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삶의 만족에 대한 문화적응 매개 효과 연구
이용수 51
- 영문명
- A Study on the Mediating Effect of Cultural Adaptation on Life Satisfaction of International Marriage Women Immigrants
- 발행기관
- 교육종합연구원
- 저자명
- 서재복(Seo Jae-bok) 권인탁(Kwon In-tak) 임명희(Im Myoung-hee)
- 간행물 정보
- 『교육종합연구』제14권 제1호, 225~246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3.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오늘날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증가에 따라 그들의 삶의 질 향상은 당면 문제다. 이 연구에는 국제결혼 이주여성들을 대상으로 사회적지지, 문화적응, 삶의 만족에 대한 인식정도를 알아보고 사회적 지지요인과 삶의 만족도에서 문화적응 하위요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시지역 문화센터에서 수강하는 국제결혼 이주여성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문화적응이 가장 심각하였으며 사회적 지지와 삶의 만족도는 보통 수준이었다. 그리고 국제결혼 이주여성들이 인식한 사회적지지의 하위요인인 정서적 지지, 평가적 지지, 물질적 지지를 투입한 결과 정서적 지지, 평가적 지지, 정보적 지지 요인에서 통합을 매개로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며, 부분 매개효과를 가졌다. 또한 정보적지지 요인에서 동화요인도 부분 매개 매개효과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국제결혼 이주여성들이 우리사회에 적응함에 있어 물질적 지원보다는 그들이 주도적으로 살아갈 수 있는 존경, 애정, 신뢰, 관심 등의 지지와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행위를 인정해주거나 직업의 기회를 알려주거나 직업을 구할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correlation analysis of social support, cultural adaptation, and life satisfaction of international marriage women immigrants living in Korea by examination their level of recognition of those factors, as well a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sub-factors of cultural adapt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factor and life satisfaction.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 a survey was carried out on 207 international marriage women immigrants living in Yeosu regi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score of the variables of social support, cultural adaptation, and life satisfaction of international marriage women immigrants is M=3.09 for social support, M=2.80 for cultural adaptation, and M=3.40 for life satisfaction respectively, which indicates cultural adaptation of international marriage women immigrants is at a normal level. Compared to cultural adaptation, they showed a higher level of recognition of life satisfaction. Second, social support factor and cultural adaptation factor of international marriage women immigrants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life satisfaction. Third, the result of putting in emotional support, appraisal support, and material support—sub-factors of social support recognized by international marriage women immigrants—shows emotional support, appraisal support, and informational support had effects on life satisfaction mediated by integration; integration had partially mediating effects in emotional support, appraisal support, and informational support; and assimilation too had partially mediating effects in informational support.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international marriage women immigrants in Yeosu region who participated in the survey showed a high level of recognition of social support, cultural adaptation, and life satisfaction, and there was a high complementary correlation between the factors.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satisfaction on the one hand and emotional support, appraisal support, and informational support on the other as perceived by the international marriage women immigrants in Yeosu region who participated in the survey was partially mediated by integration, which indicates the correlation between integration and life satisfaction. Third, in the relationship with life satisfaction, informational support proved to be partially mediated by assimilation, which indicates a high level of correlation with life satisfaction. As for suggestions to make follow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for social adaptation of international marriage women immigrants, various efforts are needed including respect, love, trust, and attention as well as recognition of international marriage women immigrants and job placement; second, international marriage women immigrants need to adapt themselves to Korean society by accepting the new culture while keeping the culture of their native country; third, for enhancing life satisfaction of international marriage women immigrants, they need to find ways to improve satisfaction with themselves and live an independent lif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교구성원들의 정체성과 담론들 간의 역동적 관계: 자율형공립고의 사례분석
- 중학생 읽기동기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전략기반교수(SBI) 활동이 외국어전공 대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의 학업성취도 증진 효과
- 내담자의 도움추구유형에 따른 상담자의 감정억제와 공감, 상담성과와의 관계
- 대학 신입생 적응 지원을 위한 교육요구 분석
- 학교장의 관리 역량과 학교효과성과의 관계에 대한 탐색적 연구
- 대학생의 도덕적 자아, 성격강점, 도덕적 고양과 이타적 행동과의 구조적 관계분석
- 해석학의 상담학적 의의
-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메타분석
-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삶의 만족에 대한 문화적응 매개 효과 연구
- 국내외 복식수업 연구의 주요 쟁점들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