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Influe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Digital Literacy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Nuri Curriculum: The Mediating Effect of Play Teaching Efficacy
- 발행기관
-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 저자명
- 곽정연(Jeong-Yeon Kwak) 김혜수(Hye Soo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제29권 제3호, 167~188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가 개정누리과정 실행에 미치는 영향에서 놀이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기지역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만 3세~5세 담당 유아교사 253명의 설문 자료를 SPSS 25.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최종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유아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놀이교수효능감, 개정누리과정 실행 간에는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 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디지털 리터러시는 놀이교수효능감에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또한 개정누리과정 실행에도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놀이교수효능감은 디지털 리터러시와 개정누리과정 실행 간의 관계에서 부분매개 역할을 하였으며, Sobel 검증 결과 그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함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가 놀이교수효능감이라는 내적 신념을 통해 개정누리과정 실행의 질을 높이는 핵심 기제임을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교사 전문성 개발을 위한 연수 및 지원 프로그램이 단순히 디지털 도구 활용 교육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놀이 중심 교수법과 유기적으로 통합되어 설계되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나아가 본 연구는 교사의 디지털 역량과 교수적 신념의 상호보완적 관계를 밝힘으로써, 향후 교사 교육과정 개발 및 유아교육 정책 수립에 중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학문적, 실천적 의의를 지닌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early childhood teachers' digital literacy and play teaching efficacy interact to enhance the effective implementation of the revised Nuri Curriculum. Specifically, the study aims to examine whether play teaching efficacy acts as a mediating fac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literacy and the implementation of the Nuri Curriculum. A survey was conducted with 300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 Gyeonggi region, and 253 valid responses were analyz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5.0 program to perform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ediation effect analysis.
The results revealed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digital literacy positively influenced the implementation of the Nuri Curriculum, and play teaching efficacy significantly mediated this relationship. Teachers with higher digital literacy were better able to support child-centered play environments, while those with higher play teaching efficacy enhanced children's engagement and immersion in play, thereby promoting educational outcomes.
This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enhancing early childhood teachers’ digital literacy and play teaching efficacy for the effective implementation of the revised Nuri Curriculum, and emphasizes the need for systematic training and practical support program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제29권 제3호 목차
- PBL 기반 유아사회교육이 예비유아교사의 사회적 교수효능감 및 대인관계역량에 미치는 영향
- 어머니의 정서표현 수용태도가 유아의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유아 공격성 및 자아존중감의 매개를 중심으로
- 키워드 네트워크를 활용한 유아 부적응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어린이집에서의 놀이치료가 부모-자녀 애착, 가족의사소통, 부모-교사 협력에 미치는 영향
- 발달장애인의 디지털 활용수준과 삶의 질의 관계에서 사회적 자본과 고용유지의 이중매개효과
- 장애위험군 유아지도를 위한 보육교사 학습공동체의 경험과 의미
- 유아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가 개정누리과정 실행에 미치는 영향: 놀이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 예비유아교사의 언어교육 인식 및 언어교수효능감 변화에 대한 학습자 중심 언어지도 수업의 효과
- 발달장애 아동 아버지의 자녀 언어치료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어린 왕자(Le Petit Prince)」활용 방과후 프로그램 내용구성 연구
- 현직 보육교사의 디지털 놀이지원에 대한 인식 연구 - 디지털 매체활용을 중심으로
- 유아교사의 디지털 역량과 디지털 놀이 지원역량 간의 관계에서 교육과정 운영 자율성과 놀이성의 이중매개효과
- 장애아통합어린이집 원장의 장애유아 초등학교 전이 지원에 대한 인식 및 지원 요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Journal of east Asian law studies Vol.2 No.3 Contents
- 博采众长:民国时期的比较婚姻法视域
- 新时代“枫桥经验”视域下民事案件诉前调解功能异化风险分析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