아동센터 이용 청소년의 우울과 학교생활적응, 학업성취에 대한 스트레스의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 경기도 초중고 학생의 수학선행학습 실태 및 영향 분석
- 중학교 수학에서 성취목표, 자기효능감, 교실목표구조에 의한 비적응적 학습전략 사용과 성취도 설명 및 상호작용 검증
- 공감 공동체 역량 증진 프로그램 개발: 중학생을 대상으로
- 포스트휴먼 시대 학습자의 존재론적 이해와 학습이론 패러다임의 변화
- 긍정문항과 부정문항으로 이루어진 심리검사에 대한 방법효과 검증
- 자기표현 향상과 공격성 감소를 위한 유․아동용 쌀점토 미술활동 프로그램의 효과
- 특수교육 교사양성 체제에 관한 연구 분석
- 가상현실 학습환경에서 걷기 동작을 적용한 내비게이션이 가상실재감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