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evelopment of a Methodology for Estimating the Storage of Deep Tunnel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임수현(Suhyun Lim) 권순호(Soon Ho Kwon) 이승엽(Seungyub Lee)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25권 5호, 11~21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10.31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급격한 도시화와 기후변화로 인해 도시 유역의 물순환 체계가 변화하고 집중호우로 인한 침수 위험이 심화되고 있으나, 기존 정상성 기반 확률강우량 개념은 현실적 기후 특성과 시설 운영 조건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는 서울시 신월 대심도 빗물저류배수시설을 대상으로, 실제 제원과 단면 형상을 고려하여 수위-저류량 관계 곡선을 도출한 후 이를 토대로 대심도 빗물저류배수시설의 저류량 추정 방법론을 제안하고자 한다. 제안된 방법론은 실시 설계 정보를 토대로 구축된 EPA-SWMM 입력 자료에서 구조 제원을 추출하며, 해당 정보를 토대로 수위별 유효길이, 단면적, 체적을 단계적으로 계산함으로써 수위-저류량 관계 곡선을 도출하도록 구현되었다. 도출된 수위-저류량 관계 곡선은 해당 빗물저류배수시설의 설계에서 제시된 수위-저류량 관계 곡선과 매우 높은 일치도(R2 = 0.9984, 수위별 저류량 상대 오차율 0.5% 미만)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또한, EPA-SWMM 모형으로 모의한 유출수직구에서의 수위 정보를 저류량으로 환산하여 시설 내 저류량을 추정하였으며, 실제 운영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높은 상관성(약 0.91)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다만, 정량적 오차는 다소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청천 시 시설 내 존재하는 기저수위와 같은 초기 조건의 불확실성과 관측자료의 낮은 신뢰도에서 기인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방법론은 추후 정확한 데이터를 토대로 보완한다면, 대심도 빗물저류배수시설의 설계 검토 및 운영 전략 수립을 위한 정량적 저류량 추정 방법으로써 적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Rapid urbanization and climate change are shifting the urban water cycle and intensifying pluvial flood risks, whereas design rainfall concepts inadequately capture climate variability and facility operating conditions. Focusing on the Shinwol Deep Tunnel Facility in Seoul, this study introduces a methodology for estimating the storage volume in deep tunnels by deriving a rating curve that reflects the dimensions and cross-sectional geometry. From an EPA-SWMM input file constructed with design information, the structural attributes were programmatically extracted; and the effective length, cross-sectional area, and cumulative volume were computed using the water level to generate the rating curve. The resulting curve closely matched the design reference (R2 = 0.9984; the relative error of storage volume by water level was < 0.5%). Applying the curve to SWMM-simulated water levels at the outlet produced storage estimates that were strongly correlated with historical data (≈ 0.91). Quantitative biases were larger than desired, likely due to uncertainty in the initial conditions, such as persistent base water levels prior to rainfall events and limited reliability of the observation data. With improved data quality, the proposed methodology can support the design and operational strategy development by enabling quantitative storage estimation for deep tunnel facilities.
목차
1. 서 론
2. 방법론
3. 연구 지역 및 자료
4. 적용 결과
5. 결 론
감사의 글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25권 5호 목차
- 머신러닝을 이용한 하천별 조류 발생 예측 모형 개발 및 영향 인자 평가: 미호강과 낙동강 유역 대상
- 대심도 빗물저류배수시설의 저류량 추정을 위한 방법론 개발
- 도시공간적 요인이 온열질환자에 미치는 영향 분석
- 물공급시스템의 수질위험도를 포함한 도시지역 지진 위험도 평가 및 가중치평가 방법 비교분석
- 빗물받이 형상 및 차폐율과 우수관거 막힘 조건에 따른 배수 효율 변화에 대한 실규모 실험적 연구
- 기후변화 경향성을 반영한 표준강수증발산지수(SPEI) 기반 부산 지역 가뭄특성 분석
- 대규모 재난 대비를 위한 지역사회 참여형 방재교육의 실천적 개선방안 연구
- 실무적 활용성 증대를 위한 상수관망 관세척 등급 평가 방법론 개발 및 적용
- 지방자치단체의 폭염 대응 시설이 온열환자 저감에 미치는 영향: 무더위쉼터를 중심으로
- 공항시설 수하물처리구역 화재위험성에 관한 연구
- 석유화학 플랜트 워터커튼 시스템의 복사열 저감 성능에 대한 실험적 연구
- 할로겐화합물 소화약제를 이용한 ESS 화재 진압기술 연구
- 재활용 폐어망 패널로 휨 보강된 RC 슬래브의 휨 보강 한계에 대한 실험적 연구
- 공개 빅데이터와 비선형 회귀분석을 이용한 도시지역 지하수위 예측 모델 개발
- 성토 하중을 고려한 Seq2Seq-LSTM 모델 기반 압밀침하 예측
- 토사재해에 대비한 보강 조적조 벽체의 구조성능 및 현장 실증 평가
- 2층 골조 ENTA 내진보강시스템의 실험연구를 통한 구조 성능 검증
- 화재 관련 데이터가 부족한 지역의 지진화재 위험도 평가를 위한 화재 확산 회귀모델 개발 및 검증
- WIOLP 모형을 이용한 산업별 간접경제손실 정량평가: 2015년 가뭄피해를 대상으로
- 기후변화대응사업의 비용-편익분석 체계 수립 연구: 폭염을 중심으로
- 결빙취약구간 선정 기준 표준화를 위한 자동화 배점체계 개발 및 적용 방안
- 도시형 빗물관리 시스템의 용수공급 적정성 분석
- 머신러닝을 이용한 호우재해의 인명피해 예측모델 개발
- 생성형 적대 신경망(GAN)을 활용한 대청댐 유입량 시계열 데이터 증강의 적용성 검토
- 저유속 구간에서의 유속 보정 필터 적용 및 성능 평가
- 침수 시뮬레이션 결과를 활용한 하수처리시설의 홍수 취약성 평가 기법 개발
- 방사선 그라프트 중합법을 이용한 크롬 이온 제거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