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utomated Scoring Framework for Standardizing the Identification of Icing-Prone Road Sections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이형주(Hyeongjoo Lee) 정건희(Gunhui Chung)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25권 5호, 209~222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10.31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도로결빙은 기후변화와 이상기상 현상으로 교통안전에 심각한 위협이 되고 있으나, 기존 결빙취약구간 평가는 사고 이력이나 단편적 구조 요소에 의존해 정량적·표준화된 대응이 부족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기후, 지형, 기하구조, 도로시설, 교통운영을 통합한 정량화된 배점기준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체계는 4대 영역, 13개 세부항목으로 구성되며, 단순 유·무 판단을 넘어 범주형·등급형 평가를 도입해 결빙 위험성을 정밀하게 반영하였다. 특히 고속도로와 일반도로의 차등 평가와 정책 활용성 항목을 포함한 점에서 차별성을 가진다. GIS 기반 실증분석을 통해 서울시에 적용한 결과, 강변북로·올림픽대로·동부간선도로 등 구조물 밀집 구간이 ‘매우 취약’ 지역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실제 사고 양상과 부합하였다. 또한 일조 부족, 북사면, 제설 인프라 불균형 등 기존에 반영되지 않던 요인도 효과적으로 식별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결빙취약구간 평가를 사후 대응에서 사전예측 및 선제적 관리로 전환할 수 있는 기반을 제시하며, 향후 스마트 제설 전략, GIS 기반 위험지도, AI 예측시스템 연계, 국가 표준화 지침 마련 등으로 확장될 수 있다.
영문 초록
Road icing has emerged as a serious threat to traffic safety due to climate change and the increasing frequency of extreme weather events. However, existing evaluations of icy road vulnerability have relied heavily on accident histories or fragmented structural elements and lack standardized and quantitative approaches. To address these limitations, this paper proposes a quantitative scoring system that integrates five domains: climate, terrain, geometry, road facilities, and traffic operation. The framework consists of four major categories and 13 sub-criteria, introducing categorical and graded assessments rather than simple binary judgments, thereby allowing for a more precise evaluation of icing risk. Notably, it distinguishes between highways and local roads, and includes policy applicability as a key factor. A GIS-based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for Seoul. The results identified highly vulnerable zones along major elevated roadways, such as Gangbyeonbuk-ro, Olympic-daero, and Dongbu Expressway, which correspond to actual accident patterns. In addition, factors often overlooked in previous frameworks, such as insufficient sunlight duration, high north-facing slope ratios, and imbalanced distribution of de-icing infrastructure, were effectively captured.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the proposed framework can shift icy road management from reactive response to proactive prediction and prevention, thereby providing a foundation for applications in smart de-icing strategies, GIS-based hazard mapping, AI-driven risk forecasting, and the development of national standardized guidelines.
목차
1. 서 론
2. 결빙취약구간 평가기준의 구조적 한계
3. 배점기준 체계 설계 및 평가항목 도출
4. 정책적 활용방안 및 적용 가능성 검토
5. 결 론
감사의 글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재활용 폐어망 패널로 휨 보강된 RC 슬래브의 휨 보강 한계에 대한 실험적 연구
- 머신러닝을 이용한 하천별 조류 발생 예측 모형 개발 및 영향 인자 평가: 미호강과 낙동강 유역 대상
- 대심도 빗물저류배수시설의 저류량 추정을 위한 방법론 개발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25권 5호 목차
- 지방자치단체의 폭염 대응 시설이 온열환자 저감에 미치는 영향: 무더위쉼터를 중심으로
- 도시공간적 요인이 온열질환자에 미치는 영향 분석
- 물공급시스템의 수질위험도를 포함한 도시지역 지진 위험도 평가 및 가중치평가 방법 비교분석
- 기후변화 경향성을 반영한 표준강수증발산지수(SPEI) 기반 부산 지역 가뭄특성 분석
- 실무적 활용성 증대를 위한 상수관망 관세척 등급 평가 방법론 개발 및 적용
- 할로겐화합물 소화약제를 이용한 ESS 화재 진압기술 연구
- 빗물받이 형상 및 차폐율과 우수관거 막힘 조건에 따른 배수 효율 변화에 대한 실규모 실험적 연구
- 대규모 재난 대비를 위한 지역사회 참여형 방재교육의 실천적 개선방안 연구
- 공항시설 수하물처리구역 화재위험성에 관한 연구
- 석유화학 플랜트 워터커튼 시스템의 복사열 저감 성능에 대한 실험적 연구
- 공개 빅데이터와 비선형 회귀분석을 이용한 도시지역 지하수위 예측 모델 개발
- 2층 골조 ENTA 내진보강시스템의 실험연구를 통한 구조 성능 검증
- 성토 하중을 고려한 Seq2Seq-LSTM 모델 기반 압밀침하 예측
- 토사재해에 대비한 보강 조적조 벽체의 구조성능 및 현장 실증 평가
- WIOLP 모형을 이용한 산업별 간접경제손실 정량평가: 2015년 가뭄피해를 대상으로
- 화재 관련 데이터가 부족한 지역의 지진화재 위험도 평가를 위한 화재 확산 회귀모델 개발 및 검증
- 결빙취약구간 선정 기준 표준화를 위한 자동화 배점체계 개발 및 적용 방안
- 기후변화대응사업의 비용-편익분석 체계 수립 연구: 폭염을 중심으로
- 도시형 빗물관리 시스템의 용수공급 적정성 분석
- 생성형 적대 신경망(GAN)을 활용한 대청댐 유입량 시계열 데이터 증강의 적용성 검토
- 머신러닝을 이용한 호우재해의 인명피해 예측모델 개발
- 저유속 구간에서의 유속 보정 필터 적용 및 성능 평가
- 침수 시뮬레이션 결과를 활용한 하수처리시설의 홍수 취약성 평가 기법 개발
- 방사선 그라프트 중합법을 이용한 크롬 이온 제거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