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Practical Strategies of Enhancing Community-Based Participatory Disaster Education for Large-Scale Disaster Preparedness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추원식(Won Sik Chu) 최준호(Junho Choi) 이지호(Ji Ho Lee) 오세정(Se Jeong Oh) 이의훈(Eui Hoon Lee)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25권 5호, 67~77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10.31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현대 재난은 기후위기, 도시화 등 복합적 요인에 의해 더욱 빈번하고 복잡하게 발생하며 이에 따라 방재교육에 대한 패러다임의 전환이 요구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법령 등의 제도적 기반을 갖추었음에도 불구하고 운영방식에서의 한계점이 있다. 여전히 정보전달 중심의 교육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으며, 학습자의 주체성, 지역사회 협력, 교육의 지속성 확보에 부족함이 있다. 반면 일본은 한신·아와지대지진과 동일본대지진을 계기로 방재교육을 실천 중심, 지역 연계형, 문화 내재형으로 전환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방재교육의 구조적 한계를 진단하고, 지역사회 참여형 방재교육 실천방안을 제안하기 위해 일본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학습자가 지역 기반에서 재난 리스크를 스스로 인식하고 대응할 수 있는 구조적·문화적 기반이 중요함을 확인하였다. 이에 국내 방재교육은 단편적 생존기술 교육에서 벗어나 시민성과 공동체 회복력을 함양하는 교육으로 재구성되어야 하며 교육기관과 지역사회 간 협력 체계 구축, 생활문화로의 전환 등이 실천되어야 한다.
영문 초록
Owing to factors like climate change and urbanization, modern disasters are becoming more frequent and complex, which demands a paradigm shift in disaster education. Centered on top-down delivery and lacking learner agency, local engagement, and sustainability, this study examines the structural limitations of Korea’s disaster education. Japan’s experience after the Great Hanshin-Awaji Earthquake and the Great East Japan Earthquake is used to highlight a shift toward practice-based, community-integrated, and culturally grounded education. Furthermore, the Japanese case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empowering learners to recognize and respond to disaster risks within local contexts. Accordingly, the study argues that Korea should transition from survival-focused education to models that foster civic competence and community resilience. To support this, disaster education must be embedded into everyday life and supported by collaboration between schools and communities. The findings offer practical insights for building a participatory, sustainable disaster education system that is aligned with local needs.
목차
1. 서 론
2. 국내 방재교육의 현황과 개선방향
3. 지역사회 참여형 방재교육 실천방안 모색 - 일본 사례를 중심으로
4. 결 론
감사의 글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25권 5호 목차
- 머신러닝을 이용한 하천별 조류 발생 예측 모형 개발 및 영향 인자 평가: 미호강과 낙동강 유역 대상
- 대심도 빗물저류배수시설의 저류량 추정을 위한 방법론 개발
- 도시공간적 요인이 온열질환자에 미치는 영향 분석
- 물공급시스템의 수질위험도를 포함한 도시지역 지진 위험도 평가 및 가중치평가 방법 비교분석
- 빗물받이 형상 및 차폐율과 우수관거 막힘 조건에 따른 배수 효율 변화에 대한 실규모 실험적 연구
- 기후변화 경향성을 반영한 표준강수증발산지수(SPEI) 기반 부산 지역 가뭄특성 분석
- 대규모 재난 대비를 위한 지역사회 참여형 방재교육의 실천적 개선방안 연구
- 실무적 활용성 증대를 위한 상수관망 관세척 등급 평가 방법론 개발 및 적용
- 지방자치단체의 폭염 대응 시설이 온열환자 저감에 미치는 영향: 무더위쉼터를 중심으로
- 공항시설 수하물처리구역 화재위험성에 관한 연구
- 석유화학 플랜트 워터커튼 시스템의 복사열 저감 성능에 대한 실험적 연구
- 할로겐화합물 소화약제를 이용한 ESS 화재 진압기술 연구
- 재활용 폐어망 패널로 휨 보강된 RC 슬래브의 휨 보강 한계에 대한 실험적 연구
- 공개 빅데이터와 비선형 회귀분석을 이용한 도시지역 지하수위 예측 모델 개발
- 성토 하중을 고려한 Seq2Seq-LSTM 모델 기반 압밀침하 예측
- 토사재해에 대비한 보강 조적조 벽체의 구조성능 및 현장 실증 평가
- 2층 골조 ENTA 내진보강시스템의 실험연구를 통한 구조 성능 검증
- 화재 관련 데이터가 부족한 지역의 지진화재 위험도 평가를 위한 화재 확산 회귀모델 개발 및 검증
- WIOLP 모형을 이용한 산업별 간접경제손실 정량평가: 2015년 가뭄피해를 대상으로
- 기후변화대응사업의 비용-편익분석 체계 수립 연구: 폭염을 중심으로
- 결빙취약구간 선정 기준 표준화를 위한 자동화 배점체계 개발 및 적용 방안
- 도시형 빗물관리 시스템의 용수공급 적정성 분석
- 머신러닝을 이용한 호우재해의 인명피해 예측모델 개발
- 생성형 적대 신경망(GAN)을 활용한 대청댐 유입량 시계열 데이터 증강의 적용성 검토
- 저유속 구간에서의 유속 보정 필터 적용 및 성능 평가
- 침수 시뮬레이션 결과를 활용한 하수처리시설의 홍수 취약성 평가 기법 개발
- 방사선 그라프트 중합법을 이용한 크롬 이온 제거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