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Critical Analysis of the Male-Only Conscription Rationale : The need for rational reasoning to promote social integration
- 발행기관
- 한국헌법학회
- 저자명
- 승이도(Lee-Do Seung)
- 간행물 정보
- 『헌법학연구』第31卷 第3號, 277~330쪽, 전체 54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9,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우리는 무오류이기 때문에 최종적인 것이 아니라, 오직 우리가 최종적이기 때문에 무오류인 것이다.” 미국 Robert Jackson 연방대법관이 1953년 Brown v. Allen 결정에 남겨놓은 유명한 판시이다. 이 냉소적인 농담은, 인간이 만든 제도인 이상 연방대법원도 실수를 할 수 있기에 그 결정이 항상 옳은 것은 아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더 이상의 상급심이 없으므로 그 결정은 사실상 오류가 없는 것처럼 받아들여질 수밖에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Jackson 연방대법관은 이를 통해 연방대법원의 권위에 따르는 사법적 겸손과 책임을 강조하였다.
재판기관의 겸손과 책임은 법적 안정성과 구체적 타당성을 모두 충족하는 구성적 해석의 과정, 즉 ‘합리적 이유논증’을 통해 검증되고 실현된다. 특히 사법부는 입법부・행정부와 달리 민주적 정당성이 상대적으로 부족하기에, 이를 보완하는 맥락에서 논리정연한 정당화가 요구된다. 즉 재판기관은 선출되지 않았기에 더 철저한 이유논증으로 정당성을 확보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재판기관은 법치주의 실현을 위해 존재하는데, 법치주의는 국가권력 행사의 예측가능성과 통제가능성을 핵심으로 하므로, 합리적 이유논증을 통해 재판에 대한 예측가능성과 오류에 대한 통제가능성을 확보할 필요성이 크다.
사회적 갈등의 원인은 다양하겠지만, 그 중에서도 가장 근본적인 요인은 바로 ‘불평등’이다. 일반적으로 불평등이라 하면 기회에 대한 접근에서 차이를 뜻하는 ‘기회의 불평등’을 떠올리기 쉽다. 하지만 기회는 개인이 선택적으로 포기할 수 있는 반면, 의무는 국가에 의해 강제된다는 점에서 ‘의무의 불평등’이 오히려 더 심각한 갈등을 초래한다. 이런 측면에서 남성 병역의무을 규정한 병역법 사건에 관한 헌법재판소의 이유논증은 더 철저하게 검증되고 논의될 필요성이 있다. 이를 통해 헌법재판소의 결정도 ‘최종적이기에 사실상 무오류’인 것으로 받아들여지기 보다는, 학계와 재판소 사이의 개방적이고 솔직한 논의를 통해 이유논증의 설득력을 높임으로써, 재판소의 권위에 부합하는 사법적 겸손과 책임을 달성함과 동시에 사회통합에 기여해야 한다.
이 글에서는 사법심사를 담당하는 재판기관의 합리적 이유논증이 갈등을 조정하여 사회통합에 기여할 수 있음을 전제로 하여, 남성 징병등록의무에 관한 미국 연방대법원의 최근 사례(National Coalition for Men v. Selective Service System)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남성 병역의무에 대한 대한민국 헌법재판소의 이유논증(2006헌마328)이 합리성을 충족함으로써 사회통합에 기여하였는지 검토하였다.
영문 초록
“We are not final because we are infallible, but we are infallible only because we are final.” This is a famous joke left by U.S. Supreme Court Justice Robert Jackson in his opinion in the 1953 Brown v. Allen decision. This cynical joke implies that, although the U.S. Supreme Court, being a human institution, is capable of error and thus its decisions are not always correct, the absence of a higher court means its rulings are effectively treated as infallible. Through this remark, Justice Jackson emphasized judicial humility while simultaneously demonstrating his recognition of the judicial accountability that comes with the Supreme Court's authority.
Judicial humility and accountability can be realized through the process of constructive interpretation that satisfies both legal stability and concrete validity, that is, ‘rational reasoning’. Unlike the legislative and executive branches, the judiciary is not composed through direct elections by the people, which results in relatively weaker democratic legitimacy. Therefore, coherent and logical justification is required to compensate for the lack of legitimacy. In other words, because judicial bodies are unelected, they must secure legitimacy through more rigorous reasoning. Furthermore, the judiciary exists to realize the rule of law, which is centered on the predictability and controllability of state power. Therefore, rational reasoning is essential to ensure both the predictability and controllability of the judicial decisions.
While social conflict arises from various sources, the most fundamental cause is ‘inequality’. When we think of inequality, we often think of ‘inequality of opportunity’, which refers to differences in access to opportunities. However, since opportunities can be voluntarily relinquished by individuals, whereas obligations are imposed by the state, ‘inequality of obligation’ tends to provoke more severe conflicts. In this context, the Korean Constitutional Court’s reasoning in the case concerning the Military Service Act, which mandates male-only conscription, requires more thorough scrutiny and discussion. Rather than accepting the Court’s reasoning as ‘infallible only because it is final’, it is essential to enhance the persuasiveness of its reasoning through open and candid dialogue between academia and the Court. This approach should foster the judicial humility and accountability befitting the Court’s authority, while also contribute to social integration.
This article proceeds on the premise that rational reasoning by the Court which deals with the judicial review can help mediate social conflict and promote social integration. Based on an understanding of a recent U.S. Supreme Court case regarding Military Selective Service Act(National Coalition for Men v. Selective Service System), I examined whether Korean Constitutional Court’s reasoning in the decision(2006Hun-Ma328) concerning the Military Service Act(male-only conscription) satisfied rationality and thus contributed to social integration of Korean.
목차
Ⅰ. 서설
Ⅱ. 헌법재판에서 이유논증과 사회통합
Ⅲ. 병역의무에 관한 헌법재판소 주요 결정 및 논거
Ⅳ. 남성 병역의무와 평등에 관한 기존 논의
Ⅴ. 남성 징병등록의무에 관한 미국 연방대법원 사례
Ⅵ. 헌법재판소의 남성 병역의무 합헌 논거에 대한 검토
Ⅶ. 결어
참고문헌
키워드
사법적 겸손
사법적 책임
구성적 해석
합리적 이유논증
민주적 정당성
법치주의
예측가능성
통제가능성
기회의 불평등
의무의 불평등
남성 병역의무
2006헌마328
사법심사
사회갈등
사회통합
judicial modesty
judicial accountability
constructive interpretation
rational reasoning
democratic legitimacy
rule of law
predictability
controllability
inequality of opportunity
inequality of obligation
male-only conscription
2006Hun-Ma328
judicial review
social conflict
social integration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헌법학연구 제31권 제3호 목차
- 민주공화적 권력구조로의 개헌방안 - 다단계 협치론을 중심으로
- 법제처 법령해석제도의 헌법상 의의와 한계
- 국민주권 의미에서 소버린 AI의 실현 방향
- 국회의원 선거구획정위원회에 관한 헌법적 연구
- 공직선거법상 비례대표 국회의원 후보자의 공개장소에서의 연설ㆍ대담 금지규정에 관한 헌법적 검토
- 국회의원의 세대 간 불균형에 관한 헌법적 고찰
- 디지털사회전환(DX)과 미래농업을 위한 헌법적 과제
- 국가인권위원회의 독립성 보장에 관한 헌법적 고찰
- 남성 병역의무 부담에 관한 헌법재판소의 평등심사 연구 - 갈등극복과 사회통합을 위한 합리적 이유논증의 필요성
- 연령차별의 합리성에 대한 재고 - 정년제도를 중심으로
- 알고리즘 시대 공론장의 위기와 표현의 자유
- SNS상의 표현의 자유의 한계 - 미국 수정헌법 제1조의 해석과 미국 연방대법원의 진정한 위협(true threats)의 적용 범위를 중심으로
- 「교원의 학생생활지도에 관한 고시」에 관한 헌법적 검토
- 아동학대 예방 및 처벌 규정의 헌법적 소고 - 아동복지법과 아동학대특례법의 주요 헌법적 분쟁사례를 중심으로
- 신 일리학파(Neo-Elyian)의 비교정치과정 이론과 약한 사법심사
참고문헌
관련논문
법학 > 법학분야 BEST
- 인공지능 판사, 과연 가능한가?
- 정치의 사법화와 사법의 정치화 : 온건하고 실용적인 헌법재판의 당위성
- 자국 우선주의 정책과 국제법상 난민⋅이민자 보호-트럼프 행정부의 미국 우선주의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