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onsolidation Settlement Prediction Based on Seq2Seq-LSTM Considering Preloading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정재우(Jaewoo Jung) 배병규(Byongkyu Bae) 안재훈(Jaehun Ahn)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25권 5호, 145~152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10.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약지반 위에 시공된 구조물은 장기간 침하로 인해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구조물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시공 중 침하 계측 및 관리는 매우 중요한 사항이다. 계측값을 바탕으로 한 침하예측에는 쌍곡선법, Hoshino법, Asaoka법 등을 사용하고 있으나, 이러한 기법은 성토 완료 이후 침하를 바탕으로 최종 침하량을 예측하므로, 성토 기간이 길어지는 등 계측 데이터가 부족한 경우에는 침하예측이 어려워지는 한계가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기존 기법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성토 하중을 고려한 Seq2Seq-LSTM 모델 기반 침하량 예측 기법을 제안하였다. 제안 모델의 학습을 위해 특정 현장 성토 및 침하량의 38개 데이터셋을 사용하였으며, 학습된 모델의 평가는 다른 현장의 침하량을 예측하고 검증하는 것으로 수행하였다. 해석결과, 학습된 모델은 타 현장의 침하량을 성공적으로 예측하였으며, 특히 기존 쌍곡선법, Hoshino법, Asaoka법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제안된 모델은 향후 연약지반 장기침하 계측관리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Structures constructed on soft ground can experience long-term settlement, which may lead to problems. Thus, settlement monitoring and management during construction are crucial for ensuring structural stability. Settlement predictions based on monitoring data are commonly performed using the hyperbolic, Hoshino, and Asaoka methods. However, these approaches estimate the final settlement based on the data obtained after completing preloading. This makes prediction challenging when the construction period is prolonged or when monitoring data are insufficient. To address these limitations, we propose a settlement prediction method based on a Seq2Seq-long short-term memory (LSTM) model that incorporates embankment load as an input factor. The model was trained on 38 datasets containing embankment load and settlement measurements from a specific site. In evaluations, the proposed model successfully predicted the settlement at different sites, demonstrating a relatively superior performance compared to the hyperbolic, Hoshino, and Asaoka methods. Therefore, the proposed approach can be useful for long-term settlement monitoring and management under soft ground conditions.
목차
1. 서 론
2. 현장 개요 및 데이터
3. 계측 기반 침하예측 기법
4. 침하예측 결과
5. 결 론
감사의 글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25권 5호 목차
- 머신러닝을 이용한 하천별 조류 발생 예측 모형 개발 및 영향 인자 평가: 미호강과 낙동강 유역 대상
- 대심도 빗물저류배수시설의 저류량 추정을 위한 방법론 개발
- 도시공간적 요인이 온열질환자에 미치는 영향 분석
- 물공급시스템의 수질위험도를 포함한 도시지역 지진 위험도 평가 및 가중치평가 방법 비교분석
- 빗물받이 형상 및 차폐율과 우수관거 막힘 조건에 따른 배수 효율 변화에 대한 실규모 실험적 연구
- 기후변화 경향성을 반영한 표준강수증발산지수(SPEI) 기반 부산 지역 가뭄특성 분석
- 대규모 재난 대비를 위한 지역사회 참여형 방재교육의 실천적 개선방안 연구
- 실무적 활용성 증대를 위한 상수관망 관세척 등급 평가 방법론 개발 및 적용
- 지방자치단체의 폭염 대응 시설이 온열환자 저감에 미치는 영향: 무더위쉼터를 중심으로
- 공항시설 수하물처리구역 화재위험성에 관한 연구
- 석유화학 플랜트 워터커튼 시스템의 복사열 저감 성능에 대한 실험적 연구
- 할로겐화합물 소화약제를 이용한 ESS 화재 진압기술 연구
- 재활용 폐어망 패널로 휨 보강된 RC 슬래브의 휨 보강 한계에 대한 실험적 연구
- 공개 빅데이터와 비선형 회귀분석을 이용한 도시지역 지하수위 예측 모델 개발
- 성토 하중을 고려한 Seq2Seq-LSTM 모델 기반 압밀침하 예측
- 토사재해에 대비한 보강 조적조 벽체의 구조성능 및 현장 실증 평가
- 2층 골조 ENTA 내진보강시스템의 실험연구를 통한 구조 성능 검증
- 화재 관련 데이터가 부족한 지역의 지진화재 위험도 평가를 위한 화재 확산 회귀모델 개발 및 검증
- WIOLP 모형을 이용한 산업별 간접경제손실 정량평가: 2015년 가뭄피해를 대상으로
- 기후변화대응사업의 비용-편익분석 체계 수립 연구: 폭염을 중심으로
- 결빙취약구간 선정 기준 표준화를 위한 자동화 배점체계 개발 및 적용 방안
- 도시형 빗물관리 시스템의 용수공급 적정성 분석
- 머신러닝을 이용한 호우재해의 인명피해 예측모델 개발
- 생성형 적대 신경망(GAN)을 활용한 대청댐 유입량 시계열 데이터 증강의 적용성 검토
- 저유속 구간에서의 유속 보정 필터 적용 및 성능 평가
- 침수 시뮬레이션 결과를 활용한 하수처리시설의 홍수 취약성 평가 기법 개발
- 방사선 그라프트 중합법을 이용한 크롬 이온 제거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