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부모화된 아이’를 위한 <심청가>의 문학치료적 의의
이용수 255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구비문학회
- 저자명
- 이동희
- 간행물 정보
- 『구비문학연구』제30집, 241~270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1.0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논문에서는 <심청가>를 통해, 부모화된 아이의 문제적 특성과 그것의 활용을 통한
치료적 가능성을 조망하였다. <심청가>는 우리의 대표적인 고전으로 많은 사람들의 사랑
속에서 끊임없이 재창작되고 있다. 이처럼 <심청가>가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받을 수 있었
던 것은 다른 작품에 비해 서술자의 의식대로 감상자를 이끌어가는 힘이 월등하며, 감상자
의 의식 변화를 유발시키기에 매우 유용한 자료이기 때문이다.
<심청가>에서 심청이는 어린 나이부터 부모의 역할을 대신하면서 눈먼 아버지를 봉양
한다. 우리 주변에서도 심청이와 같이 부모의 역할을 대신하는 아동들을 어렵지 않게 발견
할 수 있다. 발달심리학에서는 이와 같은 아동을 ‘부모화된 아이’라고 한다. 심청이와 동일
한 환경에 처한 아동의 문제점을 발달 심리학적 관점에서 이해하고 진단할 수 있었다면, 문
학치료적인 관점에서 <심청가>가 동일한 문제를 갖고 있는 아동에게 어떤 의미를 줄 수 있
는지 고찰할 수 있다.
심청이는 자신이 처한 환경 속에서 부모화된 아이의 전형적인 문제 행동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심청이는 일반적인 ‘부모화된 아이’와는 구별되는 특성, 즉 자신이 처한 문제적 상황
에서 능동적으로 벗어나는 면모 또한 가지고 있다. 부모화된 아이는 <심청가>의 작품서사
를 통해 추체험하여, 훼손되고 완결되지 못한 자기서사를 보충, 강화, 통합하면서 건강한
자아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결론을 통해 <심청가>의 효용성을 입증하였으며, <심청가>
의 문학치료적 가능성을 전망하였다.
현재의 복지 차원의 지원은 부모화된 아이의 환경을 바꿔주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즉
물리적인 차원에서만 접근할 뿐, 심리적인 문제에는 접근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심청가>
를 통해 발견한 문학치료적 가능성은 교육 현장 및 복지 현장에서 부모화된 아이의 심리적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 기여할 것이다.
영문 초록
목차
1. 서론
2. ‘부모화된 아이’의 심리적 특성
3. ‘부모화된 아이’와 ‘심청’의 공통점과 차이점
4. <심청가>의 문학치료적 의의
5.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동계 자료와의 대비를 통해 본 <차사본풀이>의 성격과 기능
- 설화에 나타난 ‘새식구 들이기’에 대한 두 가지 시선 : <며느리 고르기>와 <사위 고르기> 설화의 비교
- 안동지역 공민왕 관련 민속의 전승양상과 주민들의 ‘문화 읽기와 쓰기’
- 가구라(神樂)의 신들림과 표상적 장치
- [황구연전집] 소재 한국 문헌설화의 재구의식
- ‘부모화된 아이’를 위한 <심청가>의 문학치료적 의의
- 인형연행 속 ‘낯선 표현’의 산출 기반과 그 통시적 향방
- ‘아이지혜담’에 나타난 부자간의 관계와 그 의미 : 넘어섬과 감싸 안기
- <밀의 기원>담의 Hainuwele신화적 성격
- 일제강점기 대중가요에 나타난 가족의 양상 고찰
- <도랑선비 청정각시>에 나타난 혼사장애와 시련의 의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문학분야 BEST
- 근대 문학과 목격의 서사 : 이상 「날개」 연구
- 한자의 문화적 정체성과 현대 사회에서의 재해석 - 한·중·일 삼국을 중심으로
- 텍스트 마이닝과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논어(論語)』 연구 동향 분석 - 2000-2023년 국내 학술논문을 중심으로
인문학 > 문학분야 NEW
- <몽옥쌍봉연록-곽장양문록> 연작의 곽분양 수용 양상과 그 의미
- 강을생본 <허웅애기본풀이>에 나타난 사별 애도 과정과 의미 - 영화 <원더랜드>(2024) 속 모녀 관계와의 비교를 겸하여
- <세경본풀이>의 통사론적 규칙과 서사 의미론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