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수사구조 개혁의 방향 - 독점에서 분점으로, 통제에서 견제로

이용수  0

영문명
The directionality of investigative structure reform : from monopoly to division, from control to checks and balances
발행기관
한국형사정책학회
저자명
박성민(Sung-min Park)
간행물 정보
『형사정책』第37卷 第3號, 139~192쪽, 전체 54쪽
주제분류
법학 > 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10.30
9,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최근 정부의 검찰개혁입법의 방향은 검찰청을 폐지하고, 중대범죄수사청과 공소청을 신설하여 기존 검찰청의 수사기능과 공소기능을 이관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 논문은 이러한 검찰개혁입법의 수사권조정논의에 즈음하여 지난 30년간의 수사구조개혁의 흐름을 분석하고, 국회의 입법안을 평가한 다음 정치권력의 변화에 흔들리지 않는 바람직한 수사구조개혁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 글에서는 수사권조정으로 대변되는 갈등상황을 비롯하여 최근 30년간의 수사권조정상황을 시대별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독점과 통제의 시대에서 현재는 분점과 상호견제로 전환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또한 헌법재판소 결정례를 통해 수사권과 기소권이 검찰청 검사의 권한이 아니며, 또 수사권이 검사의 독점적 권한도 아니라는 점을 확인한 다음 그 헌법적 정당성을 전제로 검찰개혁입법의 허실도 살펴보았다. 검찰개혁을 위한 4개 법안은 검찰청의 폐지와 함께 검사의 수사권과 기소권의 분리에 집중한 결과, 수사권의 민주적 통제원리는 제대로 구현하고 있지 못한 것으로 평가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정치지형의 변화에 좌우되지 않는 수사구조개혁이라는 방향성을 제시하면서 이중적 수사구조혁파를 통한 수사구조일원화 및 수사권의 건전한 견제와 균형의 회복을 위한 수사기관간 그리고 공소청과 수사기관 사이의 견제원리 설정 등 나름의 대안을 제시하였다. 검찰청폐지가 현실화되면서 각 기관간 권한의 독립성과 공정성을 보장하기 위한 통제모델 확립, 공소청과 수사기관 그리고 각 수사기관간 협력관계복원을 통해 이중수사의 위험성 및 사건처리지연 등 국민의 인권을 보호하면서도 실체진실발견에 집중할 수 있는 수사구조개혁모델의 설정이 향후 개혁과정에서 과제로 남게 되었다.

영문 초록

The government’s recent prosecution reform legislation focuses on abolishing the Supreme Prosecutors’ Office(SPO) and establishing the Serious Crimes Investigation Agency and the Prosecution Office, transferring SPO’s investigative and prosecution functions to them. This paper, addressing the debate over the adjustment of investigative powers in the prosecution reform legislation, analyzes the trends in investigative reform over the past 30 years, evaluates the National Assembly’s legislative proposals, and proposes a desirable direction for investigative reform that is unshakable in the face of political power shifts. This article analyzes the process of adjusting investigative powers over the past 30 years, including the conflicts represented by the adjustment of investigative powers, by era.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process of adjusting investigative authority is currently shifting from an era of monopoly and control by the prosecution to one of division and mutual checks and balances. Furthermore, it confirms through Constitutional Court precedents that investigative and indictment powers are not the exclusive authority of prosecutors in SPO, and examines the pros and cons of the prosecution reform legislation based on its constitutional legitimacy. The four bills for prosecutorial reform, focusing on the abolition of SPO and the separation of prosecutors' investigative and prosecutorial powers, are evaluated as failing to properly implement the principles of democratic control over investigative powers. Accordingly, this article proposes a direction for investigative reform that is unaffected by changes in the political landscape. Furthermore, it proposes alternatives, such as overcoming the dual investigative structure to unify it and establishing checks and balances between investigative agencies and between the Prosecution Office and investigative agencies to ensure sound checks and balances on investigative power. With the abolition of SPO becoming a reality, establishing a control model that ensures the independence and fairness of authority between each agency, and restoring cooperative relationships between the Prosecution Office and investigative agencies, as well as between each investigative agency, will be crucial for future reform efforts. This will protect the public’s human rights, addressing the risks of dual investigations and delays in case processing, while also enabling a focus on uncovering the truth.

목차

Ⅰ. 들어가며
Ⅱ. 수사구조개혁의 시기별 구분과 현행 수사구조의 의미
Ⅲ. 검찰개혁 4법에 대한 분석
Ⅳ. 수사구조개혁의 방향성
Ⅴ. 나오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성민(Sung-min Park). (2025).수사구조 개혁의 방향 - 독점에서 분점으로, 통제에서 견제로. 형사정책, 37 (3), 139-192

MLA

박성민(Sung-min Park). "수사구조 개혁의 방향 - 독점에서 분점으로, 통제에서 견제로." 형사정책, 37.3(2025): 139-19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