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교구성원들의 정체성과 담론들 간의 역동적 관계: 자율형공립고의 사례분석
이용수 27
- 영문명
- Dynamics of the identities and discourses of school agencies: A case analysis of the Autonomous Public High Schools
- 발행기관
- 교육종합연구원
- 저자명
- 박휴용(Park Hyu-Yong)
- 간행물 정보
- 『교육종합연구』제14권 제1호, 21~47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3.3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는 특정 학교정책의 실천과정에서 학교 구성원들의 다양한 입장과 관점들이 어떻게 역동적으로 상호작용하는지를 비판적 담론분석의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Castells(2004)의 조직 내 구성원들의 정체성 유형(지향적, 적응적, 저항적 정체성)에 대한 구분과 Rogers(2004)의 정체성들 간의 역동적 상호작용(동조, 갈등, 타협)에 대한 이론을 토대로 자공고 운영과정에서 나타난 학교구성원들의 담론에 대해 비판적 담론분석을 시도하였다. 분석의 대상이 된 학교는 연구자가 컨설팅 전문가로 참여관찰 한 수도권 근교의 자율형 공립고로 지정된 5개 고등학교이고, 이 학교의 구성원들을 학교관리자(교장/교감), 담당 교사, 그리고 학생/학부모로 구분하여, 각각에 대한 인터뷰를 실시한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연구 대상 5개 학교는 각 학교 만의 독특한 자공고 신청 취지를 가지고 있었는데, 이러한 취지가 담당교사나 대상 학생/학부모들의 견해와 다양한 방식으로 동조 및 갈등의 양상을 나타내고 있는 것과, 이것이 자율형 공립고 운영과 관련한 여러 사항들에 대한 문제점 지적과 근본적 제도 개선 요구라는 형태로 타협점을 모색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고의 분석을 바탕으로 자율형 공립고와 같은 교육정책들이 실행될 때 학교 구성원들의 다양한 요구와 그들의 정체성 및 담론들의 역동적 상호작용을 제대로 이해하고 반영하는 것이 필수적이라는 사실을 가르쳐주고 있는 것이다.
영문 초록
By adopting critical discourse analysis, this paper investigates the dynamic relationships among the identities of school agencies on the implementation of certain educational policies. Based on Castells’ (2004) theory of the types of identities(projective, legislative, & resistance identity) and Rogers’ (2004) theory of dynamic interactions among the identities (alignment, conflict, & negotiation). this paper analyzes the identities of school agencies(e.g., principals, teachers, and parents/students) regarding the implementation of Autonomous Public High Schools(APHS). The participating schools of this study are 5 APHS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for these schools, school executive summery and survey data for the implementation of APHS programs are analyzed. In addition, interviews were administered with the principals, teachers, parents/students in each school. The results are: first, each school has idiosyncratic intents of applying for the APHS program, which are exactly represented in their voices or identities. Second, the identities of the school agencies interact dynamically with each other in terms of alignment, conflict, or negotiation, which are well surfaced in their requests for consulting and suggestions for improvement. This paper’s discussion may provide an exemplary model for analyzing the voices or identities of school agencies upon the implementation of governmental school policies.
목차
Ⅰ. 서론: 공교육 위기의 대안으로써의 자공고
Ⅱ. 본론
Ⅲ.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교구성원들의 정체성과 담론들 간의 역동적 관계: 자율형공립고의 사례분석
- 중학생 읽기동기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전략기반교수(SBI) 활동이 외국어전공 대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의 학업성취도 증진 효과
- 내담자의 도움추구유형에 따른 상담자의 감정억제와 공감, 상담성과와의 관계
- 대학 신입생 적응 지원을 위한 교육요구 분석
- 학교장의 관리 역량과 학교효과성과의 관계에 대한 탐색적 연구
- 대학생의 도덕적 자아, 성격강점, 도덕적 고양과 이타적 행동과의 구조적 관계분석
- 해석학의 상담학적 의의
-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메타분석
-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삶의 만족에 대한 문화적응 매개 효과 연구
- 국내외 복식수업 연구의 주요 쟁점들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