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밀의 기원>담의 Hainuwele신화적 성격
이용수 212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구비문학회
- 저자명
- 김헌선
- 간행물 정보
- 『구비문학연구』제30집, 129~158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1.0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논문은 우리나라에 전승되는 <밀의 기원>담 또는 <술의 기원>담을 하이누벨레신화
적 관점에서 분석한 글이다. 겉으로 보면 아들이 병든 아버지를 살리는 이야기이지만, 속으
로 사람을 살해하고 이를 묻은 다음에 시신으로부터 밀이 유래되었으며, 이 밀에서 술이 나
왔다고 하는 것이다. 시체화생신화와 깊은 관련이 있는 이야기이다. 앞선 세대의 조상을 살
해하고 이로부터 농경의 기원이 이루어졌다고 하는 것이 핵심적 내용이다.
이 이야기를 Hainuwele신화와 견주어서 보면 주목할 만한 공통점이 있다. 성적 결합에
의한 생식의 가능성, 삶과 죽음의 경계면 확정 등에 대한 요소는 마련되어 있지 않으나 조
상에 해당하는 인간 살해를 함으로써 곡식을 재배하는 기원이 이루어졌다고 하는 점에서
심층적 공통점을 지니고 있다.
Hainuwele신화와 <밀의 기원>담은 특정한 신화적 위상에 근거하고 있다. 마니즘적 신
화 단계의 산물이라고 할 수 있으며, 태음적 세계관과 태양적 세계관에 근거한 신화는 아니
다. 원시시대의 산물이고, 문화사적 전환을 보여주고 있는 신화이다. 원시수렵시대를 청산
하고 이를 농경사회로 전환하는 주제를 담고 있는 것이 <밀의 기원>담에서도 확인된다.
다만 우리의 경우에는 <밀의 기원>담이 역사적인 변천을 일정하게 반영하고 이를 집적
하는 방법이 각 시대의 특정한 지식인으로 문화적 정보를 집약하는 상징적인 제사장을 살
해하는 것으로 유추할 수 있다. 살해되는 선비, 중, 광인 또는 무당 등은 이러한 성격을 지
닌 인물이다. 그렇지만 유교적 이념에 의한 변형이 생긴 것도 음미할 만하다. 병든 아버지를 살리는 점은 이야기의 유교적 주제를 강화한 이야기로 해석할 수 있다.
영문 초록
목차
1. 머리말
2. <밀의 기원>담의 핵심 화소와 변이
3. <밀의 기원>담의 Hainuwele신화적 면모
4. 조상신살해신화의 신화적 위상 추론
5. 마무리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동계 자료와의 대비를 통해 본 <차사본풀이>의 성격과 기능
- 설화에 나타난 ‘새식구 들이기’에 대한 두 가지 시선 : <며느리 고르기>와 <사위 고르기> 설화의 비교
- 안동지역 공민왕 관련 민속의 전승양상과 주민들의 ‘문화 읽기와 쓰기’
- 가구라(神樂)의 신들림과 표상적 장치
- [황구연전집] 소재 한국 문헌설화의 재구의식
- ‘부모화된 아이’를 위한 <심청가>의 문학치료적 의의
- 인형연행 속 ‘낯선 표현’의 산출 기반과 그 통시적 향방
- ‘아이지혜담’에 나타난 부자간의 관계와 그 의미 : 넘어섬과 감싸 안기
- <밀의 기원>담의 Hainuwele신화적 성격
- 일제강점기 대중가요에 나타난 가족의 양상 고찰
- <도랑선비 청정각시>에 나타난 혼사장애와 시련의 의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문학분야 BEST
- 근대 문학과 목격의 서사 : 이상 「날개」 연구
- 한자의 문화적 정체성과 현대 사회에서의 재해석 - 한·중·일 삼국을 중심으로
- 텍스트 마이닝과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논어(論語)』 연구 동향 분석 - 2000-2023년 국내 학술논문을 중심으로
인문학 > 문학분야 NEW
- <몽옥쌍봉연록-곽장양문록> 연작의 곽분양 수용 양상과 그 의미
- 강을생본 <허웅애기본풀이>에 나타난 사별 애도 과정과 의미 - 영화 <원더랜드>(2024) 속 모녀 관계와의 비교를 겸하여
- <세경본풀이>의 통사론적 규칙과 서사 의미론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