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ESS Fire Suppression Technology Using Halogenated Extinguishing Agents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홍승태(Seung-Tae Hong)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25권 5호, 117~123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10.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할로겐화합물 소화약제의 냉각성능을 이용하여 에너지 저장장치(ESS)에서 발생하는 리튬이온 배터리 화재를 초기에 진압하는 방법에 대해 연구하였다. FK-5-1-12와 HFC-227ea 소화약제가 냉각제로 사용되었다. 90% 이상 충전된 파우치형 셀(NCM) 28개로 구성된 모듈을 대상으로 열폭주 화재 진압실험을 수행하였다. 모듈 내부 1개의 셀 표면을 7 ℃/min의 속도로 가열하여 열폭주를 발생시킨 후 모듈 내부로 할로겐화합물 소화약제를 20분 동안 주입하였다. 두 소화약제 모두 화재 진압뿐 아니라 열폭주의 전파를 중단시켜 모듈이 전소되는 것을 막을 수 있었다. 또한 인접한 모듈로의 열폭주 전파까지 차단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번 연구를 통해 ESS 화재진압장치에 할로겐화합물 소화약제를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확인하고 제시하였다. 비전기전도성 물질인 할로겐화합물 소화약제를 이용하여 ESS 화재를 초기에 진압한다면 물을 사용했을 때에 비해 배터리를 보존할 수 있어 피해복구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 초록
A method for extinguishing lithium-ion battery fires in Energy Storage Systems (ESS) at an early stage using the cooling properties of halogenated extinguishing agents was investigated. FK-5-1-12 and HFC-227ea were employed as coolants. Thermal runaway fire suppression experiments were conducted on a module consisting of 28 pouch-type NCM cells charged to over 90% capacity. The surface of a single cell was heated at 7 °C/min to induce thermal runaway, after which halogenated extinguishing agents were injected into the module for 20 minutes. Both agents not only extinguished the fire but also halted the propagation of thermal runaway, preventing complete module destruction. Furthermore, propagation to adjacent modules was successfully blocked. This study demonstrates a method for applying halogenated extinguishing agents to ESS fire suppression systems. Because these agents are non-conductive, extinguishing ESS fires at an early stage can significantly reduce recovery costs by preserving battery integrity compared to water-based method.
                    목차
1. 서 론
	                       
	                          2. 리튬이온 배터리의 열폭주 화재
	                       
	                          3. 실 험
	                       
	                          4. 결과 및 고찰
	                       
	                          5. 결 론
	                       
	                          감사의 글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25권 5호 목차
- 머신러닝을 이용한 하천별 조류 발생 예측 모형 개발 및 영향 인자 평가: 미호강과 낙동강 유역 대상
- 대심도 빗물저류배수시설의 저류량 추정을 위한 방법론 개발
- 도시공간적 요인이 온열질환자에 미치는 영향 분석
- 물공급시스템의 수질위험도를 포함한 도시지역 지진 위험도 평가 및 가중치평가 방법 비교분석
- 빗물받이 형상 및 차폐율과 우수관거 막힘 조건에 따른 배수 효율 변화에 대한 실규모 실험적 연구
- 기후변화 경향성을 반영한 표준강수증발산지수(SPEI) 기반 부산 지역 가뭄특성 분석
- 대규모 재난 대비를 위한 지역사회 참여형 방재교육의 실천적 개선방안 연구
- 실무적 활용성 증대를 위한 상수관망 관세척 등급 평가 방법론 개발 및 적용
- 지방자치단체의 폭염 대응 시설이 온열환자 저감에 미치는 영향: 무더위쉼터를 중심으로
- 공항시설 수하물처리구역 화재위험성에 관한 연구
- 석유화학 플랜트 워터커튼 시스템의 복사열 저감 성능에 대한 실험적 연구
- 할로겐화합물 소화약제를 이용한 ESS 화재 진압기술 연구
- 재활용 폐어망 패널로 휨 보강된 RC 슬래브의 휨 보강 한계에 대한 실험적 연구
- 공개 빅데이터와 비선형 회귀분석을 이용한 도시지역 지하수위 예측 모델 개발
- 성토 하중을 고려한 Seq2Seq-LSTM 모델 기반 압밀침하 예측
- 토사재해에 대비한 보강 조적조 벽체의 구조성능 및 현장 실증 평가
- 2층 골조 ENTA 내진보강시스템의 실험연구를 통한 구조 성능 검증
- 화재 관련 데이터가 부족한 지역의 지진화재 위험도 평가를 위한 화재 확산 회귀모델 개발 및 검증
- WIOLP 모형을 이용한 산업별 간접경제손실 정량평가: 2015년 가뭄피해를 대상으로
- 기후변화대응사업의 비용-편익분석 체계 수립 연구: 폭염을 중심으로
- 결빙취약구간 선정 기준 표준화를 위한 자동화 배점체계 개발 및 적용 방안
- 도시형 빗물관리 시스템의 용수공급 적정성 분석
- 머신러닝을 이용한 호우재해의 인명피해 예측모델 개발
- 생성형 적대 신경망(GAN)을 활용한 대청댐 유입량 시계열 데이터 증강의 적용성 검토
- 저유속 구간에서의 유속 보정 필터 적용 및 성능 평가
- 침수 시뮬레이션 결과를 활용한 하수처리시설의 홍수 취약성 평가 기법 개발
- 방사선 그라프트 중합법을 이용한 크롬 이온 제거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