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일제강점기 대중가요에 나타난 가족의 양상 고찰
이용수 225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구비문학회
- 저자명
- 장유정
- 간행물 정보
- 『구비문학연구』제30집, 101~128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1.0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는 일제강점기가 전통성, 근대성, 식민성이 착종되었던 시기였다는 점에 착안하여
대중가요에는 그러한 모습이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구체적인 작품을 통해 살펴본 것이다.
가족을 소재로 한 일제강점기 대중가요는 크게 ‘전통적 가족 가치의 재생’, ‘새로운 가족 형
태의 출현’, 그리고 ‘가족의 해체와 아버지의 부재’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은
전통성, 근대성, 식민성을 대변하면서 공존하였다.
먼저, ‘전통적 가족 가치의 재생’에서는 자식이나 아내의 입장에서 어머니에 대한 그리움
과 떠나서 돌아오지 않는 남편에 대한 기다림을 표현한 노래가 많았다. 음악적으로 이러한
노래들은 당대 주류를 차지하였던 애조의 트로트 형식을 차용하였다. 다음으로 ‘새로운 가
족 형태의 출현’은 당시에 새롭게 등장한 소가족의 풍경을 보여주고 있다. 주로 만요로 이
루어진 이러한 노래들은 아내와 남편의 대화로 이루어져 있으며, 당대 소시민의 욕망을 과
장되게 표현하여 웃음을 유발한다는 특징이 있다.
마지막으로 ‘가족의 해체와 아버지의 부재’는 군국가요에서 나타났다. 국가에 대한 충성
을 강조하는 이러한 노래들은 아내가 남편에게, 남편이 어머니에게, 혹은 어머니가 아들에
게 보내는 편지나 고백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작품들은 오히려 일제에 의해 희
생된 가족의 모습을 보여줌으로써 도리어 가족의 소중함을 깨닫게 하기도 하였다.
영문 초록
목차
1. 머리말
2. 전통적 가족 가치의 재생
3. 새로운 가족 형태의 출현
4. 가족의 해체와 아버지의 부재
5. 맺음말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동계 자료와의 대비를 통해 본 <차사본풀이>의 성격과 기능
- 설화에 나타난 ‘새식구 들이기’에 대한 두 가지 시선 : <며느리 고르기>와 <사위 고르기> 설화의 비교
- 안동지역 공민왕 관련 민속의 전승양상과 주민들의 ‘문화 읽기와 쓰기’
- 가구라(神樂)의 신들림과 표상적 장치
- [황구연전집] 소재 한국 문헌설화의 재구의식
- ‘부모화된 아이’를 위한 <심청가>의 문학치료적 의의
- 인형연행 속 ‘낯선 표현’의 산출 기반과 그 통시적 향방
- ‘아이지혜담’에 나타난 부자간의 관계와 그 의미 : 넘어섬과 감싸 안기
- <밀의 기원>담의 Hainuwele신화적 성격
- 일제강점기 대중가요에 나타난 가족의 양상 고찰
- <도랑선비 청정각시>에 나타난 혼사장애와 시련의 의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문학분야 BEST
- 근대 문학과 목격의 서사 : 이상 「날개」 연구
- 한자의 문화적 정체성과 현대 사회에서의 재해석 - 한·중·일 삼국을 중심으로
- 텍스트 마이닝과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논어(論語)』 연구 동향 분석 - 2000-2023년 국내 학술논문을 중심으로
인문학 > 문학분야 NEW
- <몽옥쌍봉연록-곽장양문록> 연작의 곽분양 수용 양상과 그 의미
- 강을생본 <허웅애기본풀이>에 나타난 사별 애도 과정과 의미 - 영화 <원더랜드>(2024) 속 모녀 관계와의 비교를 겸하여
- <세경본풀이>의 통사론적 규칙과 서사 의미론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