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Patterns of Conflict Between Korean and Japanese Immigrants in American Societ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 발행기관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 저자명
- 정근하(Geunha Jung) 노영희(Younghee Noh)
- 간행물 정보
- 『유라시아연구』제22권 제3호, 181~206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일제강점기 시기 미주지역은 한인들이 일본의 눈치를 볼 필요도 없었고, 미국 정부 또한 별다른 제재를 하지 않아 자유롭게 독립운동을 전개할 수 있는 중립적인 곳이었다. 그러나 일본인들은 한인보다 삼십여 년 일찍 미주지역에 이주해 있었고, 그 수도 훨씬 많았다. 한인들은 말도 통하지 않고, 아는 사람 한 명 없는 이역만리 타국에서 기본적인 욕구를 채워야 했고, 수적으로도 극소수 민족이었다는 점에서 일본인에 대한 적대감을 표현하기란 대단히 어려운 일이었다. 李里花(2008: 140)의 발표에 따르면 하와이 이민 초기 한인들의 중요한 관심사는 일본인이 아니라, 농장의 매니저와 의사, 현장 감독을 하던 하올리(Haole = 백인)과의 관계였다고 주장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를 이해할 수 있다. 그러나 한인들은 미국으로 이주한 이후 일본인들이 조국을 탄압하는 사건이 터지면 어김없이 분개하며 집회를 갖고 성금을 모아 송금하였고, 일본제품 불매운동을 감행했다. 또한 미국사회를 떠들썩하게 한 스티븐스 저격 사건도 있었지만, 나라의 주권을 빼앗긴 피지배국의 외침은 제국주의를 시행하고 있는 미국의 입장에서는 그들의 소리가 들리지 않았다. 일본인들과 같은 공간에서 생활했지만 한인들은 수적열세, 극소수 민족이라는 지위의 열세, 일본의 막강한 외압 등으로 미주지역에서 한인과 일본인의 충돌은 크게 일어나지 않았다.
영문 초록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Korean diaspora in the United States enjoyed a relatively neutral and free environment for engaging in independence movements. Unlike in Korea or Japanese-controlled territories, Koreans in America did not have to fear Japanese surveillance, and the U.S. government largely refrained from imposing restrictions. However, Japanese immigrants had settled in the U.S. roughly thirty years earlier and far outnumbered Koreans. For Korean immigrants, who arrived with no local connections, little English proficiency, and limited resources, openly expressing hostility toward the Japanese was extremely difficult. According to LEE Ri-hwa (2008: 140), early Korean immigrants in Hawaii were more concerned with their relationships with Haole (white) plantation managers, doctors, and supervisors than with the Japanese.
Nevertheless, when news broke of Japan’s oppression of Korea, Koreans in America regularly held protest gatherings, raised funds for the independence cause, and boycotted Japanese goods. The 1908 shooting of Durham Stevens also drew significant attention, though the cries of a colonized people were largely ignored by the U.S., a rising imperial power itself. Despite sharing the same geographical space, overt conflict between Koreans and Japanese in America was rare, primarily due to the numerical and social disadvantage faced by the Korean minority, and Japan’s overwhelming diplomatic and political influence.
목차
Ⅰ. 서론
Ⅱ. 미주지역이민에 관한 선행연구 및 연구방법
Ⅲ. 미국에서의 한인과 일본인의 충돌현황
Ⅳ. 논의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국 대형마트 PB식품에 대한 태도, 만족도 및 재구매의도에 관한 연구: 선택속성, 신뢰, 소비자특성을 중심으로
- 서울시 연립·다세대 강제경매에 관한 시계열 분석: 마코프 국면전환 모형을 활용하여
- 프랑스 수출입과 ESG가 상호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 중국 기업의 고령 인적자원관리에 대한 담론 - 제도적 흐름 및 유형 분석을 중심으로
- Predicting Zombie Firms of Listed Companies in China after the COVID-19 Pandemic: Using Explainable Artificial Intelligence
- 다목적 농촌용수개발사업의 실물옵션 분석
- 나치 선전문학 해석 방법으로서의 정치적 종교와 정치적 신학 - 나치 선전시의 사례에서
- 외국인 재소자 처우의 국제인권규범 기준과 한국 교정제도의 개선 과제
- 일제강점기 시기 미국 사회에서의 한일 양국 이민자들 사이의 충돌 양상
- 보험사기의 실태와 대응방안
- 중국 조선족 남성무용 연구 : 19세기 후반부터 21세기 초반까지의 작품분석
- 광주광역시 외국인주민의 심리적 어려움과 사회적 지지: 상담심리학적 관점에서의 인권정책 지원 효과
- 일본 대학의 한국 경제 관련 강좌 연구
- 예술교과의 캡스톤디자인 실천 방안
- 팬데믹 전후 한국 항공사 객실승무원 채용 변화에 관한 문헌고찰: 이미지·서비스 중심에서 직무역량 중심으로
- 한·중·일 고전 시가에 나타난 물(水) 이미지의 언어문화적 형상과 생태인문학적 함의
- 심리환경과 정책환경에 따른 장애인 고용 영향 요인 분석 - 지역사회참여활동의 조절 효과 중심으로
- 한국어 관용표현의 습득요인에 관한 연구 - 베트남 유학생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인공지능(AI)과 윤리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중국 대형마트 PB식품에 대한 태도, 만족도 및 재구매의도에 관한 연구: 선택속성, 신뢰, 소비자특성을 중심으로
- 서울시 연립·다세대 강제경매에 관한 시계열 분석: 마코프 국면전환 모형을 활용하여
- 프랑스 수출입과 ESG가 상호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