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f Courses on the Korean economy at Japanese Universities
- 발행기관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 저자명
- 정재윤(Jaeyun Jeong)
- 간행물 정보
- 『유라시아연구』제22권 제3호, 257~276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논문에서는 오랜 한국학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오늘날 해외 대학 중 가장 많은 한국학강좌를 제공하고 있는 일본 대학에서 한국 경제와 관련된 강좌는 어떤 것이 있으며 그 특징은 무엇인지살펴보았다. 일본의 한국학 강좌는 역사학과 언어학 중심의 특정 학과 체제에 국한되지 않고 개설되어있다는 특징이 있다. 즉, 정치학, 경제학, 사회학 등 다양한 사회과학 분야로 한국학 강좌가 분산되어 있으며, 한국 경제 강좌 또한 이와 같이 분과 학문 분야에서 나타난다. 일본 대학의 한국 경제 강좌는 교양학부, 문학부, 경제학과, 상학과, 인문사회과학과, 국제관계학과 및 식품경영학과 등 다양한 학부 및 학과에 폭넓게 분포되어 있다. 한국 경제를 집중 조명한 강좌도 있으나 대부분의 강좌는 일본을 비롯하여 아시아 지역 국가들의 경제를 서로 비교하거나 국제정치경제관계 속에서 한국 경제는 하나의 사례로 활용되고 있다. 한국 경제를 집중 조명한 단독 강좌와 강좌 내용 중 일부로 한국이 포함되어 있는 강좌, 두 경우 모두 공통적으로 한국의 급속한 경제성장 과정과 외환 위기 이후 선진국 수준으로 비약적인 발전을 이룬 모습, 그리고 이로 인하여 직면한 오늘날의 여러 문제점을 주목하고 있다. 일본 대학에 개설된 한국 경제 강좌는 한국 경제를 이해하는 것이 강좌의 일차적인 목표이지만 한국 경제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 결과는 궁극적으로 일본의 경제를 이해하는 데 주요한 목적이 있음을 밝히고 있다. 마지막으로 한국어 문헌 및 자료를 통해 한국 경제를 이해하는 강좌는 일본의 한국학 환경을 읽을 수 있는 특징적인 점으로 꼽을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of courses on the Korean economy offered at Japanese universities, which have a long history of Korean studies and offer the largest number of Korean studies courses today. Rather than being confined to specific departments like history and linguistics, Korean studies courses are spread across diverse social science disciplines, including political science, economics, and sociology. First, Korean economics courses at Japanese universities are widely distributed across diverse departments, including liberal arts, economics, business administratio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international relations, and food management. Second, not only stand-alone courses on the Korean economy but also courses that include Korea as part of courses like Asian economies commonly address Korea's rapid economic growth and the process of its rapid development to the level of advanced economies. Third, while understanding the Korean economy is the primary goal of Korean economic courses at Japanese universities,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Korean economy also provides a coexisting understanding of the Japanese economy. Fourth, a characteristic of Korean economics courses in Japan is that they are opened for the purpose of reading Korean literature for the purpose of understanding the Korean economy, rather than for learning the Korean language.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Ⅲ. 연구 대상 및 방법
Ⅳ. 일본 대학의 한국 경제 강좌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국 대형마트 PB식품에 대한 태도, 만족도 및 재구매의도에 관한 연구: 선택속성, 신뢰, 소비자특성을 중심으로
- 서울시 연립·다세대 강제경매에 관한 시계열 분석: 마코프 국면전환 모형을 활용하여
- 프랑스 수출입과 ESG가 상호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 중국 기업의 고령 인적자원관리에 대한 담론 - 제도적 흐름 및 유형 분석을 중심으로
- Predicting Zombie Firms of Listed Companies in China after the COVID-19 Pandemic: Using Explainable Artificial Intelligence
- 다목적 농촌용수개발사업의 실물옵션 분석
- 나치 선전문학 해석 방법으로서의 정치적 종교와 정치적 신학 - 나치 선전시의 사례에서
- 외국인 재소자 처우의 국제인권규범 기준과 한국 교정제도의 개선 과제
- 일제강점기 시기 미국 사회에서의 한일 양국 이민자들 사이의 충돌 양상
- 보험사기의 실태와 대응방안
- 중국 조선족 남성무용 연구 : 19세기 후반부터 21세기 초반까지의 작품분석
- 광주광역시 외국인주민의 심리적 어려움과 사회적 지지: 상담심리학적 관점에서의 인권정책 지원 효과
- 일본 대학의 한국 경제 관련 강좌 연구
- 예술교과의 캡스톤디자인 실천 방안
- 팬데믹 전후 한국 항공사 객실승무원 채용 변화에 관한 문헌고찰: 이미지·서비스 중심에서 직무역량 중심으로
- 한·중·일 고전 시가에 나타난 물(水) 이미지의 언어문화적 형상과 생태인문학적 함의
- 심리환경과 정책환경에 따른 장애인 고용 영향 요인 분석 - 지역사회참여활동의 조절 효과 중심으로
- 한국어 관용표현의 습득요인에 관한 연구 - 베트남 유학생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인공지능(AI)과 윤리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중국 대형마트 PB식품에 대한 태도, 만족도 및 재구매의도에 관한 연구: 선택속성, 신뢰, 소비자특성을 중심으로
- 서울시 연립·다세대 강제경매에 관한 시계열 분석: 마코프 국면전환 모형을 활용하여
- 프랑스 수출입과 ESG가 상호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