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내담자의 도움추구유형에 따른 상담자의 감정억제와 공감, 상담성과와의 관계
이용수 55
- 영문명
- The Relations of Counselor s Emotional Restraint, Empathy and Counseling Outcome of Client s Help-seeking types
- 발행기관
- 교육종합연구원
- 저자명
- 김지현(Kim Ji-Hyeon) 정옥경(Jeong Ok-Kyung)
- 간행물 정보
- 『교육종합연구』제14권 제1호, 247~270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3.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상담자의 감정억제가 내담자가 지각하는 상담자 공감과 상담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전국의 청소년상담복지센터, 대학교 학생상담센터, 사설 유료 상담기관, Wee 센터, Wee Class 등에 근무하는 상담자 128명과 그들에게 현재 상담을 받고 있는 중학교 3학년 이상의 내담자 12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내담자의 도움추구유형에 따라 상담 장면에서 정보제공과 조언을 얻고자 하는 집단을 지시집단으로, 이해 및 공감, 격려 및 정서적 지지를 얻고자 하는 집단을 지지집단으로 연구대상을 나누었다. 얻어진 자료에 대해 상관분석 및 다집단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지시집단에서 상담자의 감정억제는 내담자가 지각한 상담자 공감과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지지집단에서 상담자의 감정억제는 상담성과와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공감과 상담성과와의 상관은 지시집단과 지지집단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다집단 경로분석은 지시집단의 경우에만 상담자의 감정억제와 내담자의 상담성과를 내담자가 지각한 상담자 공감이 유의하게 매개하고 있음을 보여 주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how counselor s emotional restraint affects empathy and the counseling outcome that the client perceives. A survey was carried out targeting 128 counselors who work at Youth counseling Welfare Centers, University Student Counseling Centers, Charged Private Counseling Organization, Wee Center and Wee Class, etc. and their 128 clients who are over the third grade of middle school. The subject of study is divided into two parts according to client s help-seeking types: one subject is directed groups who want to get information and advice in the counseling scene and another is support groups who want to gain understanding, empathy, encouragement and emotional support.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group analysis were executed from the obtained data, and the result is as follows. In the directed groups, counselor s emotional restraint resulted in a negative correlation with empathy but positive correlation with counseling outcome. The correlation between empathy and counseling outcome resulted in a positive correlation statistically in both directed groups and support groups. In conclusion, multiple group analysis resulted in clients perceiving empathy, which mediates counselor s emotional restraint and client s counseling outcome in only directed groups.
목차
Ⅰ. 서론
Ⅱ. 방법
Ⅲ. 결과
Ⅳ. 논의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교구성원들의 정체성과 담론들 간의 역동적 관계: 자율형공립고의 사례분석
- 중학생 읽기동기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전략기반교수(SBI) 활동이 외국어전공 대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의 학업성취도 증진 효과
- 내담자의 도움추구유형에 따른 상담자의 감정억제와 공감, 상담성과와의 관계
- 대학 신입생 적응 지원을 위한 교육요구 분석
- 학교장의 관리 역량과 학교효과성과의 관계에 대한 탐색적 연구
- 대학생의 도덕적 자아, 성격강점, 도덕적 고양과 이타적 행동과의 구조적 관계분석
- 해석학의 상담학적 의의
-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메타분석
-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삶의 만족에 대한 문화적응 매개 효과 연구
- 국내외 복식수업 연구의 주요 쟁점들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