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Perceptions and Support Needs of Directors in Inclusive Childcare Centers for the Transition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to Elementary School
- 발행기관
-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 저자명
- 송혜정(Hye Jeong Song) 이병인(Byoung In Lee) 배성현(Sung Hyun Bae)
- 간행물 정보
-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제29권 제3호, 245~275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장애아통합어린이집 원장이 인식하는 장애유아의 초등학교 전이 지원과 그에 대한 지원 요구를 분석하여, 효과적인 전이 지원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장애유아 전이 지원 경력이 3년 이상인 원장 7명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질문지를 활용한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연속적 비교법을 적용하여 4개의 상위범주, 11개의 하위범주, 35개의 개념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장애유아의 성공적인 초등학교 전이를 위해서는 개별화되고 체계적인 지원, 그리고 학교·가정·지역사회의 긴밀한 협력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이 지원 과정에서 부모의 참여가 필수적이지만, 다양한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한 실질적인 지원이 요구되었다. 셋째, 원장은 전이 지원 과정에서 조정자 역할을 수행하며 성공적인 지원을 위해 현장 역량 강화, 교사 확보 및 인건비 안정, 제도 개선 등이 필요함이 확인되었다. 넷째, 효과적인 전이 지원을 위해서는 구체적이고 안정적인 지원 체계 구축과 현장 인력의 전문성 제고가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장애유아의 초등학교 전이 지원의 실효성 제고를 위해 개별화된 지원, 부모의 참여와 현장 인력의 역량 강화, 제도적·구조적 지원 체계 마련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장애유아의 원활한 초등학교 전이를 위한 정책 및 실천 방안 마련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perceptions of directors at inclusive childcare centers regarding transition support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entering elementary school, as well as their support needs, in order to explore effective strategies for facilitating this transition. To achieve thi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seven directors who had at least three years of experience in transition support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using a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Using constant comparative analysis, four main categories, 11 subcategories, and 35 concepts were identified.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successful transition to elementary school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requires individualized support, systematic assistance, and close collaboration among schools, families, and local communities. Second, although parental involvement is essential in the transition process, parents encounter various challenges, highlighting the need for practical and targeted support. Third, directors play a coordinating role in the transition process, and effective support requires strengthening field capacity, securing qualified teachers, ensuring stable personnel costs, and improving relevant systems. Fourth, the establishment of a concrete and stable support system and enhancement of the expertise of field personnel were found to be crucial for effective transition support. These findings suggest that enhancing the effectiveness of transition support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requires individualized assistance, capacity building for both parents and field personnel, and the establishment of institutional and structural support systems. This study is expected to serve as foundational data for the development of policies and practical strategies to ensure a smooth transition to elementary school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제29권 제3호 목차
- PBL 기반 유아사회교육이 예비유아교사의 사회적 교수효능감 및 대인관계역량에 미치는 영향
- 어머니의 정서표현 수용태도가 유아의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유아 공격성 및 자아존중감의 매개를 중심으로
- 키워드 네트워크를 활용한 유아 부적응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어린이집에서의 놀이치료가 부모-자녀 애착, 가족의사소통, 부모-교사 협력에 미치는 영향
- 발달장애인의 디지털 활용수준과 삶의 질의 관계에서 사회적 자본과 고용유지의 이중매개효과
- 장애위험군 유아지도를 위한 보육교사 학습공동체의 경험과 의미
- 유아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가 개정누리과정 실행에 미치는 영향: 놀이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 예비유아교사의 언어교육 인식 및 언어교수효능감 변화에 대한 학습자 중심 언어지도 수업의 효과
- 발달장애 아동 아버지의 자녀 언어치료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어린 왕자(Le Petit Prince)」활용 방과후 프로그램 내용구성 연구
- 현직 보육교사의 디지털 놀이지원에 대한 인식 연구 - 디지털 매체활용을 중심으로
- 유아교사의 디지털 역량과 디지털 놀이 지원역량 간의 관계에서 교육과정 운영 자율성과 놀이성의 이중매개효과
- 장애아통합어린이집 원장의 장애유아 초등학교 전이 지원에 대한 인식 및 지원 요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