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evelopment of Machine Learning-based River Algal Bloom Prediction Model and Assessment of Influencing Factors: Miho and Nakdong River Basins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온병헌(Byeong Heon On) 이서윤(Seo Yun Lee) 유도근(Do Guen Yoo)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25권 5호, 1~10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10.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낙동강 강정고령 지점에서 남조류 세포 수가 단기간에 약 45배 급증한 사례는 조류 발생이 단순한 수질 문제를 넘어 재난 관리 차원에서 접근해야 함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하천 특성에 따른 조류 발생 영향 인자의 차이를 규명하고자, 조류 농도의 대표 지표인 Chlorophyll-a (Chl-a)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인자를 분석하였다. 낙동강 대비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은 하천 미호강과 대규모 하천인 낙동강을 비교 대상으로 선정하고, 수리학적·생화학적 인자를 바탕으로 다양한 조합의 시나리오를 구성하였다. 머신러닝 기법인 Random Forest와 XGBoost를 활용해 Chl-a 예측 모델을 구축한 뒤, 모델별 인자 중요도를 분석하고 예측 성능을 비교 평가하였다. 분석 결과, 미호강에서는 수온이 조류 발생의 핵심 인자로 확인되었으며, 낙동강 강정고령 지점에서는 BOD, COD 등 생화학적 인자가 핵심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하천 특성별 맞춤형 조류 예측 체계 구축과 방재 대응 전략 수립에 실질적인 근거를 제공할 수 있다.
영문 초록
At the Gangjeong-Goryeong site on the Nakdong River, cyanobacterial cell counts increased approximately 45-fold within a short span, underscoring the need to address algal blooms not just as a water quality issue, but also as a disaster management priority. This study examined how algal bloom driving factors vary by river type, focusing on chlorophyll-a (Chl-a), as a representative indicator of algal biomass. The Miho River, a smaller tributary and the Nakdong River, a large mainstem river, served as study sites. Various scenarios were constructed based on the hydrological and biochemical parameters. Predictive models for Chl-a concentration were developed using machine learning techniques such as Random Forest and XGBoost. The variable importance was derived for each model, and the prediction performance was evaluated separately. Results showed water temperature as the dominant driver in the Miho River, while biochemical factors like BOD and COD were more influential at the Gangjeong-Goryeong site. These results support the development of river -specific algal bloom prediction systems and targeted disaster response strategies.
목차
1. 서 론
2. 방법론
3. 적용 및 결과
4. 결 론
감사의 글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25권 5호 목차
- 머신러닝을 이용한 하천별 조류 발생 예측 모형 개발 및 영향 인자 평가: 미호강과 낙동강 유역 대상
- 대심도 빗물저류배수시설의 저류량 추정을 위한 방법론 개발
- 도시공간적 요인이 온열질환자에 미치는 영향 분석
- 물공급시스템의 수질위험도를 포함한 도시지역 지진 위험도 평가 및 가중치평가 방법 비교분석
- 빗물받이 형상 및 차폐율과 우수관거 막힘 조건에 따른 배수 효율 변화에 대한 실규모 실험적 연구
- 기후변화 경향성을 반영한 표준강수증발산지수(SPEI) 기반 부산 지역 가뭄특성 분석
- 대규모 재난 대비를 위한 지역사회 참여형 방재교육의 실천적 개선방안 연구
- 실무적 활용성 증대를 위한 상수관망 관세척 등급 평가 방법론 개발 및 적용
- 지방자치단체의 폭염 대응 시설이 온열환자 저감에 미치는 영향: 무더위쉼터를 중심으로
- 공항시설 수하물처리구역 화재위험성에 관한 연구
- 석유화학 플랜트 워터커튼 시스템의 복사열 저감 성능에 대한 실험적 연구
- 할로겐화합물 소화약제를 이용한 ESS 화재 진압기술 연구
- 재활용 폐어망 패널로 휨 보강된 RC 슬래브의 휨 보강 한계에 대한 실험적 연구
- 공개 빅데이터와 비선형 회귀분석을 이용한 도시지역 지하수위 예측 모델 개발
- 성토 하중을 고려한 Seq2Seq-LSTM 모델 기반 압밀침하 예측
- 토사재해에 대비한 보강 조적조 벽체의 구조성능 및 현장 실증 평가
- 2층 골조 ENTA 내진보강시스템의 실험연구를 통한 구조 성능 검증
- 화재 관련 데이터가 부족한 지역의 지진화재 위험도 평가를 위한 화재 확산 회귀모델 개발 및 검증
- WIOLP 모형을 이용한 산업별 간접경제손실 정량평가: 2015년 가뭄피해를 대상으로
- 기후변화대응사업의 비용-편익분석 체계 수립 연구: 폭염을 중심으로
- 결빙취약구간 선정 기준 표준화를 위한 자동화 배점체계 개발 및 적용 방안
- 도시형 빗물관리 시스템의 용수공급 적정성 분석
- 머신러닝을 이용한 호우재해의 인명피해 예측모델 개발
- 생성형 적대 신경망(GAN)을 활용한 대청댐 유입량 시계열 데이터 증강의 적용성 검토
- 저유속 구간에서의 유속 보정 필터 적용 및 성능 평가
- 침수 시뮬레이션 결과를 활용한 하수처리시설의 홍수 취약성 평가 기법 개발
- 방사선 그라프트 중합법을 이용한 크롬 이온 제거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