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rime Prevention, Preliminary Inquiry, Criminal Investigation, and the Rule of Law
- 발행기관
- 한국형사정책학회
- 저자명
- 허황(Hwang Heo)
- 간행물 정보
- 『형사정책』第37卷 第3號, 259~304쪽, 전체 46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10.30
8,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검·경 수사권 조정 이후 비대해진 경찰권의 통제 문제를 법치주의적 관점에서 검토한다. 경찰은 범죄수사뿐 아니라 범죄 및 위험예방이라는 이중적 임무를 수행하지만 두 영역은 목적과 법적 근거, 기본권 침해의 정도에서 본질적으로 상이하다. 그럼에도 실제 운영에서는 내사와 행정조사 단계에서 수사와 예방의 경계가 모호해지며 이는 국민의 기본권 보장과 사법적 통제의 실효성을 약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
범죄수사는 범죄혐의의 존재를 전제로 하며 형사소송법의 적용을 받는 반면, 예방활동은 구체적 위험을 근거로 경찰법에 의해 규율된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독일과 달리 예방적 경찰작용에 대한 개별 수권규범의 규율밀도가 낮아 경찰의 광범위한 재량과 기본권 침해 위험이 상존한다. 내사와 행정조사 역시 명확한 법적 근거 없이 사실상 수사기능을 수행하는 경우가 많으며 강제처분의 허용범위 또한 불명확하다.
독일에서는 예방영역에서 ‘범죄예방을 위한 사전조사’나 ‘위험대비’ 개념이 인정되더라도 반드시 명시적 입법 근거가 요구된다. 우리나라 역시 추상적 위험만으로 허용되는 예방조치나 혐의 없는 사전조사의 법적 정당화를 위해 명확한 요건·절차·통제장치를 마련해야 한다.
결론적으로, 향후 연구과제로는 첫째, 경찰의 예방활동이 수사활동을 침범하지 않도록 범죄혐의 개념을 명확히 규정할 것, 둘째, 예방목적 달성을 위해 필요하지만 기본권을 침해할 수 있는 조치들의 범위와 한계를 구체화할 것, 셋째, 이러한 조치들에 대한 입법적·사법적 통제 및 권리구제 절차를 정비할 것이 제시된다. 본 연구는 경찰권 강화가 헌법상 법치국가원칙과 기본권 보장의 균형 속에서 정당화되어야 함을 강조하며, 향후 경찰법제의 재구조화를 위한 기초를 제공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problem of controlling the expansion of police power following the reallocation of investigative authority between the prosecution and the polic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rule of law. The police perform dual functions-not only criminal investigation but also crime and risk prevention-yet these two areas differ fundamentally in their purposes, legal bases, and degrees of interference with fundamental rights. Nevertheless, in actual practice, the boundary between investigation and prevention often becomes blurred, particularly in the stages of preliminary inquiry (naesa) and administrative investigation, thereby weakening the effectiveness of fundamental rights protection and judicial oversight.
Criminal investigation presupposes the existence of criminal suspicion and is governed by the Criminal Procedure Act, whereas preventive activities are based on concrete dangers and are regulated by the Police Act. However, unlike in Germany, the regulatory density of specific authorization norms for preventive police measures in Korea is insufficient, leaving room for broad police discretion and an increased risk of fundamental rights violations. Moreover, naesa and administrative investigations often perform de facto investigative functions without a clear legal basis, and the permissible scope of coercive measures remains ambiguous.
In Germany, even in the preventive sphere, concepts such as “preliminary investigations for crime prevention” or “danger preparedness” (Gefahrenvorsorge) require an explicit statutory basis enacted by the legislature. Korea, likewise, must establish clear conditions, procedures, and control mechanisms to legally justify preventive actions based solely on abstract dangers or pre-investigations conducted without any suspicion of crime.
In conclusion, the study proposes three major research tasks: first, to clarify the concept of criminal suspicion in order to prevent preventive police activities from encroaching upon investigative functions; second, to identify and define the limits of preventive measures that may infringe upon citizens’ fundamental rights; and third, to improve legislative, judicial, and remedial control mechanisms for such measures. This study emphasizes that the expansion of police authority must be justified only within a balanced framework between the constitutional principles of the rule of law and the protection of fundamental rights, thereby providing a foundation for the future restructuring of Korea’s police law system.
목차
Ⅰ. 문제제기
Ⅱ. 경찰활동의 두 영역
Ⅲ. 맺는 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수사구조 개혁의 방향 - 독점에서 분점으로, 통제에서 견제로
- 검사의 보완수사권 폐지론과 형사사법상 통제 공백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실체적 진실발견의 요청과 사법통제 원리를 중심으로
- 경찰의 범죄예방, 내사, 범죄수사 그리고 법치주의
- 검찰이 나아갈 길 - 검찰개혁에 대한 한인섭 교수의 구상을 중심으로
- 형법 상 비밀누설죄 정비를 위한 기초연구
- 배임죄 폐지와 대체입법의 방향
- 직무유기죄의 형법상 해석 및 형사소송법상 적용 범위에 관한 연구
- 법치주의의 위기와 최근 검찰, 법원 개혁의 쟁점 - 법 패러다임주의의 관점에서
- 군사상 비밀을 요하는 장소에서의 피의자·피고인 수색에 관한 소고
- 전문법칙의 예외와 반대신문권 및 인권 - 유럽인권재판소 Al-Khawaja and Tahery v. UK판결과 관련하여
- 재판 후 단계에서 전자감시의 재범 억제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 사건유형과 쟁점에 따른 배심원과 법원의 판단: 국민참여재판 평결-판결 불일치 사건 분석
- 과거청산적 형사사법개혁 성찰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