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xperience and Meaning of Child Care Teacher Learning Community for Childhood Guidance in Disability Risk Group
- 발행기관
-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 저자명
- 김미화(Mi Hwa Kim) 최윤희(Yun Hee Choi)
- 간행물 정보
-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제29권 제3호, 139~165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장애위험군 유아를 지도하는 보육교사의 학습공동체의 경험과 의미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를 위해 S구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보육교사 6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고, 학습공동체의 모든 과정은 교사들이 직접 토론을 통해 주제와 회기, 운영시간, 운영방식 등을 결정하였다. 2024년 10월 모집을 시작으로 12월까지 총 6회기가 진행되었으며, 교사들이 정한 6회기의 소주제를 검토한 연구자는 교사들을 지원하기 위해 관련 정보를 모아 자료집을 제공하였다. 6회기의 학습공동체가 종료된 후 연구자는 반구조화된 면담지를 구성하여 포커스그룹면담(FGI)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면담자료와 연구자의 보조자료원은 Bogdan과 Biklen(2007)이 제시한 방법에 기초하여 자료 안에 숨어 있는 패턴을 찾아 의미있는 내용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4개의 대주제와 9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으며, . 분석 결과 “자발적인 학습공동체 참여하기”, “장애위험군 유아에 대한 새로운 시각”, “교사로서의 긍정적인 변화”, “한 팀으로 성장한 우리”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학습공동체는 장애위험군 유아를 지도하는 보육교사의 교수 행동과 교수 역량을 강화하고 비슷한 경험을 가진 교사들의 공동체 의식은 자발적 성장의 기회가 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experiences and meanings of a learning community for early childhood educators who guide young children at risk of developmental delays. Six early childhood educators from daycare centers in S-gu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The teachers collaboratively determined all aspects of the learning community, including topics, sessions, operating hours, and methods. Starting with recruitment in October 2024, a total of six sessions were conducted until December. The researcher reviewed the sub-topics established by the teachers for these six sessions and provided a resource booklet with relevant information to support them. Following the completion of the six learning community sessions, the researcher conducted a Focus Group Interview (FGI) using a semi-structured interview guide. The collected interview data and the researcher's supplementary materials were analyzed based on the method proposed by Bogdan and Biklen (2007) to identify underlying patterns and meaningful content. The analysis yielded four main themes and nine sub-themes. The main themes were identified as: “Voluntary Participation in the Learning Community,” “A New Perspective on Children at Risk of Developmental Delays,” “Positive Changes as a Teacher,” and “Our Growth as a Team.”. This study confirmed that learning communities enhance early childhood educators' teaching behaviors and competencies in guiding young children at risk of developmental delays. It also demonstrated that the sense of community among teachers with similar experiences fosters opportunities for spontaneous professional growth.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제29권 제3호 목차
- PBL 기반 유아사회교육이 예비유아교사의 사회적 교수효능감 및 대인관계역량에 미치는 영향
- 어머니의 정서표현 수용태도가 유아의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유아 공격성 및 자아존중감의 매개를 중심으로
- 키워드 네트워크를 활용한 유아 부적응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어린이집에서의 놀이치료가 부모-자녀 애착, 가족의사소통, 부모-교사 협력에 미치는 영향
- 발달장애인의 디지털 활용수준과 삶의 질의 관계에서 사회적 자본과 고용유지의 이중매개효과
- 장애위험군 유아지도를 위한 보육교사 학습공동체의 경험과 의미
- 유아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가 개정누리과정 실행에 미치는 영향: 놀이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 예비유아교사의 언어교육 인식 및 언어교수효능감 변화에 대한 학습자 중심 언어지도 수업의 효과
- 발달장애 아동 아버지의 자녀 언어치료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어린 왕자(Le Petit Prince)」활용 방과후 프로그램 내용구성 연구
- 현직 보육교사의 디지털 놀이지원에 대한 인식 연구 - 디지털 매체활용을 중심으로
- 유아교사의 디지털 역량과 디지털 놀이 지원역량 간의 관계에서 교육과정 운영 자율성과 놀이성의 이중매개효과
- 장애아통합어린이집 원장의 장애유아 초등학교 전이 지원에 대한 인식 및 지원 요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Journal of east Asian law studies Vol.2 No.3 Contents
- 博采众长:民国时期的比较婚姻法视域
- 新时代“枫桥经验”视域下民事案件诉前调解功能异化风险分析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