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Constitutional Study on the Electoral District Delimitation Commission in Korea
- 발행기관
- 한국헌법학회
- 저자명
- 정상우(Sangwoo Chong)
- 간행물 정보
- 『헌법학연구』第31卷 第3號, 105~136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선거구획정은 대의민주주의의 대표성과 공정성을 결정하는 핵심 요소이며, 그 절차적 정당성은 국민의 참정권 보장과 직결된다. 우리나라는 1994년 선거구획정위원회를 도입한 이후 국회의 영향력 축소와 정치적 중립성 강화를 위해 선거구획정위원회의 구성과 지위를 개선해 왔다. 그러나 제22대 국회의원 선거구획정 과정에서도 나타났듯이, 의원정수 확정의 지연, 특례선거구 인정, 지역 간 인구 불균형 등 제도적 한계가 여전히 드러났다. 본 연구는 선거구획정위원회의 법적 지위와 권한을 검토하고, 실제 운영상의 문제점을 분석한 뒤, 개선 방안을 제시한다. 주요 개선 방안으로는 ① 선거구획정위원회의 상설화 및 독립성 강화, ② 시도별 지역구 정수 산정의 법제화, ③ 선거구획정안 확정 절차의 명확화를 제안하였다. 이러한 논의는 선거구획정 제도의 합리적 개선을 통해 국민의 투표가치 평등을 실현하고, 대의민주주의의 정당성과 신뢰성을 제고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Electoral district delimitation is a core element determining the representativeness and fairness of representative democracy, and its procedural legitimacy is directly linked to safeguarding citizens' right to participate in elections. Since introducing the Electoral District Delimitation Commission in 1994, South Korea has revised the commission's composition and status to reduce the National Assembly's influence and strengthen its political neutrality. However, as evident in the redistricting process for the 22nd National Assembly election, institutional limitations persist, including delays in finalizing the number of seats, recognition of special electoral districts, and regional imbalances. This study examines the legal status and authority of the Redistricting Commission, analyzes operational issues, and proposes improvement measures. Key improvement proposals include: ① making the Commission permanent and strengthening its independence; ② legislating the calculation of district seats per province/metropolitan city; and ③ clarifying the procedure for finalizing redistricting plans. These discussions can contribute to realizing equal voting value for citizens and enhancing the legitimacy and trustworthiness of representative democracy through rational improvements to the redistricting system.
목차
Ⅰ. 서론
Ⅱ. 선거구획정위원회의 지위와 권한
Ⅲ. 선거구획정위원회의 선거구 획정과 한계
Ⅳ. 선거구획정위원회 제도 개선 방안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헌법학연구 제31권 제3호 목차
- 민주공화적 권력구조로의 개헌방안 - 다단계 협치론을 중심으로
- 법제처 법령해석제도의 헌법상 의의와 한계
- 국민주권 의미에서 소버린 AI의 실현 방향
- 국회의원 선거구획정위원회에 관한 헌법적 연구
- 공직선거법상 비례대표 국회의원 후보자의 공개장소에서의 연설ㆍ대담 금지규정에 관한 헌법적 검토
- 국회의원의 세대 간 불균형에 관한 헌법적 고찰
- 디지털사회전환(DX)과 미래농업을 위한 헌법적 과제
- 국가인권위원회의 독립성 보장에 관한 헌법적 고찰
- 남성 병역의무 부담에 관한 헌법재판소의 평등심사 연구 - 갈등극복과 사회통합을 위한 합리적 이유논증의 필요성
- 연령차별의 합리성에 대한 재고 - 정년제도를 중심으로
- 알고리즘 시대 공론장의 위기와 표현의 자유
- SNS상의 표현의 자유의 한계 - 미국 수정헌법 제1조의 해석과 미국 연방대법원의 진정한 위협(true threats)의 적용 범위를 중심으로
- 「교원의 학생생활지도에 관한 고시」에 관한 헌법적 검토
- 아동학대 예방 및 처벌 규정의 헌법적 소고 - 아동복지법과 아동학대특례법의 주요 헌법적 분쟁사례를 중심으로
- 신 일리학파(Neo-Elyian)의 비교정치과정 이론과 약한 사법심사
참고문헌
관련논문
법학 > 법학분야 BEST
- 인공지능 판사, 과연 가능한가?
- 정치의 사법화와 사법의 정치화 : 온건하고 실용적인 헌법재판의 당위성
- 자국 우선주의 정책과 국제법상 난민⋅이민자 보호-트럼프 행정부의 미국 우선주의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