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동계 자료와의 대비를 통해 본 <차사본풀이>의 성격과 기능

이용수  216

영문명
발행기관
한국구비문학회
저자명
권태효 김윤회
간행물 정보
『구비문학연구』제30집, 205~240쪽, 전체 36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01.01
7,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제주도 <차사본풀이>는 악인이 재물을 탐해 삼 형제를 죽이자 그 원한을 갚으려 삼 형 제가 자식으로 환생해 요절하니 염라왕을 데려와 그 죽음의 원인을 밝힌다고 하는 내용의 서사무가로, 함경도 무가인 <짐가제굿>, 충청·전라지역에서 전승되는 <원수 갚으려 태어 난 아들>담, 대마도의 서사민요인 <오이세참배> 등 흡사한 인물설정과 내용을 보이는 자료 가 지역과 장르를 넘나들며 분포하고 있어, 공통적인 서사물이 제주도 나름의 죽음의 세계 로 인도하는 신격을 섬기는 서사무가로 자리잡은 형태라고 할 수 있다. <차사본풀이>는 인간세상에서 제기된 죽음에 대한 의문을 해결하는 이야기를 발전시켜 저승을 직접 여행하는 주인공을 설정하고, 죽음과 관련된 상례에 대한 여러 가지 법도를 제 시하며, 죽음과 관련된 인간 본원의 의문 및 인간을 데려가는 차사신의 행적 등을 결합시키 면서 동계 자료와는 달리 망자를 인도하는 신격을 섬기고 그 근본을 푸는 서사무가 형태로 거듭난 자료이다. 이런 <차사사본풀이>는 동계 자료에 비해 첫째, 저승을 다녀오는 강림이 라는 존재가 특히 중시된다는 점, 둘째, 망자를 저승으로 인도하는 신격을 섬기는 무가에 걸맞게 저승길에 대한 노정이라든가 저승의 모습이 잘 나타난다는 점, 셋째, 인간의 본원적 인 관심사인 죽음 관련 의문이나 죽음을 관장하는 차사신으로서의 권능 및 역할을 강조하 는 점 등이 두드러지는데, 이런 특징은 육지에서는 망자를 인도하는 바리공주라는 신격을 섬기는 <오구풀이>가 존재하지만 제주도에는 바리공주가 없고 <차사본풀이>가 그 기능과 역할을 수행하는 것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어떤 과정을 거쳐 제주도 나름의 망자를 인도하 는 성격의 서사무가로 정착하게 되었는지는 불분명하며, 다만 제주도에는 액막이 성격의 <맹감본풀이>가 있어 그 기능상 중복되기에, 그 관계성 속에서 망자를 죽음의 세계로 인도 하는 무가로 자리잡았을 가능성이 있다.

영문 초록

목차

1. 머리말
2. <차사본풀이> 관련 자료의 존재양상 및 성격
3. 동계 자료와의 대비를 통해서 본 <차사본풀이>의 독자성
4. <차사본풀이>의 신화적 성격과 기능
5. 마무리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권태효,김윤회. (2010).동계 자료와의 대비를 통해 본 <차사본풀이>의 성격과 기능. 구비문학연구, 30 , 205-240

MLA

권태효,김윤회. "동계 자료와의 대비를 통해 본 <차사본풀이>의 성격과 기능." 구비문학연구, 30.(2010): 205-24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