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Full-Scale Experimental Study on Hydraulic Efficiency of Grate Inlets under Grate and Storm Sewer Blockage Conditions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손근수(Geunsoo Son) 김창성(Changsung Kim) 최솔샘(Solsaem Choi)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25권 5호, 45~56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10.31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다양한 빗물받이 격자 형상, 차폐율 및 우수관거 막힘 조건이 도시 배수 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실규모 실험을 통해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에서 사용 중인 6종의 빗물받이를 대상으로, 실제 도로 횡단면을 재현한 실험 수로에서 일정 유입 유량(0.26 m3/s) 조건으로 시험한 결과, 개방 면적이 크고 단순한 일반형이 가장 높은 효율을 보였으며, 개구부가 작고 복잡한 디자인형은 효율이 낮게 나타났다. 일반형의 경우 차폐율이 0%에서 90%로 증가함에 따라 효율이 거의 선형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우수관거의 부분 막힘이 빗물받이 차폐보다 효율을 더 크게 저하시켰다. 본 연구는 실규모조건에서 빗물받이 차폐와 우수관거 막힘이 도시 배수 효율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한 한 결과로, 향후 침수 취약 지역의 도시 배수 시스템 설계 및 유지관리 지침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presents a full-scale experimental analysis of the effects of grate geometry, surface blockage ratio, and storm sewer blockage on the hydraulic efficiency of urban stormwater grate inlets. Six types of grate inlets that are currently used in Seoul were tested in a custom-built flume designed to replicate the cross-sectional and gutter flow characteristics of an urban roadway at a constant inflow rate of 0.26 m3/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tandard grate, with a large open area and simple geometry, had the highest hydraulic efficiency, whereas the aesthetic pattern grates with smaller and more complex openings exhibited lower efficiency. For the standard grate, the efficiency decreased almost linearly as the surface blockage ratio increased from 0 to 90%, and partial blockages in the downstream storm sewer reduced the efficiency more than surface grate blockages. This study quantitatively clarifies the relative impacts of grate inlet blockage and storm sewer blockage on urban drainage efficiency under full-scale conditions, and the findings can serve as baseline data for improving the design and maintenance guidelines of urban drainage systems in flood-prone areas.
                    목차
1. 서 론
	                       
	                          2. 빗물받이 형상, 크기 및 우수관거 막힘에 따른 배수 효율
	                       
	                          3. 실험 방법
	                       
	                          4. 실험 결과 및 분석
	                       
	                          5. 결 론
	                       
	                          감사의 글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25권 5호 목차
- 머신러닝을 이용한 하천별 조류 발생 예측 모형 개발 및 영향 인자 평가: 미호강과 낙동강 유역 대상
- 대심도 빗물저류배수시설의 저류량 추정을 위한 방법론 개발
- 도시공간적 요인이 온열질환자에 미치는 영향 분석
- 물공급시스템의 수질위험도를 포함한 도시지역 지진 위험도 평가 및 가중치평가 방법 비교분석
- 빗물받이 형상 및 차폐율과 우수관거 막힘 조건에 따른 배수 효율 변화에 대한 실규모 실험적 연구
- 기후변화 경향성을 반영한 표준강수증발산지수(SPEI) 기반 부산 지역 가뭄특성 분석
- 대규모 재난 대비를 위한 지역사회 참여형 방재교육의 실천적 개선방안 연구
- 실무적 활용성 증대를 위한 상수관망 관세척 등급 평가 방법론 개발 및 적용
- 지방자치단체의 폭염 대응 시설이 온열환자 저감에 미치는 영향: 무더위쉼터를 중심으로
- 공항시설 수하물처리구역 화재위험성에 관한 연구
- 석유화학 플랜트 워터커튼 시스템의 복사열 저감 성능에 대한 실험적 연구
- 할로겐화합물 소화약제를 이용한 ESS 화재 진압기술 연구
- 재활용 폐어망 패널로 휨 보강된 RC 슬래브의 휨 보강 한계에 대한 실험적 연구
- 공개 빅데이터와 비선형 회귀분석을 이용한 도시지역 지하수위 예측 모델 개발
- 성토 하중을 고려한 Seq2Seq-LSTM 모델 기반 압밀침하 예측
- 토사재해에 대비한 보강 조적조 벽체의 구조성능 및 현장 실증 평가
- 2층 골조 ENTA 내진보강시스템의 실험연구를 통한 구조 성능 검증
- 화재 관련 데이터가 부족한 지역의 지진화재 위험도 평가를 위한 화재 확산 회귀모델 개발 및 검증
- WIOLP 모형을 이용한 산업별 간접경제손실 정량평가: 2015년 가뭄피해를 대상으로
- 기후변화대응사업의 비용-편익분석 체계 수립 연구: 폭염을 중심으로
- 결빙취약구간 선정 기준 표준화를 위한 자동화 배점체계 개발 및 적용 방안
- 도시형 빗물관리 시스템의 용수공급 적정성 분석
- 머신러닝을 이용한 호우재해의 인명피해 예측모델 개발
- 생성형 적대 신경망(GAN)을 활용한 대청댐 유입량 시계열 데이터 증강의 적용성 검토
- 저유속 구간에서의 유속 보정 필터 적용 및 성능 평가
- 침수 시뮬레이션 결과를 활용한 하수처리시설의 홍수 취약성 평가 기법 개발
- 방사선 그라프트 중합법을 이용한 크롬 이온 제거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