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WIOLP 모형을 이용한 산업별 간접경제손실 정량평가: 2015년 가뭄피해를 대상으로

이용수  0

영문명
Quantitative Evaluation of Industry-Specific Indirect Economic Losses Using the WIOLP Model: A Case Study of the 2015 Drought in Korea
발행기관
한국방재학회
저자명
송영석(Youngseok Song) 김하룡(Hayong Kim)
간행물 정보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25권 5호, 189~196쪽, 전체 8쪽
주제분류
공학 > 기타공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10.31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기후변화로 인한 수자원 이용의 불안정성은 산업 전반에 영향을 미치며, 가뭄 발생 시 간접적인 경제적 충격을 유발할 수 있다. 본 연구는 2015년 발생한 가뭄 피해를 대상으로, 용수이용량 부족에 따른 산업분야의 간접경제손실을 WIOLP 모형을 활용하여 평가하였다. 분석에는 2015년 산업연관표와 생·공·농 용수이용데이터를 기반으로, 용수 이용량 제약 시나리오를 고려한 산업별 간접경제손실을 정량적으로 산정하였다. 분석 결과, 용수이용량 감소에 따라 산업분야에서 간접경제손실이 확대되며, 전체 용수공급이 60% 이상 감소할 경우 산업 전반의 경제 활동이 사실상 중단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용수이용 제약으로 인해 산업 간 손실이 연계되어 파급되는 구조적 특성이 확인되었다. 이는 단일 산업에 대한 단편적 접근보다는 산업 간 연관성을 반영한 통합적 분석의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WIOLP 모형을 활용하여 용수 이용 제약조건 하에서 산업 간 간접 경제 손실을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음을 입증하였으며, 향후 지역 단위 분석 및 기후변화 시나리오와의 연계를 통해 가뭄 대응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Climate change-induced instability in water resource utilization affects industries across the board and can cause indirect economic shocks during droughts. This study evaluates the indirect economic losses in the industrial sector - caused by insufficient water availability during the 2015 drought - using the Water-constrained Input-Output Linear Programming (WIOLP) model. The analysis was based on the 2015 input-output table and water use data for the manufacturing, construction, and agriculture sectors. It quantified the indirect economic losses industry-wise under water-use constraint scenarios. The analysis revealed that indirect economic losses in the industrial sector expand as water usage decreases, and when the total water supply decreases by more than 60%, economic activity across the entire industrial sector effectively comes to a halt. Additionally, a structural characteristic was identified in which losses between industries were interconnected and propagated owing to water usage constraints. This highlights the necessity of an integrated analysis that reflects interindustry linkages rather than a fragmented approach focused on a single industry.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the WIOLP model can quantitatively evaluate indirect economic losses across industries under water-use constraints. The findings can serve as a foundation for developing drought response policies through regional-level analyses and integration with climate change scenarios.

목차

1. 서 론
2. 간접경제손실 평가방법
3. 가뭄피해기반의 산업연관표 및 용수이용량 구축
4. WIOLP 모형을 이용한 간접경제손실 정량평가
5. 결 론
감사의 글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송영석(Youngseok Song),김하룡(Hayong Kim). (2025).WIOLP 모형을 이용한 산업별 간접경제손실 정량평가: 2015년 가뭄피해를 대상으로.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25 (5), 189-196

MLA

송영석(Youngseok Song),김하룡(Hayong Kim). "WIOLP 모형을 이용한 산업별 간접경제손실 정량평가: 2015년 가뭄피해를 대상으로."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25.5(2025): 189-19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