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교장의 관리 역량과 학교효과성과의 관계에 대한 탐색적 연구
이용수 56
- 영문명
- An Explorative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Principals’ Management Capacity and School Effectiveness
- 발행기관
- 교육종합연구원
- 저자명
- 하정윤(Ha Jung-youn) 이지혜(Lee Ji-hye)
- 간행물 정보
- 『교육종합연구』제14권 제1호, 127~147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3.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학교장의 관리 역량과 학교효과성과의 관계를 탐색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학교장의 관리 역량으로 학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정책 실천 정도’에 초점을 두었고, 학교효과성의 측정준거는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와 학교만족도를 선정하였다. 경기교육종단연구(GEPS) 3차년도(2014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2수준의 위계적 선형 모형(HLM)으로 설계한 후 일반고 53개교와 학생 3,235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와 학교만족도에 대한 학교장 간 분산은 각각 29.253%, 9.832%로 나타났고, 학생 수준의 변인을 통제한 이후에도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와 학교만족도에 대한 학교장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장의 관리 역량 변인 중에서 교육정책 실천정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는데, 이러한 결과는 학교장의 교육정책 실천 정도가 높을수록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와 학교만족도가 높다는 것을 보여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교육정책에 대한 학교장의 이해와 실천 수준을 제고하기 위해 보다 체계화된 연수과정을 마련하고 실천 역량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또한, 학교장의 교육정책 실천 역량을 확인할 수 있는 기준과 제도를 구축하여 학교장의 선발 및 배치 시에 활용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principals’ management capacity and school effectiveness. Its focus was o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he level of policy practice” as management capacity of school principals, and the academic achievement and school satisfaction of students were selected as a measurement criterion for school effectiveness. Using the third-year data of Gyeonggi Education Panel Study (GEPS), the study was designed as a Level-2 Hierarchical Linear Modeling (HLM), and the data of 53 regular high schools and 3,235 student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ndicated that the standard deviation between school principals for the academic achievement and school satisfaction of students was 29.253% and 9.832%, respectively, and that the difference between school principals concerning the academic achievement and school satisfaction of student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even after controlling for student-level variables. It was confirmed that, among the variables affecting the management capacity of school principals, the level of practicing the education policy mad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hich indicates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school principals practicing the education policy, the higher the academic achievement and school satisfaction of students.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hat they arrange more structured training courses and strengthen the capabilities of practice in order to enhance the school principals’ understanding of education policy and their practice levels. It is also suggested that they establish the standards and institutions for checking the capabilities of school principals practicing the education policy and use them in selecting and placing them.
목차
Ⅰ. 문제의 제기
Ⅱ. 연구방법
Ⅲ. 분석결과
Ⅳ. 논의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교구성원들의 정체성과 담론들 간의 역동적 관계: 자율형공립고의 사례분석
- 중학생 읽기동기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전략기반교수(SBI) 활동이 외국어전공 대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의 학업성취도 증진 효과
- 내담자의 도움추구유형에 따른 상담자의 감정억제와 공감, 상담성과와의 관계
- 대학 신입생 적응 지원을 위한 교육요구 분석
- 학교장의 관리 역량과 학교효과성과의 관계에 대한 탐색적 연구
- 대학생의 도덕적 자아, 성격강점, 도덕적 고양과 이타적 행동과의 구조적 관계분석
- 해석학의 상담학적 의의
-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메타분석
-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삶의 만족에 대한 문화적응 매개 효과 연구
- 국내외 복식수업 연구의 주요 쟁점들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