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an Analysis of Employment Influencing Factor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Based on Psychological and Policy Environments: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Community Participation Activities
- 발행기관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 저자명
- 안효철(Hyochol Ahn) 김성현(Seonghyune Kim)
- 간행물 정보
- 『유라시아연구』제22권 제3호, 361~385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논문은 장애인의 심리환경과 정책환경 요인이 장애인의 고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기 위한 연구이다. 또한, 장애인의 지역사회참여활동 경험이 어떻게 조절 효과로 나타나 장애인의 고용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기 위해 연구가 수행되었다. 본 연구를 위한 분석자료는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2023)의 「제8차 장애인고용패널조사」자료를 이용하여 장애인 취업자1,967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인 특성과 관련하여 40대 연령층, 고졸 이상 학력 보유 집단, 장애 정도가 심하지 않은 신체 내부 장애를 가진 남성장애인의 취업률과 고용 성과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심리환경은 장애인 고용 증가에 영향을 미치는것으로 나타났고, 정책환경 가운데 장애인 고용서비스 요인이 장애인 고용 증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심리환경 요인이 장애인 고용 증가에 미치는 영향 과정에서 지역사회참여활동이 증가할수록 조절효과가 크게 나타나 장애인 고용 증가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근거로 장애인 고용 확대를 위해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첫째, 장애인의 자기 계발 기회가 보장되는 정책 마련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둘째, 장애인 고용·직업훈련서비스 및 장애인 고용서비스에 대한 홍보 강화 중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셋째, 장애인의 여가 및 다양한 지역사회참여활동 기회 제공을 위한 제도 마련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the experiences of community participation activities of individuals have a moderating effect on the factors of psychological and policy environments that influence the employment of people with disabilities.
The analysis data for the study was obtained from the 8th Panel Survey on Employment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by the Korea Employment Agency for the Disabled (2023), and the subjects of the analysis were selected from 1,967 employed individuals.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distribution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mong the variables and the factors affecting employment from the psychological and policy environments.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assess the degree of correlation between the variables. Additionally,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s of community participation activities on the factors influencing employment from the general characteristics, psychological environment, and policy environment.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in relation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he employment rate and employment outcomes were higher among men with physical disabilities that are not severe, in their 40s, and with a high school diploma or higher.
The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the psychological environment affects the increase in employment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among the policy environment factors, only the employment servic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influence the increase in employment. Community participation activities were found to only affect the increase in employment through psychological environment factors.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to expand the employment of individuals in the market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opportunities for self-development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should be guaranteed, publicity for employment, vocational training services, and employment servic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should be strengthened, and sufficient opportunities for leisure and various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should be provided.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Ⅲ. 자료와 분석 방법
Ⅳ.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국 대형마트 PB식품에 대한 태도, 만족도 및 재구매의도에 관한 연구: 선택속성, 신뢰, 소비자특성을 중심으로
- 서울시 연립·다세대 강제경매에 관한 시계열 분석: 마코프 국면전환 모형을 활용하여
- 프랑스 수출입과 ESG가 상호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 중국 기업의 고령 인적자원관리에 대한 담론 - 제도적 흐름 및 유형 분석을 중심으로
- Predicting Zombie Firms of Listed Companies in China after the COVID-19 Pandemic: Using Explainable Artificial Intelligence
- 다목적 농촌용수개발사업의 실물옵션 분석
- 나치 선전문학 해석 방법으로서의 정치적 종교와 정치적 신학 - 나치 선전시의 사례에서
- 외국인 재소자 처우의 국제인권규범 기준과 한국 교정제도의 개선 과제
- 일제강점기 시기 미국 사회에서의 한일 양국 이민자들 사이의 충돌 양상
- 보험사기의 실태와 대응방안
- 중국 조선족 남성무용 연구 : 19세기 후반부터 21세기 초반까지의 작품분석
- 광주광역시 외국인주민의 심리적 어려움과 사회적 지지: 상담심리학적 관점에서의 인권정책 지원 효과
- 일본 대학의 한국 경제 관련 강좌 연구
- 예술교과의 캡스톤디자인 실천 방안
- 팬데믹 전후 한국 항공사 객실승무원 채용 변화에 관한 문헌고찰: 이미지·서비스 중심에서 직무역량 중심으로
- 한·중·일 고전 시가에 나타난 물(水) 이미지의 언어문화적 형상과 생태인문학적 함의
- 심리환경과 정책환경에 따른 장애인 고용 영향 요인 분석 - 지역사회참여활동의 조절 효과 중심으로
- 한국어 관용표현의 습득요인에 관한 연구 - 베트남 유학생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 장애인복지연구
- Journal of Disability Welfare Studies
- 특수교육학연구
-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Studies
- 장애와 고용
- Disability and Employment
- 장애와 고용
- Disability and Employment
-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 장애와 고용
- Disability and Employment
- 보건사회연구
-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 사회복지연구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Research
- GRI연구논총
- GRI Journal of Studies
- 사회복지연구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Research
- GRI 연구논총
- GRI Journal of Studies
- 장애와 고용
- Disability and Employment
- 사회보장연구
- Journal of Social Security Studies
-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기본과제보고서 2022
- Basic Research Report 2022
- 중앙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장애와 고용
- Disability and Employment
-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한국사회복지행정학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Administration
- 장애와 고용
- Disability and Employment
- 취업진로연구
- Career and Employment Research
- 재활복지학연구
- Journal of Rehabilitation Welfare Studies
- 한국스포츠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ports Association
- 한신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장애와 고용
- Disability and Employment
- 서울: 한국노동연구원
- College Student Journal
- Psychological Inquiry
- Thomson/Brooks/Cole
- Macmillan
- American Psychologist
- Princeton University Press
- Journal of Social Issues
- World Health Organization
- International Journal of Urban and Regional Research
- 보건복지부
-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인공지능(AI)과 윤리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중국 대형마트 PB식품에 대한 태도, 만족도 및 재구매의도에 관한 연구: 선택속성, 신뢰, 소비자특성을 중심으로
- 서울시 연립·다세대 강제경매에 관한 시계열 분석: 마코프 국면전환 모형을 활용하여
- 프랑스 수출입과 ESG가 상호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