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내외 복식수업 연구의 주요 쟁점들
이용수 48
- 영문명
- A Review of research issues regarding Multigrade Class: Implications for Teacher Education and Training
- 발행기관
- 교육종합연구원
- 저자명
- 노양진(Noh Yang-jin) 신나민(Shin Na-min)
- 간행물 정보
- 『교육종합연구』제14권 제1호, 101~125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3.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명의 교사가 두 학년 이상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동시에 수업을 실행하는 복식수업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 미래예비교사양성에 필요한 시사점을 파악하고자 국내외 관련 연구 문헌들을 분석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Cooper의 통합적 문헌고찰 방법을 활용하였으며 키워드 검색을 통해 선택된 국내 27편, 국외 21편의 연구물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분석 결과 국내 문헌들의 연구 쟁점은 복식수업 설계 및 개발, 복식수업 효과성, 복식수업 개선방안, 복식수업 인식 및 실태로 구분되었으며, 국외의 경우는 복식수업 효과성, 복식수업에 대한 교사의 인식, 복식수업 방법, 복식수업 교사교육 요구로 분류되었다. 이러한 분석은 예비교사양성교육에 있어 다음과 같은 쟁점에 대한 논의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첫째, 국내외 모두 복식수업 담당 교원들은 양성교육 과정에서 관련 학습을 하지 못했거나 연수 경험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복식수업의 질은 학급유형이나 학습자의 개인적 배경보다 복식수업 교사가 적용하는 수업방법과 관련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복식수업 학교에 배치되는 교직원 수의 상대적 부족으로 인하여 복식수업 담당 교사가 담당해야 하는 행정업무 및 수업 준비에 드는 시간과 노력이 단식수업 교사에 비하여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국내의 예비교사양성 교육과정이 다양한 연령, 학년, 지적 수준이 혼합된 교실 환경 속에서 수업 할 수 있는 교사를 배출하는데 좀 더 체계적인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research studies on multigrade class for bringing about basic understandings and implications for teacher education and training. For the purpose, we utlized Cooper s method integrative literature analysis. using 27 studies published in Korean, and 21 overseas studies published in English. The Korean literature was categorized under the four themes: insturctional design and development of multigrade class, the effects of multigrade class teaching and learning, ideas for improving teaching in multigrade class and teachers recognition and current practices of multigrade class. Also, the studies overseas revealed four themes: the effects of multigrade class teaching and learning, teachers recognitions of multigrade class, methods of multigrade class and needs for teacher education. Synthesizing the analyses, we suggested considerations needed for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and training, which is necessary to equip future teachers with competencies in dealing with multigrade class and diverse learner groups not only in grade but also in age, clutre, intellectual levels, academic interest etc.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교구성원들의 정체성과 담론들 간의 역동적 관계: 자율형공립고의 사례분석
- 중학생 읽기동기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전략기반교수(SBI) 활동이 외국어전공 대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의 학업성취도 증진 효과
- 내담자의 도움추구유형에 따른 상담자의 감정억제와 공감, 상담성과와의 관계
- 대학 신입생 적응 지원을 위한 교육요구 분석
- 학교장의 관리 역량과 학교효과성과의 관계에 대한 탐색적 연구
- 대학생의 도덕적 자아, 성격강점, 도덕적 고양과 이타적 행동과의 구조적 관계분석
- 해석학의 상담학적 의의
-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메타분석
-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삶의 만족에 대한 문화적응 매개 효과 연구
- 국내외 복식수업 연구의 주요 쟁점들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