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유아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가 개정누리과정 실행에 미치는 영향: 놀이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이용수  25

영문명
The Influe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Digital Literacy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Nuri Curriculum: The Mediating Effect of Play Teaching Efficacy
발행기관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저자명
곽정연(Jeong-Yeon Kwak) 김혜수(Hye Soo Kim)
간행물 정보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제29권 제3호, 167~188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가 개정누리과정 실행에 미치는 영향에서 놀이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기지역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만 3세~5세 담당 유아교사 253명의 설문 자료를 SPSS 25.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최종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유아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놀이교수효능감, 개정누리과정 실행 간에는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 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디지털 리터러시는 놀이교수효능감에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또한 개정누리과정 실행에도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놀이교수효능감은 디지털 리터러시와 개정누리과정 실행 간의 관계에서 부분매개 역할을 하였으며, Sobel 검증 결과 그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함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가 놀이교수효능감이라는 내적 신념을 통해 개정누리과정 실행의 질을 높이는 핵심 기제임을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교사 전문성 개발을 위한 연수 및 지원 프로그램이 단순히 디지털 도구 활용 교육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놀이 중심 교수법과 유기적으로 통합되어 설계되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나아가 본 연구는 교사의 디지털 역량과 교수적 신념의 상호보완적 관계를 밝힘으로써, 향후 교사 교육과정 개발 및 유아교육 정책 수립에 중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학문적, 실천적 의의를 지닌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early childhood teachers' digital literacy and play teaching efficacy interact to enhance the effective implementation of the revised Nuri Curriculum. Specifically, the study aims to examine whether play teaching efficacy acts as a mediating fac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literacy and the implementation of the Nuri Curriculum. A survey was conducted with 300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 Gyeonggi region, and 253 valid responses were analyz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5.0 program to perform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ediation effect analysis. The results revealed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digital literacy positively influenced the implementation of the Nuri Curriculum, and play teaching efficacy significantly mediated this relationship. Teachers with higher digital literacy were better able to support child-centered play environments, while those with higher play teaching efficacy enhanced children's engagement and immersion in play, thereby promoting educational outcomes. This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enhancing early childhood teachers’ digital literacy and play teaching efficacy for the effective implementation of the revised Nuri Curriculum, and emphasizes the need for systematic training and practical support program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곽정연(Jeong-Yeon Kwak),김혜수(Hye Soo Kim). (2025).유아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가 개정누리과정 실행에 미치는 영향: 놀이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29 (3), 167-188

MLA

곽정연(Jeong-Yeon Kwak),김혜수(Hye Soo Kim). "유아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가 개정누리과정 실행에 미치는 영향: 놀이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29.3(2025): 167-18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