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실무적 활용성 증대를 위한 상수관망 관세척 등급 평가 방법론 개발 및 적용

이용수  0

영문명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Cleaning Grading Method for Pipes in Water Distribution Networks
발행기관
한국방재학회
저자명
김기만(Gi Man Kim) 정일영(Il Young Jung) 유진경(Jin Gyeong Yoo) 유도근(Do Guen Yoo)
간행물 정보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25권 5호, 79~86쪽, 전체 8쪽
주제분류
공학 > 기타공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10.31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먹는 물에 적합하도록 정수한 물을 소비자에게 적정한 수질로 공급하기 위해서는 배수지로부터 소비자 급수시설까지 공급되는 단계인 배수시스템의 안정적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2019년 발생된 인천광역시의 적수사고를 계기로, 국내의 경우 송배수관로의 관세척을 10년에 1회 이상으로 실시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매우 방대한 지역에 걸쳐 복잡하게 땅속에 얽혀있는 상수도관로 시스템의 경우 예산 및 관리여건의 제약에 따라 모든 관로를 규정에 맞게 세척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 등에서 제시된 관세척 등급을 위한 7가지 기준에 대하여 국내 1개 지역의 중블록을 대상으로 평가하고, 기준의 조합방법에 따른 등급평가 결과에 대한 비교분석을 실시하였다. 추가적으로 유향방향의 그룹화 기반의 평가를 수행하여, 실무적으로 실현가능한 등급평가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적용 및 분석 결과 기존의 선행 연구에서 제시된 방법론은 관세척 등급평가 기준을 매우 엄격하게 제시하는 경향이 있어 수질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잠재적 위험관로를 놓칠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7가지 적용기준 별 가중치가 명확히 정립되지 않은 상황에서 교집합적 평가 기준을 제시하는 것은 잠재적 위험성을 고려하지 않는다는 한계점을 가진다 평가할 수 있다. 따라서 개별적 기준에 대한 가중치를 우선 동일하게 하여 평가하고, 실무적 판단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그룹기반의 평가를 수행하는 것이 단, 중장기 관세척 계획을 수립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영문 초록

To ensure a stable supply of potable drinking water, effective management of the distribution system, starting from the reservoir to the consumer water-supply facility, is essential. Following the 2019 flood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Korea has mandated that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pipelines be cleaned at least once every 10 years. However, budgetary and management constraints make it difficult to clean all pipelines, especially in complex underground water supply systems spanning vast areas. This study evaluated seven cleaning-grade criteria proposed in previous studies for a medium-sized block in one region of Korea, and compared the rating results based on different combinations of these criteria. Additionally, a grouping-based assessment based on flow direction was performed to propose a feasible rating method. The findings revealed that methodologies from previous studies tended to apply overly strict criteria for cleaning grades, overlooking potentially hazardous pipelines that could lead to water quality accidents. Furthermore, using a cross-sectional evaluation criterion, without clearly established weights for each of the seven application criteria, is limited as it fails to consider potential risks. Therefore, prioritizing the weighting of individual criteria and conducting a group-based evaluation that facilitates practical judgment can support the development of a mid- to long-term pipeline maintenance plan.

목차

1. 서 론
2. 방법론
3. 적용 및 결과
4. 결 론
감사의 글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기만(Gi Man Kim),정일영(Il Young Jung),유진경(Jin Gyeong Yoo),유도근(Do Guen Yoo). (2025).실무적 활용성 증대를 위한 상수관망 관세척 등급 평가 방법론 개발 및 적용.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25 (5), 79-86

MLA

김기만(Gi Man Kim),정일영(Il Young Jung),유진경(Jin Gyeong Yoo),유도근(Do Guen Yoo). "실무적 활용성 증대를 위한 상수관망 관세척 등급 평가 방법론 개발 및 적용."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25.5(2025): 79-8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