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SNS상의 표현의 자유의 한계 - 미국 수정헌법 제1조의 해석과 미국 연방대법원의 진정한 위협(true threats)의 적용 범위를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Limitations of Freedom of Expression on SNS : Focusing on the Interpretation of the First Amendment to the U.S. Constitution and the Application Scope of the True Threats Doctrine in the U.S. Supreme Court Decisions
- 발행기관
- 한국헌법학회
- 저자명
- 남정아(Jeong-Ah Nam)
- 간행물 정보
- 『헌법학연구』第31卷 第3號, 393~429쪽, 전체 37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7,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글은 최근 들어 빈번히 발생하는 SNS상에서 이루어지는 표현행위 중, 특히 ‘위협’ 또는 ‘해악의 고지’ 등이 과연 표현의 자유의 보호 범주에 들어가는지, 아니면 미국 수정헌법 제1조 아래에서 논의되고 있는 바와 같이 ‘진정한 위협(true threats)’에 해당하여 헌법상 표현의 자유의 보호범위를 벗어나는지를 살피는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특히 익명성이 보장되는 인터넷 혹은 사이버공간의 특성으로 말미암아 SNS는 스토킹 범죄와 성희롱, 언어폭력 범죄들이 더 발생하기 쉬운 환경이라고 할 수 있으므로 SNS상에서 어느 범위까지 표현의 자유를 인정해야 하는지가 매우 중요한 쟁점이라고 할 수 있다. 진정한 위협과 관련된 미국 연방대법원 판례는 “정치적인 과장(political hyperbole)”은 진정한 위협이 되지 않는다는 1969년 Watts v. United States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후 2003년 Virginia v. Black 판결에서 연방대법원은 ‘주관적 요건(subjective standard)’이 충족되지 않으면 위협적인 표현에 대해 유죄를 선고할 수 없다고 판단하면서 진정한 위협이 성립하기 위해서는 내심의 의사가 입증되어야 한다고 명확하게 판시하였다. 2015년 연방대법원의 Elonis v. United States 사건은 디지털 시대에 위협을 평가할 때 발언자의 의도와 발언의 맥락을 신중하게 고려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여 진정한 위협의 정의와 표현의 자유 간의 균형을 다룬 중요한 판례이므로 이 판례도 함께 살펴볼 필요가 있다. 특히, 미국 연방대법원은 2023년 Counterman 판결을 통하여, 진정한 위협이 성립하기 위해서는 객관적인 요소로서 ‘위협적인 요소’ 뿐만 아니라 주관적인 요소로서 ‘무모성(recklessness)’을 요구하고 있다. 여기에서 소위 2015년 Elonis 사건에서 연방대법원이 주관적인 요건으로 제시하면서도 그 수준을 정확하게 판시하지 못한 아쉬움을 극복하면서, ‘무모성’의 정도이면 족하고, ‘목적(purpose)’이나 ‘인식(knowledge)’까지는 필요하지 않다고 함으로써, 적절한 균형을 맞추었다. 미국 연방대법원의 판례들을 살펴보면서 표현의 자유의 보호 범주에 대한 우리나라의 논의에서 필요한 시사점을 얻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focuses on comparative studies that examine whether threats or notices of harm made on social media, which have occurred frequently in recent years, fall into the protected category of freedom of expression or fall outside the scope of protection under the First Amendment of the U.S. Constitution due to the nature of the internet or cyberspace that guarantees anonymity. SNS is an environment where stalking crimes, sexual harassment, and verbal violence crimes are more likely to occur, so the extent to which freedom of expression should be recognized on SNS is a very important issue. The U.S. Supreme Court precedent regarding the the true threats goes back to 1969 Watts v. United States, where “political hyperboles” do not pose a real threat. Later, in the 2003 Virginia v. Black ruling, the Supreme Court clearly ruled that the true threats must be proved, judging that it could not be convicted of the true threats if the subjective standard was not met. The 2015 Supreme Court's Elonis v. United States case is an important precedent that deals with the balance between the definition of the true threats and freedom of expression, emphasizing the need to carefully consider the speaker's intentions and the context of his or her remarks when evaluating threats in the digital age. The U.S. Supreme Court recently made a decision in the 2023 Counterman case that calls for “recklessness” as a subjective element as well as “threatening” as an objective element to establish the true threats. In overcoming the regret that the Supreme Court presented as a subjective requirement in the 2015 Elonis case, however, the level of “recklessness” was sufficient, and “purpose” or “knowledge” was not necessary. Looking at the precedents of the U.S. Supreme Court, this article would like to obtain necessary implications for Korea's legal soil and discussions regarding the protection category of freedom of expression.
목차
Ⅰ. 서론
Ⅱ. 진정한 위협과 관련된 종래 미국 연방대법원 판례의 동향
Ⅲ. 2023년 미국 연방대법원 Counterman v. Colorado 판결의 분석
Ⅳ. SNS상의 표현의 자유의 특성과 진정한 위협의 함의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헌법학연구 제31권 제3호 목차
- 민주공화적 권력구조로의 개헌방안 - 다단계 협치론을 중심으로
- 법제처 법령해석제도의 헌법상 의의와 한계
- 국민주권 의미에서 소버린 AI의 실현 방향
- 국회의원 선거구획정위원회에 관한 헌법적 연구
- 공직선거법상 비례대표 국회의원 후보자의 공개장소에서의 연설ㆍ대담 금지규정에 관한 헌법적 검토
- 국회의원의 세대 간 불균형에 관한 헌법적 고찰
- 디지털사회전환(DX)과 미래농업을 위한 헌법적 과제
- 국가인권위원회의 독립성 보장에 관한 헌법적 고찰
- 남성 병역의무 부담에 관한 헌법재판소의 평등심사 연구 - 갈등극복과 사회통합을 위한 합리적 이유논증의 필요성
- 연령차별의 합리성에 대한 재고 - 정년제도를 중심으로
- 알고리즘 시대 공론장의 위기와 표현의 자유
- SNS상의 표현의 자유의 한계 - 미국 수정헌법 제1조의 해석과 미국 연방대법원의 진정한 위협(true threats)의 적용 범위를 중심으로
- 「교원의 학생생활지도에 관한 고시」에 관한 헌법적 검토
- 아동학대 예방 및 처벌 규정의 헌법적 소고 - 아동복지법과 아동학대특례법의 주요 헌법적 분쟁사례를 중심으로
- 신 일리학파(Neo-Elyian)의 비교정치과정 이론과 약한 사법심사
참고문헌
관련논문
법학 > 법학분야 BEST
- 인공지능 판사, 과연 가능한가?
- 정치의 사법화와 사법의 정치화 : 온건하고 실용적인 헌법재판의 당위성
- 자국 우선주의 정책과 국제법상 난민⋅이민자 보호-트럼프 행정부의 미국 우선주의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