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설화에 나타난 ‘새식구 들이기’에 대한 두 가지 시선 : <며느리 고르기>와 <사위 고르기> 설화의 비교

이용수  87

영문명
발행기관
한국구비문학회
저자명
박현숙
간행물 정보
『구비문학연구』제30집, 1~36쪽, 전체 36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01.01
7,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쌀 서 말로 석 달 산 며느리 고르기》설화를 중심으로 한 <며느리 고르기> 설화와《거짓말 세 마디로 사위 고르기》설화를 중심으로 한 <사위 고르기>설화의 비교를 통해 설화에 반영된 ‘며느리’와 ‘사위’에 대한 두 시선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며느리 고르기>설화와 <사위 고르기>설화에서 새식구의 자격 조건, 재능시험 목적, 새 식구 고르기에 임하는 결정권자의 자세 등의 차이를 먼저 살핀 뒤, 두 설화에 나타난 가족 관계망 속에서 ‘며느리’와 ‘사위’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여성과 남성에 대한 성인식의 차이 에서 비롯되었음을 밝혔다. 더 나아가 여성과 남성에 대한 인식코드가 두 설화의 갈래적 차 이를 형성하는 작동기제임을 입증하였다. 두 설화에서 며느리 고르기 목적엔 아들과 가문이 중심에 놓여 있다. 며느리 고르기의 결정권자는 며느릿감 재능시험 전과정에 거쳐 적극적이고 신중한 태도를 취한다. 그러나 사위 고르기의 목적엔 결정권자의 사적 욕망이 중심에 놓여있다. 사위 고르기 설화에서 딸 은 아버지의 사적 욕망의 수단이 된다. 따라서 사위 고르기의 결정권자는 순간적이고 즉흥 적으로 사윗감의 재능시험 과정을 즐기고 있을 뿐 정작 취재(取才) 성공에는 방관적 태도를 취한다. 이처럼 며느리와 사위 고르기 설화에서 새식구의 재능을 시험하여 고르려는 목적과 결정권자의 자세에서 크게 차이를 보이는 것은 가족관계망 속에 내재되어 있는 여성과 남성에 대한 인식 코드가 발현된 결과라 하겠다. ‘며느리’와 ‘사위’에 대한 인식코드는 가족관계망 속에서 가문에서의 지위와 역할, 책임감 의 유무, 경중(輕重)에 따라 여성(딸), 남성(아들), 외인, 내인이라는 4가지의 핵심 키워드로 발현된다. <며느리 고르기>설화는 대체로 가문을 상징하는 남성(아들)(+), 내인(內人)(+)의 키워드가 작동하여 진지한 서사를 지닌 본격담(本格譚)과 연결된다. 그에 비해 <사위 고르 기>설화는 대체로 가문과 아들이 배제된 채 여성(딸)(+), 외인(外人)(+)의 키워드가 작동하여 부담없이 웃음을 즐기는 서사를 지닌 소화(笑話)와 연결된다. 그러나 <사위 고르기>류의 설 화에서 사위를 구하는 목적이 가문과 아들을 대신할 남성(아들)(+), 내인(內人)(+)을 얻기 위 함에 있다면 이는 진지한 서사를 지닌 본격담(本格譚)과 연결된다. 이처럼

영문 초록

목차

1. 머리말
2. <며느리 고르기>설화와 <사위 고르기>설화 비교
3. ‘새식구 들이기’의 인식 층위
4.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현숙. (2010).설화에 나타난 ‘새식구 들이기’에 대한 두 가지 시선 : <며느리 고르기>와 <사위 고르기> 설화의 비교. 구비문학연구, 30 , 1-36

MLA

박현숙. "설화에 나타난 ‘새식구 들이기’에 대한 두 가지 시선 : <며느리 고르기>와 <사위 고르기> 설화의 비교." 구비문학연구, 30.(2010): 1-3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