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동계 자료와의 대비를 통해 본 <차사본풀이>의 성격과 기능
이용수 216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구비문학회
- 저자명
- 권태효 김윤회
- 간행물 정보
- 『구비문학연구』제30집, 205~240쪽, 전체 3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1.01
7,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제주도 <차사본풀이>는 악인이 재물을 탐해 삼 형제를 죽이자 그 원한을 갚으려 삼 형
제가 자식으로 환생해 요절하니 염라왕을 데려와 그 죽음의 원인을 밝힌다고 하는 내용의
서사무가로, 함경도 무가인 <짐가제굿>, 충청·전라지역에서 전승되는 <원수 갚으려 태어
난 아들>담, 대마도의 서사민요인 <오이세참배> 등 흡사한 인물설정과 내용을 보이는 자료
가 지역과 장르를 넘나들며 분포하고 있어, 공통적인 서사물이 제주도 나름의 죽음의 세계
로 인도하는 신격을 섬기는 서사무가로 자리잡은 형태라고 할 수 있다.
<차사본풀이>는 인간세상에서 제기된 죽음에 대한 의문을 해결하는 이야기를 발전시켜
저승을 직접 여행하는 주인공을 설정하고, 죽음과 관련된 상례에 대한 여러 가지 법도를 제
시하며, 죽음과 관련된 인간 본원의 의문 및 인간을 데려가는 차사신의 행적 등을 결합시키
면서 동계 자료와는 달리 망자를 인도하는 신격을 섬기고 그 근본을 푸는 서사무가 형태로
거듭난 자료이다. 이런 <차사사본풀이>는 동계 자료에 비해 첫째, 저승을 다녀오는 강림이
라는 존재가 특히 중시된다는 점, 둘째, 망자를 저승으로 인도하는 신격을 섬기는 무가에
걸맞게 저승길에 대한 노정이라든가 저승의 모습이 잘 나타난다는 점, 셋째, 인간의 본원적
인 관심사인 죽음 관련 의문이나 죽음을 관장하는 차사신으로서의 권능 및 역할을 강조하
는 점 등이 두드러지는데, 이런 특징은 육지에서는 망자를 인도하는 바리공주라는 신격을
섬기는 <오구풀이>가 존재하지만 제주도에는 바리공주가 없고 <차사본풀이>가 그 기능과
역할을 수행하는 것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어떤 과정을 거쳐 제주도 나름의 망자를 인도하
는 성격의 서사무가로 정착하게 되었는지는 불분명하며, 다만 제주도에는 액막이 성격의
<맹감본풀이>가 있어 그 기능상 중복되기에, 그 관계성 속에서 망자를 죽음의 세계로 인도
하는 무가로 자리잡았을 가능성이 있다.
영문 초록
목차
1. 머리말
2. <차사본풀이> 관련 자료의 존재양상 및 성격
3. 동계 자료와의 대비를 통해서 본 <차사본풀이>의 독자성
4. <차사본풀이>의 신화적 성격과 기능
5. 마무리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동계 자료와의 대비를 통해 본 <차사본풀이>의 성격과 기능
- 설화에 나타난 ‘새식구 들이기’에 대한 두 가지 시선 : <며느리 고르기>와 <사위 고르기> 설화의 비교
- 안동지역 공민왕 관련 민속의 전승양상과 주민들의 ‘문화 읽기와 쓰기’
- 가구라(神樂)의 신들림과 표상적 장치
- [황구연전집] 소재 한국 문헌설화의 재구의식
- ‘부모화된 아이’를 위한 <심청가>의 문학치료적 의의
- 인형연행 속 ‘낯선 표현’의 산출 기반과 그 통시적 향방
- ‘아이지혜담’에 나타난 부자간의 관계와 그 의미 : 넘어섬과 감싸 안기
- <밀의 기원>담의 Hainuwele신화적 성격
- 일제강점기 대중가요에 나타난 가족의 양상 고찰
- <도랑선비 청정각시>에 나타난 혼사장애와 시련의 의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문학분야 BEST
- 근대 문학과 목격의 서사 : 이상 「날개」 연구
- 한자의 문화적 정체성과 현대 사회에서의 재해석 - 한·중·일 삼국을 중심으로
- 텍스트 마이닝과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논어(論語)』 연구 동향 분석 - 2000-2023년 국내 학술논문을 중심으로
인문학 > 문학분야 NEW
- <몽옥쌍봉연록-곽장양문록> 연작의 곽분양 수용 양상과 그 의미
- 강을생본 <허웅애기본풀이>에 나타난 사별 애도 과정과 의미 - 영화 <원더랜드>(2024) 속 모녀 관계와의 비교를 겸하여
- <세경본풀이>의 통사론적 규칙과 서사 의미론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