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메타분석
이용수 69
- 영문명
- Meta analysis on the job satisfaction of teachers
- 발행기관
- 교육종합연구원
- 저자명
- 황연우(Hwang Yeon-u)
- 간행물 정보
- 『교육종합연구』제14권 제1호, 195~224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3.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교사의 직무만족 제고의 효과성을 파악하기 위해 2000년부터 2015년까지 출판된 교사 직무만족과 관련된 국내 석·박사학위논문, 학술지 논문 248편을 메타분석을 적용하여 종합·분석하였다. 그 결과 교사 직무만족 정적·부적변인으로 인적측면, 정책측면, 조직측면, 교사측면이 유목화 되었고, 조절변인으로 학교급과 출판년도를 설정하였다. 분석결과 교사 직무만족과 전체 정적변인의 효과크기는 .495였고, 전체 부적변인의 효과크기는 -.202였다. 정적변인은 정책측면, 인적측면, 교직측면, 교사측면 순의 효과크기를 보였고, 부적변인은 교사측면, 조직측면, 인적측면 순의 효과크기였다. 중등교사가 정적·부적변인 모두 초등교사보다 높은 효과크기를 보였고, 정적변인의 인적·교사측면, 부적변인의 인적측면과 직무만족이 초등교사에 비해 큰 효과크기를 보였다. 또한 출판년도에 따라 효과크기가 커진 것은 조직측면의 조직몰입, 교사측면의 교사 효능감이었고, 조직측면의 공동체문화는 점차 효과크기가 작아졌다. 이외 본 연구결과와 선행메타분석 연구결과의 논의를 통해 교사의 직무만족 제고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synthesizes and analyzes 248 journal articles and theses of national masters and doctors related to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published from 2000 to 2015 to grasp effectiveness to enhancement of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human factors, political factors, organizational factors, and teacher’s factors are classified as positive and negative factors of teachers’ job satisfaction. Also, this study set the school scale and publication year as adjust factor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effect size of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all positive variables is 0.495, and that of all negative variables is –0.202. Positive variables show the order of political, human, academic, and teachers’ factors. And negative variables has the order of teachers’, organizational, and human factors. Secondary teachers show larger effect size in both positive and negative variables and much larger effect size of human, teachers’ factors in positive variables and teachers’ organizational, and human factors in negative variables than elementary teachers than elementary teachers. In addition, the effect size of organizational immersion and teachers’ efficiency becomes larger depending on the publication year, and that of communal culture becomes smaller. Besides, this study suggests for enhancement of teachers’ job satisfaction through discussion of the result of this study and preceding meta-analysi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및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교구성원들의 정체성과 담론들 간의 역동적 관계: 자율형공립고의 사례분석
- 중학생 읽기동기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전략기반교수(SBI) 활동이 외국어전공 대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의 학업성취도 증진 효과
- 내담자의 도움추구유형에 따른 상담자의 감정억제와 공감, 상담성과와의 관계
- 대학 신입생 적응 지원을 위한 교육요구 분석
- 학교장의 관리 역량과 학교효과성과의 관계에 대한 탐색적 연구
- 대학생의 도덕적 자아, 성격강점, 도덕적 고양과 이타적 행동과의 구조적 관계분석
- 해석학의 상담학적 의의
-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메타분석
-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삶의 만족에 대한 문화적응 매개 효과 연구
- 국내외 복식수업 연구의 주요 쟁점들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과 전문성이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천역량에 미치는 영향
- 유아 디지털 놀이에 나타난 디지털 시민성 탐구
-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 평가에 대한 유아교사의 이해와 실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