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가구라(神樂)의 신들림과 표상적 장치
이용수 21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구비문학회
- 저자명
- 남성호
- 간행물 정보
- 『구비문학연구』제30집, 365~398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1.01
6,8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가구라는 일본의 대표적인 민속예능이다. 민속예능은 종교적제의 현장에서 거행되는 경
우가 대부분이다. 종교적인 제의의 궁극적인 목적은 신과 인간의 소통이라고 할 수 있다.
소통의 방식으로 가장 적극적이고 직접적인 수단이 신들림(빙의)이다. 일본의 가구라에서
신들림(빙의) 현상은 현재 거의 찾아볼 수 없다. 다만 과거의 조사기록과 오늘날 가구라 현
장을 통해 그 양상을 어느 정도 추출이 가능하다. 본고는 가구라의 신들림 현상을 표상하는
제 장치들을 검토한다. 가구라에서 신들림은 신의(神意)를 알기위한 구체적이고 직접적인
방법이며 가장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이다.
신들림의 사례는 오모토가구라, 비추가구라, 신쇼쿠가구라, 도젠가구라, 빙고가구라 등
주로 일본열도의 서부지역에서 찾아볼 수 있으며, 또한 신들림의 대상 신들은 조상신의 성
격이 강하게 나타나는데 이는 가구라를 거행하는 토착 주민들의 생활과 밀접한 관계가 있
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더욱이 이러한 신들림의 표상적 장치들은 장례의식에서 사용되는
도구들과 깊은 관련이 있으며, 신의 강림처 혹은 좌정처로 일컬어지는 천개의 흔들림, 신의
상징체들(藁蛇, 布,帯)의 흔들림과 같은 격렬한 움직임에서 신의 존재를 확인하고 인식하고
자 하였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신들림의 방식들은 일정한 형식을 갖추게 되면서 예
능으로 전환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영문 초록
목차
1. 머리말
2.가구라(神樂) 신들림을 위한 장치
3. 신들의 강림처로서의 천개(天蓋)
4. 신체(神體)로서의 쓰나헤비(綱蛇)
5. 신들이 강림하는 길 - 누노마이(布舞), 오비마이(帯舞)
6.맺음말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동계 자료와의 대비를 통해 본 <차사본풀이>의 성격과 기능
- 설화에 나타난 ‘새식구 들이기’에 대한 두 가지 시선 : <며느리 고르기>와 <사위 고르기> 설화의 비교
- 안동지역 공민왕 관련 민속의 전승양상과 주민들의 ‘문화 읽기와 쓰기’
- 가구라(神樂)의 신들림과 표상적 장치
- [황구연전집] 소재 한국 문헌설화의 재구의식
- ‘부모화된 아이’를 위한 <심청가>의 문학치료적 의의
- 인형연행 속 ‘낯선 표현’의 산출 기반과 그 통시적 향방
- ‘아이지혜담’에 나타난 부자간의 관계와 그 의미 : 넘어섬과 감싸 안기
- <밀의 기원>담의 Hainuwele신화적 성격
- 일제강점기 대중가요에 나타난 가족의 양상 고찰
- <도랑선비 청정각시>에 나타난 혼사장애와 시련의 의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문학분야 BEST
- 근대 문학과 목격의 서사 : 이상 「날개」 연구
- 한자의 문화적 정체성과 현대 사회에서의 재해석 - 한·중·일 삼국을 중심으로
- 텍스트 마이닝과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논어(論語)』 연구 동향 분석 - 2000-2023년 국내 학술논문을 중심으로
인문학 > 문학분야 NEW
- <몽옥쌍봉연록-곽장양문록> 연작의 곽분양 수용 양상과 그 의미
- 강을생본 <허웅애기본풀이>에 나타난 사별 애도 과정과 의미 - 영화 <원더랜드>(2024) 속 모녀 관계와의 비교를 겸하여
- <세경본풀이>의 통사론적 규칙과 서사 의미론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