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몽옥쌍봉연록-곽장양문록> 연작의 곽분양 수용 양상과 그 의미

이용수  0

영문명
The Aspects and Meanings of Gwak Bunyang in the Mongokssangbongyeonrok and GwakJangYangmunrok Series
발행기관
한국고전연구학회
저자명
김은일(Eun-il Kim)
간행물 정보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제70권, 5~32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8.31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몽옥쌍봉연록-곽장양문록> 연작의 곽분양 수용 양상과 그 의미를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몽옥쌍봉연록-곽장양문록> 연작은 장홍과 그 자손이 곽분양의 가문과 혼인을 통해 가문을 확장하는 서사를 담은 국문장편소설로, 정조의 후궁 의빈 성씨가 <곽장양문록>을 필사했다는 점에서 필사 시기를 추정할 수 있고, 궁중에서 국문장편소설을 향유한 양상을 보여 준다는 점에서 소설사적 가치가 높은 작품이기도 하다. <몽옥쌍봉연록>과 <곽장양문록>에서 곽분양의 수용 양상은 다르다. <몽옥쌍봉연록>에서 곽분양은 주로 무장(武將)이자 영웅의 모습으로 설명된다. 반면, <곽장양문록>에서 곽분양은 가문의 수장(首長)으로 형상화된다. 이는 조선 후기 궁중과 사대부가에서 곽분양 이미지를 소비했던 문화 향유 양상과 밀접하게 맞닿아 있다. 조선 후기 곽분양을 향유했던 ‘곽분양행락도’의 양상이 무장의 모습을 강조하는 방식에서 복록의 이미지를 강조하는 방식으로 변했다는 점은 <몽옥쌍봉연록-곽장양문록> 연작이 영웅적 곽분양과 다복한 곽분양을 분리하여 서사화했다는 점과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한편, ‘곽분양행락도’는 특히 궁중과 사대부가에서 향유하였는데, 이는 ‘곽분양’ 서사로 볼 수 있는 <몽옥쌍봉연록-곽장양문록> 연작을 궁중에서 필사했다는 점과도 맞닿아 있다. 즉, 곽분양을 중심으로 형성된 문화 코드가 회화뿐 아니라 서사에도 활용되었음을 보인다. 달리 말해 <몽옥쌍봉연록-곽장양문록> 연작은 곽분양 문화 코드를 서사 전략으로 활용했을 것임을 알 수 있다. 특히, 회화나 단편소설이 곽분양의 단일 코드만 제시하는 경향이 있는 반면, <몽옥쌍봉연록-곽장양문록> 연작은 ‘연작’이라는 구조적 특성 때문에 ‘무장’과 ‘복록’이라는 이중 코드를 하나로 통합하는 효과를 누릴 수 있다. 이는 <몽옥쌍봉연록-곽장양문록> 연작이 국문장편소설사뿐 아니라 문화사적 흐름 속에서도 의의가 있는 작품임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reception and significance of the character Gwak Bunyang in the Mongokssangbongyeonrok and GwakJangYangmunrok Series. This series is a Korean full-length novel depicting the story of Jang Hong and his descendants. Its literary and historical value is underscored by the fact that Lady Seong, a royal concubine of King Jeongjo, transcribed GwakJangYangmunrok, which enables scholars to estimate the time of its transcription and offers insight into the appreciation of Korean long novels within the royal court. The series consists of two parts: Mongokssangbongyeonrok, which centers on the heroic deeds and marriage of Jang Hong, and GwakJangYangmunrok, which focuses on the marriages of his descendants. Since Gwak Bunyang’s family is portrayed as one of the key families connected to Jang Hong and his descendants through marriage, it is essential to examine how Gwak Bunyang is depicted in the narrative. The modes of reception of Gwak Bunyang in Mongokssangbongyeonrok and GwakJangYangmunrok differ. In Mongokssangbongyeonrok, he is framed chiefly as a military hero. On the other hand, in GwakJangYangmunrok, he is cast as the head of the lineage. This contrast aligns with late-Joseon patterns of cultural enjoyment in the court and literati households. The shift visible in Gwak Bunyang Haengnakdo—from emphasizing martial prowess to highlighting prosperity and blessing—parallels the series’ separate narrativization of “heroic” and “prosperous” Gwak Bunyang. Haengnakdo was especially popular at court and among elites, a fact that resonates with the palace transcription of the Mongokssang- bongyeonrok-GwakJangYangmunrok series. This indicates that the cultural code centered on Gwak Bunyang operated not only in painting but also in narrative; the series likely mobilized that code as a narrative strategy. Whereas paintings and short fiction tend to isolate a single code, the linked form of the series keeps the “military” and “prosperity/blessing” strands apart at the work level yet integrates them as a dual code at the level of the whole. Accordingly, the series is significant not only to the history of the Korean long novel but also to broader cultural-historical currents.

목차

1. 서론
2. <몽옥쌍봉연록-곽장양문록> 연작에 나타난 곽분양의 양상
3. <몽옥쌍봉연록-곽장양문록> 연작 곽분양 수용의 의미
4.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은일(Eun-il Kim). (2025).<몽옥쌍봉연록-곽장양문록> 연작의 곽분양 수용 양상과 그 의미.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 (), 5-32

MLA

김은일(Eun-il Kim). "<몽옥쌍봉연록-곽장양문록> 연작의 곽분양 수용 양상과 그 의미."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 (2025): 5-3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