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New Paradigm of Algorithmic Platform Liability through Anderson v. TikTok and Its Implications for Korean Law
- 발행기관
- 원광대학교 법학연구소
- 저자명
- 이혜리(Hyeri Lee)
- 간행물 정보
- 『원광법학』제41권 제3호, 131~153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는 2024년 미국 제3순회항소법원의 Anderson v. TikTok 판결이 제시한 알고리즘 플랫폼 책임의 새로운 법리를 분석하고, 한국법에의 시사점을 도출한다. 10세 소녀가 틱톡의 추천 알고리즘을 통해 위험한 블랙아웃 챌린지 영상을 시청한 후 사망한 사건에서, 법원은 알고리즘 추천을 ‘플랫폼 자체 표현(first-party speech)’으로 인정하여 통신품위법 Section 230 면책을 제한했다. 이는 기존의 광범위한 플랫폼 면책 논리에 제동을 건 획기적 판결이다.
한국 헌법학적 관점에서 이 사안은 플랫폼의 표현의 자유와 이용자의 생명권·안전권, 기업의 영업의 자유와 소비자의 알 권리 간의 기본권 충돌 문제로 귀결된다. 한국 헌법재판소의 실제적 조화 원리와 비례원칙 4단계 심사는 이러한 복합적 기본권 충돌에서 체계적 해결 기준을 제공할 수 있다. 민법적 차원에서는 기존 불법행위법의 확장적 해석을 통해 플랫폼의 방조책임 법리를 알고리즘 추천 영역에 적용할 수 있으나, AI 시스템의 예측불가능한 특성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특별법적 차원에서는 제조물책임법의 알고리즘 적용과 아동보호를 위한 특별 의무 체계 구축이 시급한 과제로 부상했다.
Anderson 판결은 증명책임과 정보 접근권 문제를 통해 기존 법체계의 한계를 드러내면서, 새로운 접근법의 필요성을 제시했다. 아동 보호를 중심으로 한 플랫폼 투명성 강화, 알고리즘 책임성 제고, 효과적인 피해구제 체계 구축이 국제적 공통 과제로 부상하고 있다. 한국법도 기존 법리의 창조적 해석과 근본적 제도 개선을 병행하여 혁신과 규제의 균형을 찾는 새로운 모델을 제시해야 할 시점에 이르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the new legal framework for algorithmic platform liability established by the Third Circuit Court of Appeals' Anderson v. TikTok decision in 2024 and derives its implications for Korean law. In the case where a 10-year-old girl died after viewing dangerous Blackout Challenge videos through TikTok's recommendation algorithm, the court recognized algorithmic recommendations as “first-party speech” of the platform, thereby limiting Section 230 immunity under the Communications Decency Act. This landmark decision represents a significant brake on the existing broad platform immunity framework.
From a Korean constitutional perspective, this case involves conflicts between fundamental rights: the platform's freedom of expression versus users' right to life and safety, and corporate freedom of business versus consumers' right to know. The Korean Constitutional Court's principles of practical concordance and the four-step proportionality test can provide systematic resolution criteria for such complex fundamental rights conflicts. From a civil law perspective, while platform liability for aiding and abetting can be extended to algorithmic recommendation areas through expansive interpretation of existing tort law, there are fundamental limitations in adequately reflecting the unpredictable characteristics of AI systems. From a special law perspective, urgent tasks include applying product liability law to algorithms and establishing special duty systems for child protection.
The Anderson decision highlighted limitations of existing legal systems through issues of burden of proof and information access rights, presenting the need for new approaches. Enhanced platform transparency, improved algorithmic accountability, and effective damage relief systems centered on child protection are emerging as common international tasks. Korean law has reached a point where it must combine creative interpretation of existing legal principles with fundamental institutional improvements to establish a new model that balances innovation and regulation.
목차
Ⅰ. 서 론
Ⅱ. Anderson v. TikTok 판결의 핵심 쟁점
Ⅲ. 비교법적 관점에서 본 알고리즘 플랫폼 책임
Ⅳ.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개헌청원 연구 - 개헌절차법안의 국민개헌청원 중심으로
- 유사강간죄의 폭행·협박의 정도에 관한 해석·입법론상 고찰
- 클라우드 컴퓨팅 압수·수색의 법적 쟁점과 개선 방안
- 미국 형사재판에서 딥페이크 증거와 그 진정성
- 보호소년에 대한 7호 처분의 실효성 확보방안
- 민법 제203조에 따른 비용상환청구권에 관한 몇 가지 고찰 - 대법원 2024. 12. 24. 선고 2020다275744(본소), 2020다275751(반소) 판결을 중심으로
- Anderson v. TikTok 판결을 통해 본 알고리즘 플랫폼 책임의 새로운 패러다임과 한국법에의 시사점
- 압류 및 추심명령 경정의 범위와 경정결정의 효력발생 시기
- 중국 민사조정제도의 현황 및 개선방안
- 디지털의료제품법의 의미와 법정책적 과제
- 슈미트와 켈젠의 ‘헌법의 수호자 논쟁’ 및 그 전개 과정에 대한 탐구 - 법적 판단의 성격에 대한 법이론적 논의에 초점을 맞추어
참고문헌
관련논문
법학 > 법학분야 BEST
- 인공지능 판사, 과연 가능한가?
- 정치의 사법화와 사법의 정치화 : 온건하고 실용적인 헌법재판의 당위성
- 자국 우선주의 정책과 국제법상 난민⋅이민자 보호-트럼프 행정부의 미국 우선주의를 중심으로-
법학 > 법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